AEVA

#에바테크놀로지스 #AEVA #라이다 #FMCW라이다 #4D라이다 #자율주행 #ADAS #실리콘포토닉스 #1550nm #코히런트검출 #속도벡터 #장거리감지 #간섭내성 #산업자동화 #로보틱스 #맵핑 #소프트웨어스택 #Perception #자동차부품 #테크하드웨어 #반도체광소자 #광학부품 #제조스케일업 #원가하향 #규제인증 #디지털트윈 #검교정 #생산수율 #생태계파트너 #LiDAR

산업 분류

섹터(Sector): Technology - 테크
산업(Industry): Scientific & Technical Instruments - 과학/기술 계측장비, LiDAR


영위사업

Aeva Technologies는 전방 산업(자동차, 산업 자동화, 로보틱스 등)에 공급되는 차세대 FMCW(주파수 변조 연속파) 4D 라이다를 설계·개발하는 미국 실리콘포토닉스 라이다 전문 기업입니다. Apple 출신 공동창업진이 FMCW를 상용화해, 거리(point)뿐 아니라 각 포인트의 ‘즉시 속도(instant velocity)’를 동시에 측정하는 것이 차별점입니다.

1550nm 파장과 코히런트 검출을 활용해 태양광/다른 라이다와의 간섭에 강하고, 장거리·고다이내믹 레인지에 유리합니다.

비즈니스는 하드웨어(라이다 모듈) 판매, 개발·엔지니어링(NRE) 수익, 인지 소프트웨어 라이선스의 혼합 구조이며, 자동차 양산 전 단계(설계·검증·샘플링)에 집중하면서 산업·로보틱스 분야의 상업 출하를 병행하는 전략을 취합니다.

  • 주요 제품 및 서비스

    • 4D 라이다 센서(예: Aeries II): 1550nm FMCW 기반, 장거리(수백 m급), 속도벡터 출력, 강한 역광·악천후 내성. 고속도로 ADAS/추월·합류 시나리오 등에서 레이턴시와 오경보를 줄이는 것이 목적.

    • 4D Perception 소프트웨어: 포인트클라우드에서 속도·거리 융합 기반 객체 탐지/추적·분류를 제공. 차량 통합 시 센서퓨전(카메라/레이다)과 연계.

    • 엔지니어링 서비스/NRE: OEM·티어1의 플랫폼 맞춤 설계, 환경/진동/온도 신뢰성 시험, 차량 규격(ISO 26262, ASPICE 등) 대응 컨설팅.

    • 산업용/로보틱스 라이다: AGV/AMR, 창고·항만, 고정식 모니터링(충돌 방지/존 감시) 응용으로 초기 매출화.

  • 비즈니스 모델 개요: 단가 높은 초기 개발·평가 키트 → 파일럿/사전양산(PPAP) → 자동차 양산 로열티/부품 공급으로 전환. 소프트웨어 기능을 옵션화해 ARPU를 높이고, 실리콘포토닉스 통합으로 원가와 전력소모를 단계적으로 하향.

  • 주요 리스크

    • 자동차 양산 전환 지연 리스크(프로그램 선정/탈락, SOP 지연).
    • 부품 원가·수율(광소자, 정밀 광학)과 생산 스케일업 리스크.
    • FMCW 표준화·생태계(툴체인/테스트 장비) 성숙도.
    • 경쟁 심화(타 FMCW/ToF 라이다, 카메라+레이다 고도화).
  • 공급망/원자재

    • 실리콘포토닉스 웨이퍼, InP/이르븀 계열 광원, InGaAs 수광 소자, MEMS/OPA(빔스티어링), 정밀 광학/필터, 열관리 부품. 파운드리/OSAT 및 EMS 파트너와의 공동개발이 중요.
  • 최근 이슈

    • 자동차·트럭용 FMCW 라이다의 파일럿 채택 확대(프로그램 결과/규모는 공개 공시 확인 필요).
    • 산업·모빌리티 파트너십(산업용 고정식/모바일 로봇) 다변화로 매출 믹스 개선 시도.
    • 동종업계 재편(Ouster- Velodyne 통합, 일부 업체 구조조정)으로 기술·자본력 상위주자 중심 재편 가속.
  • 최근 1년 주가 동향

    • 라이다 섹터 전반의 변동성(양산 뉴스·수주, 금리·리스크온/오프)에 연동. 개별 프로그램 뉴스플로우에 따라 급등락 구간 존재.

