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7-14
#Daily==[주요 이벤트]==
참고자료 - 해외 경제/산업 정보 - 한국무역협회 통상뉴스,보고서 : 한국무역협회-KITA.NET - KOTRA: KOTRA 해외시장뉴스 뉴스 | 전체 / 투자진출 - KOTRA 해외시장뉴스 해외투자 | 현지 조사 | 뉴스∙동향 | 뉴스∙동향 - 중남미정보: | EMERiCs 신흥지역정보 종합지식포탈 - 세계경제 동향: 국제금융센터 (kcif.or.kr) [id: ccotorl / pw: kk123456!]
리플이 소송에서 승리함에 따라 70%대 급등하면서, COIN에도 리플이 재상장 될 수 있다는 이유로 COIN도 급등 리플랩스 승리, 리플 96%-코인베이스 25% 폭등(상보) (naver.com)
러사아 정부는 농업은행의 자회사를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 결제시스템에 다시 연결해 줄 것을 요구 사항으로 흑해 곡물협정을 연장할지 말지를 저울 중. 밀 ETF인 WAET 전일 1.27% 오르는데 그치며 큰 반응은 없는 상황. 다만, 현재 고온환경과 인도 등의 곡물 수출제한 등이 맞물리면 곡물가격이 튀면서 사료, 식품주에 영향을 줄 수 있을지도? 푸틴 “러 요구조건 수용하지 않으면 흑해 곡물협정 중단할 것” ::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 (newsis.com)
중국의 반도체 수입량 급감. 보통 반도체 종목의 주가는 CHINA IMPULSE 지수에 연동된다는 말이 있을만큼 중국내 전자제품 소비 = 반도체 수요 증가 로 연결되는 로직인데, 지금이야 시장이 좋으니 올라가자! 지만, 만약에 시장이 안 좋은 상황이었다면 이 뉴스만으로도 영향을 받알ㅆ을 수도 있지 않을까? 물론, 현재 10시 정도인 국내 시장의 경우에도 영향은 없음.. 中 반도체 수입 18.5% 급감…“미국, 첨단기술·장비 차단” - 뉴스1 (news1.kr)
==[증시현황]== - 참고자료 - - 리포트: FNGUIDE [ID: ssec2021 / pw: support15] - **국내주식 테마: [연구소>테마록 ㅣ 주식정보는 핀업스탁 (finup.co.kr)]https://stock.finup.co.kr/Lab/ThemeLog.aspx) - finviz: S&P 500 Map - koyfin: Today’s Markets - webull: Webull - Stock Market Quotes, Stock Market News, Real Time Stock Quotes
- ==미국(전일)
뉴욕증시는 전일 CPI에 이어 PPI도 예상을 하회했다는 소식에 3대지수 모두 상승 마감했습니다.
이날 발표된 6월 생산자물가지수는 전달보다 0.1% 상승해 시장의 예상치인 0.2% 상승보다 낮았습니다. 전월의 0.4% 하락에서 상승세로 전환됐으나 전년비로는 0.1% 올라 전월의 0.9% 상승에서 크게 낮아졌습니다. 이는 2020년 8월 이후 가장 낮은 상승률로 소매 물가에 이어 도매 물가도 빠르게 둔화하고 있음을 시사했습니다. 이에 연준의 금리인상이 7월이 마지막이 될 것이라는 시장의 자신감은 더 높아져 미국채 금리는 하락세를 지속하며 2년물이 10.1bp 하락한 4.641%, 10년물은 9.4bp 하락한 3.767%에 거래됐습니다.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화 가치를 보여주는 ICE 달러지수도 지난해 4월 이후 처음으로 100 아래로 떨어졌는데요. 금리 하락과 달러 약세는 빅테크에 날개를 달아주는 환경이죠. 이에 커뮤니케이션, 테크, 임의소비재가 시장을 이끌었고 나스닥은 상대적 강세를 보이며 14,000선을 탈환했습니다. S&P500 11개 섹터 가운데 헬스케어와 에너지를 제외한 9개 섹터가 상승했는데요. 지난해 빅테크 암흑기에 시장을 밝히던 두 섹터였는데…
에너지 기업들의 주가는 저조했으나 유가는 상승했습니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이날 발표한 보고서에서 올해 전 세계 석유 수요는 하루 220만 배럴 증가해 사상 최고치인 하루 1억210만 배럴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는데 이는 지난달 예측치보다 22만배럴가량 줄어든 것이지만 달러 약세의 영향으로 유가는 WTI 기준 1.5% 상승한 배럴당 76.89달러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이날 주간 신규 실업보험 청구자 수는 23만7천명으로 전주보다 1만2천명 감소로 발표되며 고용 시장이 여전히 견조함을 시사했고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인플레이션에서 승리를 선언하기에는 이르다며 2회 인상 선택지를 열어둬야 한다고 말했지만 시장의 인플레 완화 축제에 찬물을 끼얹지는 못 했습니다.
