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CK

#프리미엄신발 #UGG #HOKA #러닝화 #애슬레틱슈즈 #패션신발 #캐주얼신발 #아웃도어 #컴포트슈즈 #프리미엄브랜드 #직접판매채널 #이커머스 #포트폴리오다각화 #럭셔리푸트웨어 #지속가능패션 #스포츠신발 #국제확장 #브랜드파워 #마진성장 #공급망관리 #글로벌유통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 #라이프스타일브랜드 #성장주 #소비자트렌드 #실적호조

1. 산업 분류

섹터(Sector): Consumer Discretionary - 소비자 재량  산업(Industry): Footwear & Accessories - 신발 및 액세서리


2. 영위사업 (10줄 이상 상세 서술)

Deckers Outdoor Corporation은 1973년에 설립되어 현재는 Deckers Brands라는 이름으로 사업을 영위하는 미국 기반의 신발 및 의류 디자이너, 유통업체입니다. 본사는 캘리포니아주 골레타에 위치해 있으며, UGG, HOKA, Teva, Sanuk, Koolaburra 등 다양한 프리미엄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회사의 포트폴리오에서 가장 큰 매출 비중을 차지하는 두 브랜드는 [UGG]와 [HOKA]입니다. UGG는 [양가죽 부츠로 유명한 럭셔리 신발 브랜드]로, 계절성이 있는 제품이지만 최근 제품군을 확장하여 연중 판매가 가능한 다양한 신발 및 의류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HOKA는 [고성능 러닝화]를 전문으로 하는 빠르게 성장하는 스포츠 신발 브랜드로, 러너들 사이에서 뛰어난 쿠셔닝과 성능으로 인지도가 급상승하고 있습니다.

Deckers는 [제품을 직접 제조하지 않고, 독립적인 제조업체에 생산을 아웃소싱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모델은 회사가 자본 투자를 줄이고 시장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게 합니다. 회사는 자체 소매점, 전자상거래 웹사이트, 그리고 도매 유통 채널을 통해 제품을 판매하고 있으며, 직접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DTC(Direct-to-Consumer) 채널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기업으로서 Deckers는 북미, 유럽, 아시아를 포함한 전 세계 50개 이상의 국가에서 제품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지속적인 국제 시장 확장을 통해 성장을 추구하고 있으며, 특히 중국과 같은 신흥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2025년 회계연도(2025년 3월 31일 종료)에 Deckers는 약 50억 달러의 매출을 기록했으며, HOKA와 UGG 브랜드는 각각 24%와 13%의 매출 성장을 보였습니다. 특히 HOKA 브랜드는 회사의 성장을 이끄는 핵심 동력으로 자리 잡았으며, 최근에는 UGG 브랜드도 다시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026 회계연도 1분기(2025년 6월 29일 종료) 실적에서 Deckers는 계절성이 낮은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9억 6450만 달러의 매출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16.9% 성장했습니다. 이는 HOKA 브랜드의 19.8% 성장과 UGG 브랜드의 18.9% 성장에 힘입은 것으로, 회사의 강력한 브랜드 포트폴리오와 효과적인 전략 실행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3. 비즈니스 모델 (수익 모델)

수익 구조 세분화:

  • 브랜드별 매출 비중:

    • HOKA: 약 45% (2025년 기준, 지속 성장 중)
    • UGG: 약 50% (2025년 기준)
    • Teva 및 기타 브랜드: 약 5%
  • 유통 채널별 수익 구조:

    • 도매(Wholesale): 약 60% - 소매점, 백화점, 전문 매장 등
    • 직접 소비자 판매(DTC): 약 40% - 자사 온라인 스토어 및 직영 매장
  • 지역별 매출 분포:

    • 미국: 약 65% (2025년 1분기 기준)
    • 국제 시장: 약 35% (유럽, 아시아 등)
  • 성장 동력 및 수익성 개선 요인:

    • HOKA 브랜드의 지속적인 성장 및 시장 확대
    • UGG 브랜드의 계절성 감소 및 제품 다변화
    • DTC(직접 소비자 판매) 채널의 강화
    • 국제 시장 확장을 통한 성장 기회 발굴
    • 공급망 최적화 및 디지털 전환을 통한 운영 효율성 제고
    • 제품 혁신 및 신규 카테고리 개발

4. 핵심 경쟁력

  • 강력한 브랜드 포트폴리오: UGG와 HOKA를 중심으로 한 차별화된 프리미엄 브랜드 포트폴리오는 강력한 소비자 충성도와 가격 결정력을 제공합니다.