비즈니스 모델 (수익 모델)

  • 사업 부문별 매출 비중(추정/프로그램 단계에 따라 변동)

    • 제품(라이다 모듈/시스템)
    • 소프트웨어 라이선스/기능 옵션
    • NRE/프로페셔널 서비스
  • 고객 유형

    • 자동차 OEM/티어1(ADAS/자율주행), 상업용 차량/트럭·버스
    • 산업 자동화/로보틱스/물류, 인프라 모니터링
  • 지역별 매출/프로젝트 분포

    • 북미·유럽 중심, 아시아(일본/한국/중국) 기술검증 병행
  • 성장 동력/수익성 레버

    • FMCW 채택 확대(속도벡터 기반 성능 우위), 실리콘포토닉스 통합으로 BOM 하향
    • 소프트웨어 기능 패키지화로 수익 다변화
    • 산업용 반복매출과 자동차 양산 전환의 레버리지

핵심 경쟁력

  • FMCW 4D 코어: 거리+속도 동시 측정으로 오브젝트 분리·고속 상황 인지 우위, 간섭·햇빛 내성, 장거리 성능

  • 실리콘포토닉스 통합: 광원/수광/위상제어 집적을 통한 소형화·전력저감·원가 하향 잠재력

  • 시스템+소프트웨어 수직 통합: 하드웨어 스펙을 Perception에서 최적화, 센서퓨전·객체 추적 품질 개선

  • 안전·신뢰성 설계: 자동차 규격(EMC/진동/온도/습도) 대응 및 기능안전 프로세스 축적

  • 파트너 생태계: 파운드리/EMS·티어1과의 협업 체계, 산업용 채널 다변화


핵심 기술

  • FMCW(주파수 스윕·코히런트 검출): 도플러 주파수로 속도 추정, 쇼트노이즈 한계 근접 SNR

  • 1550nm 광원/코히런트 수신: 눈 안전 기준 상향으로 더 높은 광출력 사용 가능, 장거리/악천후 성능

  • 실리콘포토닉스(PIC): 레이저/위상변조/수신기 집적, 패키징·정렬 허용오차 개선

  • 빔 스티어링: MEMS 또는 OPA 기반 스캔(구체 구현은 제품 세대별 상이, 세부 사양 확인 필요)

  • 4D Perception: 속도-거리 융합 기반 객체 분리/클러터 억제, 레이턴시·오경보 저감


제조 공정

1단계: 웨이퍼 레벨(PIC/포토닉스) 제작 및 활성 소자(레이저/PD) 준비
2단계: TOSA/ROSA 등 광모듈 어셈블리, 정밀 광학 정렬/패키징
3단계: 스캐닝 모듈(빔 스티어링) 및 제어보드 통합, 열/EMC 설계
4단계: 공장 검교정(내·외부 타겟, 속도/거리 캘리브레이션)
5단계: 환경·신뢰성 시험(진동/충격/온습/염무 등) 및 EOL 테스트
6단계: 차량/산업 시스템 통합(펌웨어·소프트웨어 업데이트 포함)


전방산업 / 후방산업

  • 전방산업(제품 사용 산업)

    • 자동차/상용차 ADAS·자율주행: Mercedes-Benz(독일, MBGAF), Volvo(스웨덴, VLVLY), Daimler Truck(독일, DDAIF), Toyota(일본, TM)
    • 로보틱스/물류: Amazon Robotics(US, AMZN), Zebra(US, ZBRA)
    • 스마트인프라/맵핑: Hexagon(SE, HXGBY), Trimble(US, TRMB)
  • 후방산업(원자재/부품 공급)

    • 레이저/포토닉스: Coherent(US, COHR), Lumentum(US, LITE)
    • 포토닉스 파운드리/반도체: GlobalFoundries(US, GFS), Tower Semiconductor(IL, TSEM)
    • EMS/조립: Jabil(US, JBL), Flex(US, FLEX)