주요섹터/종목/테마 변동 ■ 상승 - [반도체] +2.5%, [반도체장비] +3.1% - 매크로 지표 호조에 따라 기술주가 반등하면서, AI 모멘텀이 지속되는 반도체 등 테크주가 전반적으로 강세 흐름 - NVDA는 전일 2달 박스권을 ㄲ=뚫으며 +5%상승 - [인터넷플랫폼] - 매크로 지표 호조에 메가테크가 상승 흐름을 지속함과 동시에 GOOGL이 유럽에서도 Bard AI를 출시할 것이라 발표하면서 +4%대 급등한 부분이 영향 줌 - [알루미늄] +4.3% , [구리] +4.3% - 전일 CPI와 더불어 PPI도 낮게 나옴에 따라 금리 인상이 마지막 사이클에 접어들면서 경기가 다시 반등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로 기초소재가 반등한 것으로 보임 - NVDA +4.7%, 연이어 발표되는 우호적인 매크로 환경 속에서 AI관련 뉴스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면서 큰 폭으로 상승세 보임 - GOOGL +4.4%, 기술주 상승 + 브라질과 유럽에도 Bard AI를 출시한다고 밝히며 큰폭 상승 - AMZN +2.6%, 지난 11
12일 진행된 Prime Day에서 매출액이 127억 달러로 사상 최대라고 발표. - PEP +2.4%, 매출 +10.3%(BEAT), EPS 2.09(BEAT), FY23 가이던스 상향조정 Organic Rev Growth +10%(기존 +8%), EPS Growth +12%(기존 +9%) - PLUG +7.5%, 익명의 회사가 10MW 양성자 교환막 전해조를 주문했다는 소식에 주가 급등. 유럽 석유/가스 부문에서 수주한 프로젝트 중 가장 큰 규모라고 함 - COIN +24.5%, 지방법원이 리플(XRP)이 증권이 아니라고 판결한 뒤 길었던 소송이 마무리되며 COIN에서도 리플을 재상장 할 것이라는 발표 이후 급등(리플은 전일 +76% 급등) - NKLA +60.9%, Nikola는 목요일 아침 수소 공급업체인 BayoTech와 수소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습니다. 거래 조건에 따라 Nikola는 무배출 상용 연료 전지 전기 자동차 구매자의 차량에 연료를 공급하는 데 도움이 되는 안정적인 수소 공급을 확보하게 됩니다. 구체적으로, Nikola는 차량 연료 공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최대 10대의 BayoTech의 HyFill 운송 트레일러를 구입하고, BayoTech는 필요한 곳으로 운송 트레일러를 끌 수 있도록 Nikola의 클래스 8 수소 연료 전지 전기 자동차를 50대까지 구매할 것입니다. BayoTech에서 구입한 Nikola 트럭 12대는 2023년 또는 2024년에 인도될 예정이며 나머지는 향후 5년에 걸쳐 인도될 예정입니다. 이 소식은 니콜라가 주주들의 사기를 고양시킨 2분기 생산 및 납품 수치를 발표한 직후 나온 것입니다 . 회사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용량을 늘릴 수 있고 수요가 계속 강할 수 있다는 몇 가지 징후를 보였습니다. - BCRX +6%, BofA Global Research가 주식을 중립에서 매수로 격상한 후 목표가 $10로 제시함에 따라 급등 - TTD +2.96%, 나스닥은 Nasdaq-100 지수에 포함된 주식 목록에 The Trade Desk를 추가할 것이라고 말하면서 5% 상승하였으나, 이내 상승 흐름을 반납하며 +2%대 마감 ■ 하락 - [손해보험] -3.4% - 전일 섹터 주요종목인 PGR이 2Q실적을 발표하면서 손해보험율이 100%가 넘어가고 순 보험료가 시장 예상치를 상회했다고 발표하면서 주가가 -13% 급락함에 따라 섹터 전반에 영향을 줌 - [산업유통] -1.3% - 전일 섹터 주요종목인 FAST 1에 대한 Stephens의 투자의견이 하향 조점됨에 따라 주가가 -3.5%하락하면서 섹터 하락을 주도함 - [자동차트럭딜러십] -1.1% - 전일 섹터 주요종목 CVNA에 대한 JPM의 투자의견 하향조정 여파로 -3% 조정되면서 섹터하락 주도 - DAL -0.5%, 2023 실적 발표. 매출 $15.6B(BEAT, CONSEN $15.46B), OPM 16%, EPS $2.84(BEAT, CONSEN $2.39). 2023 3Q 가이던스 매출성장률 +11%$7로 상향조정(BEAT, CONSEN $6.01). 발표직후 프리마켓에서 +4%올랐으나 최근 가파른 상승에 대한 부담으로 차익매물이 나오며 소폭 하락 - VSAT -28.5%, 회사의 최신 위성에 결함이 있다는 소식이 주식을 강타하면서 매우 안 좋은 날을 보내고 있습니다. Viasat는 자사의 ViaSat-3 Americas 위성이 반사경 배치 중에 예기치 않은 이벤트를 겪었다고 밝혔습니다.14%(BEAT, CONSEN +8.8%) , EPS $2.22.5(BEAT, CONSEN $2.05). FY23 가이던스 EPS 직전 인베스터데이 때 줬던 $6에서 $6
