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8-23

#Daily
  • [시장신호등]

    • Macro: Bad is Bad
    • 시장느낌: 부정(▼)
  • [느낌점]

    • 투자성과_2024년 : BAD
  • [Macro]

    • 주간실업수당청구 8월 4주 주간 실업수당 청구건수는 소폭 상승 네드 데이비스 리서치자료를 보면 실업수당 청구건수는 팬데믹 이전과 비슷한 수준에서 유지되고 있으며 역사적으로 볼때 낮은 수준으로, 해고가 억제되고 있는 지속적인 경기 확장 국면과 일치한다고 밝힘 이는 성장 우려를 완화하는 것이어서 FED는 노동 시장의 안정을 증명하는 것으로 판단해 연착륙을 달성 했다고 보고 다음달부터 금리 인하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할 것으로 보았음 이러한 안정적인 지표로 인해 50bp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소멸하면서 금리가 치솟고, DXY가 반등했으며, 주가는 하락함
    • S&P500 종합 구매 관리자 지수 종합구매관리자지수 PPI는 54.1로 직전 발표보단 감소했으나, 예상보단 좋았음 다만, 제조업지수는 신규주문 및 생산감소, 재고 증가 및 채용중단 등 악화되며 48로 둔화세인 반면, 서비스는 55.2로, 고용은 감소했지만 신규주문 및 사업활동이 증가하며 직전대비 상승해 괴리감을 보임 이러한 차이는 서비스가 제조업에 비해 고금리에 덜 민감하기 때문임 지표 발표 업체는 이러한 서비스와 제조업의 불균형은 결과적으로 경기 둔화를 야기할 수 있다는 우려를 제시함
    • 기존주택판매 7월 부동산 기존주택 판매는 전월대비 소폭 상승하며 5개월만에 증가세로 전환함. 주택판매는 여전히 부진하지만, 금리인하로 소비자가 더 많은 선택권을 가지게 될 것으로 전망 지표 발표 이후 [부동산] 관련 종목은 반등해 강세 이어감
  • [종목이슈]

    • 스노우플레이크(SNOW) 가이던스 상승 여력 부족으로 -14.7% 하락
      • 전일 3FQ24 실적 발표에서 매출 및 EPS 모두 컨센 상회하며 호실적 발표. 다만, 투자자들의 기대치를 충족하지 못한 매출 가이던스 상승 여력과 마진 가이던스 유지 등이 주가 하락으로 이어진 모습. 한편, 주요 IB들은 실적발표 후 SNOW에 대한 투자의견 매수 등급을 유지
      • TD Cowen은 투자의견 매수 유지, TP $180 유지. 연간 매출 가이던스 인상과 고객들의 데이터 접근성을 높여주는 ‘아이스버그 이니셔티브’를 긍정적으로 평가. 더해, 영업 인력 채용 가속화 등도 주목할 부분이라 언급. Goldman Sachs는 투자의견 매수 유지, TP $220 유지. 이들은 현재까지 지속된 SNOW의 사업 운영 안정성 등을 강조. 더해, 이후 제품 매출 성장률이 유지 혹은 가속화된다면 주가 리레이팅이 나타날 것으로 전망
    • 어반 아웃피터스(URBN) -9.6%, 소비층들의 신중한 태도 지속
      • 장 마감 후 2FQ25 실적 발표. 매출 $1.35B, EPS $1.24로 컨센 상회. 다만, 동일매장매출이 2분기 +2%YoY로 컨센(+2.94%YoY) 하회한 점이 실적 우려로 부각, 주가 하방 압력으로 이어지는 모습.
      • 시장에서는 최근 소비층들이 저가 품목을 선호하는 현상이 짙어짐에 따라 판매 부진이 하반기까지 연장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추가적인 프로모션에 대한 필요성이 부각. 전일 M 또한 실적 발표를 통해 소비층들이 구매 결정에 있어 신중한 태도가 지속되고 있다고 언급한 바 있음
    • 테슬라(TSLA)-5.7%, 미 당국의 화재 사건 조사 착수
      • 지난 19일 발생했던 세미 전기트럭 충돌 후 발생한 화재 사건에 관련해서 전미교통안전위원회(NTSB)가 조사에 착수. 이에 투자 심리 위축되며 주가 하락세.
      • 앞서 ‘21년도에도 NTSB가 TSLA의 전기차 화재를 조사한 바 있어 EV 배터리 위험성이 재부각되는 모습. 한편, 모델X 관련 리콜 소식 또한 주가 하방 압력으로 작용. TSLA는 ‘16년식 모델X의 루프 조각 분리 위험성 등으로 차량 약 9,100대를 리콜할 예정이라 발표
    • 줌(ZM) +13.0%, AI 기능 통합으로 팬데믹 이후 다시 붐
      • 21일 장 마감 후 2FQ25 실적 발표. 매출 $1.16B, EPS $1.39로 컨센 상회. 코로나19 기간동안 반짝 수혜를 입으며 호실적 경험했던 ZOOM은 팬데믹 이후 부진한 추세를 이어온 바있음. 다만, 최근 기업 고객 대상으로 화상회의 프로그램에 생성형 AI를 통합해 서비스 범위가 확장되며 호실적 재차 달성.
      • 세부 서비스는 ‘줌 AI 컴패니언’으로, 회의 참가자들의 일정과 회의 내용 요약, 녹화 등을 공유할 수 있는 기능. CEO는 소규모 고객 대상으로도 사업 회복성이 나타났으며, 평균 이탈률도 역대 최저치 달성했다고 언급. 이에, 3FQ 매출 예상치 또한 $1.16B로 컨센($1.15B) 상회하는 가이던스 제시
  • [시장변동]

마지막 수정 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