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미국주식시황 #주식시황 #경제지표 #주식시황 #경제뉴스 #기업뉴스 #종목정보 #재테크
미 증시는 셧다운 종료 후 본격적인 경제지표 발표를 앞두고 연준 위원들의 매파적인 발언으로 금리 인하 기대가 약화되며 하락했습니다. 특히 반도체와 AI 관련 기업들, 주요 테마주들이 밸류에이션 부담 속에서 매물 출회되며 하락을 주도했습니다. 반면, 제약업종은 경기 방어 성향을 반영하며 강세를 이어갔으나, 전반적인 시장 하락세를 상쇄하기에는 역부족이었습니다.
1. 오늘의 주식 시황
📈 주요 지수 등락
-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39,380.45 (-1.65%)
- S&P 500: 5,200.20 (-1.65%)
- 나스닥 종합: 17,150.70 (-2.29%)
- 러셀 2000: 2,490.00 (-2.77%)
-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SOX): 6,950.85 (-3.72%)
- VIX 변동성 지수: 15.20 (+3.40%)
2. 경제지표 및 거시경제, 주요 뉴스 및 이슈 동향
🏛️ 연준 통화정책 및 매크로 환경
금리 인하 기대 약화:
CME FedWatch에 따르면 12월 금리 인하 확률이 전일 62.9%에서 장중 51.9%로 하락했습니다. 이는 연준 위원들의 매파적인 발언이 이어졌기 때문입니다.
- 해맥 클리블랜드 연은 총재: 물가에 대한 불안을 언급하며 추가 금리 인하에 반대.
- 존 윌리엄스 뉴욕 연은 총재: 빈부 격차 확대가 경기 하방 리스크가 될 수 있다고 언급하면서도 금리 인하에 회의적인 입장을 표명.
-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은 총재: 물가가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고 지적.
-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 물가는 안정적이고 고용은 점차 식어가고 있다고 주장했으나, 금리 인하에 대한 명확한 지지는 없었습니다.
이러한 발언들은 연준의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을 약화시키며 국채 금리 상승과 주식시장 하락의 배경이 되었습니다.
AI 산업 불안 및 회사채 발행 증가:
올해 미국 회사채 발행액이 1.5조 달러로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메타 플랫폼의 300억 달러 회사채 발행 등 AI 산업에 대한 투자 자금 조달이 주요 원인으로 추정됩니다. 그러나 초대형 클라우드 기업들의 현금 흐름이 감소하고, 이들이 회사채 발행으로 이를 만회하려는 움직임은 AI 산업의 재정적 지속 가능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오라클의 CDS 프리미엄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등 재정 건전성에 대한 우려도 부각되었습니다.
TSMC 및 키옥시아 실적 부진:
TSMC(-2.90%)의 10월 매출 부진에 이어 일본 낸드 플래시 제조업체 키옥시아가 실망스러운 실적을 발표하며 반도체 섹터 전반에 불안을 가중시켰습니다. 시장은 이러한 실적 부진이 일시적인지 여부를 주목하고 있습니다.
3. 섹터별 등락 및 이슈
💻 기술 및 반도체 섹터 약세
- Technology Select Sector SPDR Fund (XLK): -2.10% 하락. AI 산업의 밸류에이션 부담과 금리 인하 기대 약화로 대형 기술주와 반도체 섹터가 하락을 주도했습니다.
-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SOX): -3.72% 하락. 엔비디아, AMD, TSMC 등 주요 반도체 기업들이 동반 하락했습니다.
💊 제약 및 헬스케어 섹터 강세
- Health Care Select Sector SPDR Fund (XLV): +0.50% 상승. 일라이릴리, 머크 등 경기 방어 성향을 가진 제약주들이 강세를 보이며 시장 하락을 일부 상쇄했습니다.
🚗 경기소비재 섹터 약세
- Consumer Discretionary Select Sector SPDR Fund (XLY): -2.50% 하락. 테슬라와 전기차 관련 기업들의 부진이 섹터 하락을 주도했습니다.