밸류체인

  • 부품 공급 단계:
    • Coherent(US, COHR): 1550nm 광원/광학 부품
    • GlobalFoundries(US, GFS), Tower(IL, TSEM): SiPh/PIC 제조
  • 제조 및 조립 단계:
    • EMS 파트너(Jabil JBL/Flex FLEX)와 모듈/시스템 어셈블리
  • 유통 및 판매 단계:
    • OEM·티어1 대상 직판, 산업용은 유통 파트너와 병행

주요 제품

  • Aeries II 4D 라이다: 고속도로/도심 ADAS용, 장거리·속도벡터 제공, 경쟁사 LAZR, INVZ, OUST, HSAI
  • 4D Perception 소프트웨어: 객체탐지/추적·속도분리, 차량/로봇 스택에 통합
  • 개발 키트/평가 플랫폼: OEM PoC·HIL/SiL 검증용

주된 영향을 미치는 원자재

  • 실리콘포토닉스 웨이퍼/패키지: 공급지 북미/이스라엘/대만, 주요 벤더 GFS, TSEM
  • 레이저/포토다이오드(InGaAs): 미국/일본, 주요 벤더 COHR, Hamamatsu(JP)
  • 정밀 광학/필터·MEMS 부품: 미국/유럽·아시아 전문 공급사

주요 고객

  • 자동차 OEM/티어1의 개발·파일럿 프로그램 고객(구체 고객·물량은 비공개인 경우 다수)
  • 산업 자동화/로보틱스 시스템 integrator
  • 맵핑·인프라 모니터링 서비스 기업

주요 판매 국가

  • 미국, 독일, 일본, 한국, 중국(개발/시험·초기 상업 출하 중심)
  • 유럽 전역(파일럿/PoC 확대), 북미 산업용 채널 가속

경쟁업체

  • Luminar(US, LAZR) – 1550nm ToF 장거리 라이다, 자동차 양산 프로그램 보유
  • Innoviz(IL, INVZ) – 솔리드스테이트 ToF, 독일 OEM 프로그램
  • Ouster(US, OUST) – 디지털 라이다(Velodyne 합병), 산업/스마트시티 강점
  • Hesai(CN, HSAI) – 고성능 ToF, 로보택시/중국 승용차 확대
  • Cepton(US, CPTN) – 자동차/인프라용 ToF

산업 내 글로벌 시장 점유율

  • 자동차용 라이다는 여전히 초기 양산 확산 단계로, 특정 소수 업체가 초기 점유율을 형성. FMCW는 기술 채택 확산 국면으로 상용 점유율은 제한적(성장 잠재력 큼). Aeva의 직접적인 대량 양산 점유율은 “초기/확대 전 단계”로 평가.

기업 특징 및 성장성

  • 기술 차별화: FMCW 4D(속도벡터)로 고속·장거리·간섭내성 우위, 악천후 시 오경보 억제에 강점
  • 원가 로드맵: SiPh 집적·패키징 혁신으로 BOM 하향, 자동차 양산 적합성 제고
  • 포트폴리오 다변화: 자동차 외 산업·로보틱스에서 조기 상업화로 캐시번 완화
  • 리스크: 대규모 양산 수주 전까지 현금소진/수율·원가 관리가 핵심 변수

최근 3년 내 주요 이슈

  • 차세대(Aeries II 등) 플랫폼 공개 및 성능 개선(장거리/분해능·전력 소모)
  • 산업·로보틱스 파트너십 확대, 자동차 파일럿 프로그램 진행
  • 동종업계 구조조정/합종연횡 속 FMCW 포지셔닝 재부각

주요 주주 (지분율)

  • 공동창업자·경영진, 글로벌 인덱스 기관(구체 수치는 공시 기준 확인 필요)
  • 전략적/재무적 투자자(상장 후 지분 변동성 존재)

관련 ETF

  • 전장/자율주행: DRIV – Global X Autonomous & Electric Vehicles DRIV, IDRV – iShares Self-Driving EV & Tech IDRV
  • 로보틱스/자동화: BOTZ – Global X Robotics & AI BOTZ, ROBO – ROBO Global Robotics & Automation ROBO
  • 반도체/포토닉스(간접): SOXX – iShares Semiconductor SOXX
마지막 수정 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