  • 제품 혁신: 특히 HOKA 브랜드의 혁신적인 제품 디자인과 기능성은 경쟁사와의 차별점을 만들어내며, 성능 중심의 소비자들에게 강한 어필을 합니다.

  • 유연한 비즈니스 모델: 직접 제조하지 않고 아웃소싱함으로써 자본 집약적 투자를 줄이고 시장 변화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갖추고 있습니다.

  • 다양한 유통 전략: 자체 소매점, 온라인 플랫폼, 도매 채널을 포함한 다양한 유통 전략을 통해 소비자 접근성을 극대화합니다.

  • 글로벌 입지: 전 세계 50개 이상 국가에 제품을 판매하며, 주요 시장에서의 강한 입지를 기반으로 지속적인 국제 확장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효율적인 운영: 공급망 최적화 및 디지털 전환을 통해 높은 수준의 운영 효율성과 강력한 마진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5. 핵심 기술

기술별 분류:

  • 쿠셔닝 기술: HOKA의 메타로커(Meta-Rocker) 기술과 같은 고급 쿠셔닝 시스템으로 러너들에게 우수한 편안함과 성능을 제공합니다.

  • 소재 혁신: UGG의 트윈페이스 쉽스킨(Twinface sheepskin) 처리 기술과 같은 독특한 소재 활용 기술로 차별화된 제품을 제공합니다.

  • 디지털 소매 기술: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고 소비자 인사이트를 수집하는 전자상거래 플랫폼 및 모바일 앱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 공급망 관리 시스템: 글로벌 제조업체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제품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공급망 모니터링 및 관리 기술을 활용합니다.

  • 지속가능성 기술: 환경 영향을 줄이기 위한 친환경 소재 개발 및 생산 과정에서의 에너지 효율성 향상 기술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6. 제조 공정

1단계: 디자인 및 개발 - 브랜드별 디자인 팀에서 신발 디자인 및 개발을 진행합니다.

2단계: 소재 조달 - 글로벌 공급망을 통해 고품질 소재를 조달합니다. UGG의 양가죽, HOKA의 특수 폼 소재 등 브랜드별 핵심 소재에 주력합니다.

3단계: 생산 계획 - 시즌별 수요 예측에 따라 제조업체와 생산 계획을 수립합니다.

4단계: 아웃소싱 제조 - 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은 독립 제조업체에 생산을 위탁합니다.

5단계: 품질 관리 - 각 제조 시설에서 엄격한 품질 관리 기준에 따라 제품 검사를 실시합니다.

6단계: 물류 및 유통 - 완성된 제품을 글로벌 물류 네트워크를 통해 도매 파트너 또는 직영 유통 채널로 배송합니다.

7단계: 재고 관리 - 수요 예측 및 판매 데이터를 활용하여 재고를 효율적으로 관리합니다.


7. 전방산업 / 후방산업

전방산업 (제품 사용 산업):

  • 소매업: Foot Locker(US, FL), Dick’s Sporting Goods(US, DKS), Nordstrom(US, JWN) - 프리미엄 신발 판매
  • 전자상거래: Amazon(US, AMZN), Zappos(Amazon 소유) - 온라인 신발 판매
  • 스포츠/피트니스 산업: 러닝 클럽, 피트니스 센터 - 퍼포먼스 신발 사용
  • 패션 산업: 스타일리스트, 패션 컨설턴트 - 라이프스타일 신발 제안

후방산업 (원자재/부품 공급 산업):

  • 섬유 및 원자재: 양가죽, 합성 섬유, 고무 - 신발 제조의 기본 소재
  • 화학 산업: 접착제, 염료, 폴리머 - 신발 조립 및 마감을 위한 화학 제품
  • 포장재 산업: International Paper(US, IP), WestRock(US, WRK) - 제품 포장 솔루션
  • 물류 서비스: FedEx(US, FDX), UPS(US, UPS) - 글로벌 배송 서비스
  • 제조 서비스: 아시아 기반 계약 제조업체 - 아웃소싱 생산 파트너

8. 밸류체인

부품 공급 단계:

  • 양가죽 공급업체 (호주, 뉴질랜드): UGG 부츠를 위한 프리미엄 양가죽 공급 (시장점유율 약 70%)
  • 합성 원료 공급업체: HOKA와 Teva 제품을 위한 고성능 소재 공급
  • 포장재 공급업체: 환경 친화적 포장 솔루션 제공
  • 부자재 공급업체: 아웃솔, 미드솔, 신발끈 등 부속 소재 공급