4. 주요 종목 등락 및 이슈
📦 반도체 및 장비
- 엔비디아 ([[NVDA]] -3.58%): 오펜하이머가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했음에도 불구하고, 바이두의 AI 칩 발표와 밸류에이션 부담으로 하락했습니다.
- AMD ([[AMD]] -4.23%), 마이크론 ([[MU]] -3.25%), TSMC ([[TSM]] -2.90%): 반도체 섹터 전반이 AI 산업 불안과 실적 부진 우려로 하락했습니다.
- 시스코 시스템즈 ([[CSCO]] +4.62%): AI 산업 매출 증가로 예상을 상회한 실적과 가이던스 발표로 상승했습니다.
☁️ 데이터센터 및 클라우드
- 슈퍼마이크로컴퓨터 ([[SMCI]] -7.44%), 코어위브 ([[CORW]] -8.30%), 웨스턴디지털 ([[WDC]] -5.39%): 데이터센터 및 클라우드 관련 기업들은 고평가 논란과 재정 건전성 우려로 하락했습니다.
🚗 자동차
- 테슬라 ([[TSLA]] -6.64%): 중국 판매량 급감과 가정용 에너지 저장 시스템 리콜 발표로 하락했습니다.
- 리비안 ([[RIVN]] -6.45%), 루시드 ([[LCID]] -8.56%): 전기차 관련 기업들이 동반 하락했습니다.
- 앨버말 ([[ALB]] +3.85%): 중국 탄산리튬 가격 상승에 힘입어 상승했습니다.
💡 대형 기술주 (FAAMG)
- 알파벳 ([[GOOGL]] -2.89%): 유럽 연합의 디지털 시장법 관련 소송 우려와 수익화 논란으로 하락했습니다.
- 아마존닷컴 ([[AMZN]] -2.71%), 마이크로소프트 ([[MSFT]] -1.54%): 자본 지출 확대에 따른 수익화 논란으로 부진했습니다.
- 메타 플랫폼스 ([[META]] +0.16%): 웨드부시가 베스트 아이디어 리스트에 포함시킨 점에 힘입어 상승 전환했습니다.
💊 제약 및 헬스케어
- 일라이 릴리 ([[LLY]] +0.50%): 비만치료제 젭바운드의 보험 적용 갈등에도 불구하고 상승했습니다.
- 머크 ([[MRK]] +1.62%), 에브비 ([[ABBV]] -0.40%): 경기 방어 성향을 반영하며 강세를 보였습니다.
₿ 암호화폐 관련주
- 비트코인 (BTC): $98,000 (-4.50%) - 선물옵션 청산 급증과 장기 보유자들의 매도세로 하락했습니다.
- 스트래티지 ([[MSTR]] -7.15%), 라이엇 플랫폼 ([[RIOT]] -10.22%): 비트코인 약세에 동반 하락했습니다.
5. 원자재 시황
🛢️ 에너지
- WTI 원유: $61.50/배럴 (+0.80%) - 러시아 원유의 해상 고립 소식과 전일 하락에 따른 되돌림으로 상승했습니다.
- 미국 천연가스 (NATURAL GAS): $4.60/MMBtu (+3.37%) - 수출 수요 증가와 추운 날씨 전망으로 3년 내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 귀금속
- 금 (GOLD): $4,110.00/온스 (+0.25%) - 미국 경기 불안과 안전자산 선호 심리로 상승했습니다.
- 은 (SILVER): $26.20/온스 (+0.50%) - 상승했습니다.
🔩 산업 원자재
- 구리 (COPPER): $4.00/파운드 (+0.50%) - 중국의 수출 증가 소식에 상승했습니다.
- 니켈 (NICKEL): $17,450/톤 (+0.29%) - 상승했습니다.
🌾 농산물
- 대두 (SOYBEANS): $11.55/부셸 (+0.43%) - 미국 수출 증가 소식에 상승했습니다.
- 옥수수 (CORN): $4.50/부셸 (+0.88%) - 기후 영향과 판매 가격 상승 기대감으로 상승했습니다.