- ==미국(전일)
==[채권금리 현황]== - 참고자료 -
미국채권
- 10년물: **10년물 WSJ /** 마켓와치
- 2년물: **2년물 WSJ/** 마켓와치
채권가격의 과도한 하락여부 파악: copper/gold ratio
[미국]
- [종합현황]
[주요 변동 이유 / 공급 및 수요 현황]
- CPI와 더불어 PPI도 낮게 나오면서, 2년물이 10.1bp 하락한 4.641%, 10년물은 9.4bp 하락한 3.767%에 거래
-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 등은 연준의 통화긴축 장기화 예상 약화 등으로 하락. 독일은 미국 채권시장의 영향 등으로 9bp 하락
[전망 및 평가]
- 금리는 7월 7일을 기점으로 계속 떨어지고 있음. 어? 이제 살땐가 싶었지만 이미 많이 조정받은 상황. 목표가 3.8인 내 입장에서 보면 거의 반정도는 꺾인 모습
- “아직 한 발 남았다” 처럼 7월 FOMC에서 “자..이제 끝” 이라고 말할 확률은 낮으므로(기대 인플레이션을 굳이 올릴 필요가 없기 때문) 급격한 장기물 금리의 하락은 없을것으로 보이나, 결국 하반기로 갈수록 금리 정점이 도래했다는 확신만 있다면 천천히 3.8까지는 떨어질 여지가 있다고 봄. 20년물 기준 4.0인 지금 사도 약 8%정도 먹을 수 있을 듯
- [종합현황]
[한국]
==[원자재 현황]== - 참고자료 - - 원자재 일반: 원자재 - KOIMA 국제원자재 = 주간동향 , 원자재 일간 시황(id:ccotorl/ pw:kk123456!) - CRB인덱스 - 원자재 기업들 주가 - 비료, 농산물: 비료 / 농산물가격 - UN식량기구: FAO Food Price Index(Google Search |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fao.org)) - 에너지: 유럽가스가격 / 미국가솔린가격 / 천연가스뉴스 / wti가격 / 미국천연가스가격 - 원유: 미국SPR = 미국SPR월간 / SPR주간 - 유럽가스보관량 = Gas Infrastructure Europe - AGSI+ (gie.eu) / Natural Gas Weekly Update (eia.gov) - 미국천연가스 생산: Natural Gas Data - U.S.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EIA) - LNG, 천연가스 정보: 트윗헨리 - 전력가격(태양광 연관): 독일 전력가격 - 상업용광물 - 광물뉴스: mining.com - 구리: 마켓와치 - 기온: 글로벌 온도 - 곡물: Corn Prices and Corn Futures Prices - Barchart.com
[종합현황]
- [원유]
[동향]
- 미국 서부 텍사스산 원유 선물은 $1.14, 즉 1.5% 상승한 $76.89를 기록. 세션 최고가는 77.13달러로 4월 26일 이후 가장 높았음
[주요 변동 이유 / 공급 및 수요 현황]
- OPEC, 내년 글로벌 원유 수요 증가 예상(지속적인 세계경제 성장 전망을 반영)
- 미국 물가지수 하향 안정화에 따른 경기회복 기대감(수요 증가), 달러 인덱스가 100을 하회회함에 따른 효과등의 영향으로 상승
[전망 및 평가]
- 원유는 잘은 모르겠지만 애매한 상황이라고 생각. 리세션이 온다? 그럼 원유가 지금 50불 가있어야 겠지만, 리세션은 현재로선 오긴오는데…..지금은 아닌듯? 이란 뉘양스로 위험자산에 대한 선호가 올라가니깐 가격이 오르는 상황으로 보여짐.
- 그리고 중국에서 원유수입이 감소했다 이런 뉴스가 나오는데, 작년부터 러시아에서 비축해둔 비축유가 많을수도 있는 것 아닐까? 그리고 어느정도 수요 우려가 있더라도 가격의 하방을 러시아 등의 실질적인 공급감소 및 항공의 여행수요 증가 등 코로나로 침체되었던 원유를 적극적으로 소비하는 섹터들이 살아나면서 가격을 받쳐주고 있다고 생각 됨
- 따라서…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 [천연가스]
기타 원자재 이슈
==[외환] - 달러기준== - 참고자료 - - 달러 인덱스: DXY - 일본엔: jpy/usd - 유로화: eur/usd - 중국원화:cnh/usd(역외환율)/ cny/usd(고시환율)
==[매크로]
- 기타 매크로 이슈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