제조 및 조립 단계:

  • 중국 계약 제조업체: 전체 생산의 약 50% 담당
  • 베트남 계약 제조업체: 전체 생산의 약 30% 담당
  •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등 기타 지역 제조업체: 전체 생산의 약 20% 담당

유통 및 판매 단계:

  • 직접 소비자 판매(DTC): 자사 웹사이트 및 직영 매장을 통한 판매 (매출의 약 40%)
  • 도매 유통: 프리미엄 백화점 및 전문 소매점을 통한 판매 (매출의 약 30%)
  • 대형 소매 체인: Dick’s Sporting Goods, Foot Locker 등 (매출의 약 20%)
  • 전자상거래 플랫폼: Amazon, Zappos 등 온라인 마켓플레이스 (매출의 약 10%)

9. 주요 제품

제품별 상세 정보:

  • HOKA 러닝화: 고급 쿠셔닝과 메타로커 기술이 특징인 퍼포먼스 러닝화, 매출비중 약 45%(2025), 주요 경쟁사 Brooks(비상장), On Holdings(US, ONON)

  • UGG 부츠: 양가죽 소재의 프리미엄 부츠가 주력 제품이며 샌들, 슬리퍼 등으로 확장, 매출비중 약 50%(2025), 주요 경쟁사 EMU Australia(비상장)

  • Teva 샌들: 아웃도어 및 워터 스포츠용 스포츠 샌들, 매출비중 약 3%(2025), 주요 경쟁사 Chaco(Wolverine World Wide, WWW)

  • Sanuk 캐주얼 신발: 서핑 문화에서 영감을 받은 캐주얼 신발, 매출비중 약 1%(2025), 주요 경쟁사 Vans(VF Corporation, VFC)

  • Koolaburra by UGG: 중간 가격대의 UGG 대안 브랜드, 매출비중 약 1%(2025), 주요 경쟁사 Bearpaw(비상장)


10. 주된 영향을 미치는 원자재

원자재별 상세 정보:

  • 양가죽: UGG 제품의 주요 원료, 호주/뉴질랜드 주요 공급지, 가격 변동이 마진에 영향

  • 합성 고무/폼: HOKA 및 Teva 제품의 아웃솔 및 미드솔용, 석유 가격에 영향 받음

  • 합성 섬유: 제품 상단 및 내부 라이닝용, 다양한 글로벌 공급업체로부터 조달

  • 접착제 및 화학 처리제: 신발 조립 및 방수 처리용, 화학 산업 가격 변동에 영향 받음

  • 포장재: 친환경 포장 솔루션으로 전환 중, 종이 및 재생 소재 가격에 영향 받음


11. 주요 고객

고객별 상세 정보:

  • 20-40대 여성 소비자: UGG의 주요 고객층, 패션과 편안함을 모두 추구하는 중상위 소득층

  • 퍼포먼스 러너: HOKA의 핵심 고객층, 고품질 러닝화에 프리미엄을 지불할 의사가 있는 열정적인 러너

  • 아웃도어 및 액티브 라이프스타일 애호가: Teva의 주요 고객층, 기능성과 스타일을 겸비한 제품 선호

  • 프리미엄 소매점: Nordstrom, Foot Locker 등 고급 유통 파트너

  • 전자상거래 플랫폼: Amazon, Zappos 등 온라인 유통 파트너

  • 글로벌 소비자: 국제 시장에서 성장하는 소비자층, 특히 중국과 유럽 시장의 소비자


12. 주요 판매 국가

국가별 매출 비중 및 추이:

  • 미국: 65% (2025년 기준, 3년간 -5%p, DTC 채널 강화로 마진 개선)

  • 유럽: 20% (2025년 기준, 3년간 +3%p, 독일 및 영국 시장에서 HOKA 성장 강세)

  • 중국: 8% (2025년 기준, 3년간 +2%p, UGG 및 HOKA 브랜드 인지도 상승 중)

  • 일본: 3% (2025년 기준, 3년간 +0.5%p, HOKA의 성장세 강함)

  • 호주/뉴질랜드: 2% (2025년 기준, 3년간 -0.5%p, UGG의 본고장이지만 성숙 시장)

  • 기타 국가: 2% (2025년 기준, 신규 시장 진출로 성장 잠재력 있음)