6. 가상화폐 시황
₿ 주요 암호화폐
- 비트코인 (BTC): $98,000 (-4.50%) - 선물옵션 청산 급증과 장기 보유자들의 매도세로 하락했습니다.
- 이더리움 (ETH): $3,500 (-3.00%) - 비트코인과 함께 하락했습니다.
7. 기관투자자 흐름
🏛️ ETF 자금 흐름
- MSCI 한국 증시 ETF: -1.93% 하락.
- MSCI 신흥지수 ETF: -1.17% 하락.
-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ETF: -3.72% 하락.
📈 헤지펀드 포지션 (CFTC 자료 기준)
- S&P 500 선물: 롱 포지션 2% 감소.
- 나스닥 선물: 롱 포지션 3% 감소.
- VIX 선물: 롱 포지션 5% 증가.
🌍 외국인 투자자 동향 (Bloomberg, WSJ 기준)
- 미국 주식: 월간 +$6.5B 순매수 (매수세 둔화).
8. 다음 주 주요 경제지표, 실적발표 등 일정
📅 주요 일정 (2025년 11월 13일~11월 17일)
11월 13일(수):
- 미국: ADP 민간고용보고서, ISM 서비스업지수.
- 행사: 중국 국제수입 박람회(~10일)-TSLA 등 참여.
- 장전 실적: 노보노디스크(NVO), 맥도날드(MCD), 휴매나(HUM), 유니티 소프트웨어(U).
- 장후 실적: 아이온큐(IONQ), 앱로빈(APP), 퀄컴(QCOM), ARM(ARM), 로빈후드(HOOD), 도어대시(DASH), 포티넷(FTNT), 앨버말(ALB), 리프트(LYFT), 조비항공(JOBY), 센츄러스 에너지(LEU).
11월 14일(목):
- 미국: 3분기 생산성, 단위노동비용.
- 발언: 바 이사, 월러 이사(중앙은행과 디지털화폐).
- 기업: 테슬라 주주총회.
- 장전 실적: 디웨이브 퀀텀(QBTS), 아스트라제네카(AZN), 코노코필립스(COP), 비스트라(VST), 데이터독(DDOG), 모더나(MRNA).
- 장후 실적: 뉴스케일파워(SMR), 에어비앤비(ABNB), EOG리소스(EOG), 마이크로칩테크(MCHP), 샌디스크(SNDK), 트레이드 데스크(TTD), 어펌홀딩스(AFRM), 선런(RUN), 아처항공(ACHR).
11월 15일(금):
- 미국: 소비자심리지수, 고용보고서.
- 발언: 제퍼슨 부의장(AI와 경제), 마이런 이사(스테이블코인과 통화정책).
- 행사: 2025 영국 양자 기술 쇼케이스(IONQ 참가).
- 장전 실적: 컨스텔레이션 에너지(CEG), 듀크에너지(DUK).
주간 이슈 점검:
- AI 산업의 밸류에이션 부담: AI 산업의 고평가 논란과 자본 지출 확대에 따른 수익화 논란이 지속될 전망입니다.
- 연준의 통화정책 방향: 연준 위원들의 매파적인 발언이 금리 인하 기대를 약화시키며 시장에 부담을 주고 있습니다.
- 경제 지표 확인: ADP 민간고용보고서, ISM 서비스업지수 등 주요 경제 지표 발표가 시장의 방향성을 결정할 것입니다.
9. 외환시장
💱 주요 통화쌍
- 달러지수(DXY): 105.90 (+0.20%) - 연준 위원들의 매파적인 발언과 금리 인하 기대 약화로 강세를 보였습니다.
- USD/JPY: 155.00 (+0.32%) - 엔화는 안전자산 선호 심리에도 불구하고 약세를 보였습니다.
- EUR/USD: 1.1150 (-0.25%) - 달러 강세로 유로화가 약세를 보였습니다.
- USD/CNH: 7.3100 (+0.15%) - 역외 위안화는 달러 대비 약세를 보였습니다.
- USD/MXN: 18.30 (-0.10%) - 멕시코 페소는 혼조세를 보였습니다.
10. 결론
미 증시는 연준 위원들의 매파적인 발언으로 금리 인하 기대가 약화되며 하락했습니다. 특히 반도체와 AI 관련 기업들이 밸류에이션 부담 속에서 매물 출회되며 하락을 주도했습니다. 반면, 제약업종은 경기 방어 성향을 반영하며 강세를 이어갔으나, 전반적인 시장 하락세를 상쇄하기에는 역부족이었습니다. AI 산업의 고평가 논란과 자본 지출 확대에 따른 수익화 논란이 시장의 주요 리스크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증시 주요 캘린더(Earnings)
[월간 일정]
[주간 일정]
주식시장 신호등
Macro에 따른 시장 반응 점검
- BAD IS BAD : 시장이 위험에 민감
- GOOD IS BAD : 시장이 극도로 위험에 민감
- GOOD IS GOOD : 시장이 호재에 민감
- BAD IS GOOD : 시장이 극도로 호재에 민감
시장 센티먼트(시장 상황, 나스닥 기준)
- 포모 (💸)
- 긍정(📈)
- 중립
- 부정(📉)
- 투매 (💀)
내가 느끼는 무의식(내 투자 상황에 기초한 느낌)
- 긍정(💸💸💸)
- 내 것만 오르나? : 상승 흐름 들어옴
- 모두가 오르나? : 대세 상승 주의
- 중립
- 중립
- 부정(💀💀💀)
- 내 것만 떨어지나? : 하락 흐름 들어옴
- 모두가 떨어지나? : 대세 하락 주의
- 내 것이 특히 더 많이 떨어지나? : 운세 반전 주의
- 중립
- 긍정(💸💸💸)
Daily 체크리스트
포트폴리오 기준 평가(★)
상승하고 있나
- 주가 흐름
- 폭락하다 일시적인 반등인가
- 막 상승 추세를 시작했나
- 지속적인 상승 추세인가
- 모름
- 센티먼트
- 호재에 민감하게 반응하나? : 상승 흐름
- 호재에 둔감하게 반응하나? : 약세 흐름
- 악재에 민감하게 반응하나? : 약세 흐름
- 악재에 둔감하게 반응하나? : 상승 흐름
하락하고 있나
- 주가 흐름
- 급등하다 일시적인 하락인가
- 막 상승 하락를 시작했나
- 지속적인 하락 추세인가
- 모름
- 센티먼트
- 호재에 민감하게 반응하나? : 상승 흐름
- 호재에 둔감하게 반응하나? : 약세 흐름
- 악재에 민감하게 반응하나? : 약세 흐름
- 악재에 둔감하게 반응하나? : 상승 흐름
뉴스 등 언론이 바라보는 시장
- 부정적인 뉴스가 극단적 공포인가?
- 과매도에 대한 우려가 있는가?
- 중립적인가
- 긍정적인 뉴스가 시장에 만연한가?
- 과열에 대한 우려가 있는가?
투자자 심리 / 시장상황
- CNN 심리 - 매도(📉) / 시장 - 하락(📉)
- CNN 심리 - 매도 (📉) / 시장 - 상승 (📈)
- CNN 심리 - 매수 (📈) / 시장 - 상승 (📈)
- CNN 심리 - 매수 (📈) / 시장 - 하락 (📉)
- CNN 심리 - 중립 (-) / 시장 - 하락 (📉)
- CNN 심리 - 중립 (-) / 시장 - 상승 (📈)
AAII 투자자 심리지수에서 약세 비율이 50% 이상인가?
- 예 (약세 심리)
- 아니오 (중립 또는 강세)
나스닥의 최근 1주일간 상승/하락 추세는?
- 나스닥 상승(📈) / 다른 지수 상승(📈)
- 나스닥 하락(📉) / 다른 지수 상승(📈)
- 나스닥 하락(📉) / 다른 지수 하락(📉)
- 나스닥 상승(📈) / 다른 지수 하락(📉)
VIX(변동성 지수)가 20 이상인가?
- 예 (높은 변동성)
- 아니오 (안정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