13. 경쟁업체

경쟁사별 상세 정보:

  • Nike(US, NKE): 글로벌 스포츠웨어 거대 기업, HOKA와 러닝화 부문에서 경쟁, 시장점유율 약 25%

  • Skechers(US, SKX): 중저가 컴포트 슈즈 부문에서 UGG와 경쟁, 시장점유율 약 5%

  • VF Corporation(US, VFC): The North Face, Timberland 브랜드로 아웃도어 부문에서 경쟁, 시장점유율 약 8%

  • On Holdings(US, ONON): 프리미엄 러닝화 부문에서 HOKA의 직접 경쟁사, 시장점유율 약 3%, 빠르게 성장 중

  • Crocs(US, CROX): 편안함을 강조하는 신발 브랜드로 캐주얼 부문에서 경쟁, 시장점유율 약 4%

  • Columbia Sportswear(US, COLM): 아웃도어 신발 및 의류로 경쟁, 시장점유율 약 3%

  • Wolverine Worldwide(US, WWW): 다양한 신발 브랜드(Merrell, Saucony 등)를 보유한 기업, 시장점유율 약 2%

  • Caleres(US, CAL): Famous Footwear와 같은 소매 체인을 운영하며 다양한 자체 브랜드 보유, 시장점유율 약 1.5%


14. 산업 내 글로벌 시장 점유율

시장 점유율 추이:

  • 2025년: 5.2% (프리미엄 풋웨어 부문 5위)

  • 2024년: 4.8% (프리미엄 풋웨어 부문 5위)

  • 2023년: 4.3% (프리미엄 풋웨어 부문 6위)

  • 3년간 추이: +0.9%p 증가, HOKA 브랜드의 성장이 주된 요인


15. 기업 특징 및 성장성

구체적 수치 및 성장 동력:

  • 매출 성장률: 3년 CAGR 약 18% (2025년 기준)

  • 영업 이익률: 약 19% (2025년 기준, 업계 평균 대비 높음)

  • EPS 성장: 약 30% (2025년 4분기 기준, 전년 대비)

  • 주요 성장 동력: HOKA 브랜드의 지속적인 성장세(전년 대비 24% 성장), UGG 브랜드의 계절성 탈피 및 제품 다각화(전년 대비 13% 성장)

  • 국제 시장 확장: 특히 중국 및 유럽 시장에서의 성장 기회

  • DTC 채널 강화: 직접 소비자 판매 비중 확대를 통한 마진 개선

  • 위험 요소: 공급망 제약, 원자재 비용 상승, 관세 인상, 경쟁 심화


16. 최근 3년 내 주요 이슈

연도별 주요 이슈:

  • 2025년: 1분기 매출 16.9% 증가, HOKA와 UGG 브랜드의 동시 성장, 국제 시장에서의 강한 수요, 관세 부담에도 불구하고 양호한 실적

  • 2024년: 연간 매출 20.1% 증가, HOKA 브랜드의 급성장과 UGG의 계절성 완화 전략 성공, DTC 채널 강화 및 디지털 전환 가속화

  • 2023년: 공급망 제약에도 불구하고 성장 지속, HOKA 브랜드의 글로벌 인지도 확대, 지속 가능한 소재 및 생산 방식 도입 확대


17. 주요 주주 (지분율)

최근 데이터 기준:

  • Vanguard Group: 10.5% (267만주)

  • BlackRock: 8.2% (209만주)

  • Fidelity Management & Research: 6.3% (161만주)

  • State Street Corporation: 4.1% (104만주)

  • T. Rowe Price Associates: 3.8% (97만주)

  • 기관 투자자: 96%

  • 개인 투자자: 4%


18. 관련 ETF

직접 관련 ETF:

  • Invesco S&P 500 Equal Weight Consumer Discretionary ETF RSPE

  • SPDR S&P Retail ETF XRT

  • Global X Millennial Consumer ETF MILN

섹터 관련 ETF:

  • Consumer Discretionary Select Sector SPDR Fund XLY

  • Vanguard Consumer Discretionary ETF VCR

  • Fidelity MSCI Consumer Discretionary Index ETF FDIS

성장주 관련 ETF:

  • iShares Russell Mid-Cap Growth ETF IWP

  • Vanguard Mid-Cap Growth ETF VOT

  • SPDR S&P 400 Mid Cap Growth ETF MDYG

마지막 수정 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