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8-28
#Daily #반도체 #NVDA #금리[시장신호등]
- Macro: Good is Good
- 시장느낌: 중립(-)
[느낌점]
- 투자성과_2024년 : BAD
- 내가 갖고 있는 러셀, 지역은행이 -2%대 하락하면서 손발이 덜덜 떨렸음
- 장 전부터 금리가 급등하면서 시장이 전반적으로 밀리는 모습을 보여줬는데, 리치몬드연은의 경제지표나 컨퍼런스보드 발표 등으로 채권금리가 소폭 하락함과 동시에 2년물 국채입찰도 좋게 끝나면서 금리가 하락하며 러셀이나 지역은행도 -4% → -2%로 낙폭을 만회함
- 아울러 환차손의 경우 많이 줄어서 -1%대에서 -0.5%대로 감소
- 참 어려운 부분이 나는 엔비디아로 인해 시장의 변동성이 올라가면 스위칭이 있을것이라고 생각했었고 그래서 포트폴리오를 재조정한건데…뭔가…곧죽어도 반도체 같은 느낌이고
- 죽을 때 같이 죽거나, 주도주 외에만 죽어 같은 느낌을 받아서 기분은 썩 좋지 않았음
- 다만, 금리 수혜주에 대한 시장의 선호는 drn을 보면서 다시 한 번 느낄 수 있었는데. [금리인하 = 리츠실적 ↑ & 안정적인 매출]이란 측면에서 방어주로 약간 선호하는 모습이었음
- 내일 오전 5시 20분 엔비디아 실적발표가 있는데…과연…….반도체!!!일까 반도체!!? 일까…그리고 후자라면 소형주로 스위칭이 일어날까?
- 한경글로벌에 나오는 ico님께서 엔화 트레이딩 하는 모습을 말씀주신것처럼 [판단을 했으면 기다리며 밀고 나가는 투자]를 하면서 리스크를 시간으로 헷징하자! 그리고 그냥 사는게 아니라 [이 정도면 살 수 있다는 가격을 설정하고, 매수를 걸어두자]!
- 투자성과_2024년 : BAD
[Macro]
- CB소비자신뢰지수의 8월 소비자신뢰지수는 직전발표보다 개선된 103.3로 집계되며 6개월만에 최고 수준 기록
소비자 단기(12개월) 인플레이션 기대도 7월 5.33%에서 8월 4.9%까지 떨어짐. 향후 12개월간 경기 침체를 예상하는 답변도 2023년 최고치에서 크게 낮아진 수준을 유지 다만, [일자리가 풍부하다 -일자리가 구하기 어렵다]는 노동격차의 경우 7월 17.1%에서 8월 16.4%로 감소함. 이러한 노동격차는 실업률과 반비례하므로 실업률이 더 높아질 수도 있다는 우려가 제기됨
소비자의 신뢰는 개선되어 소비지출의 지속 가능성은 높아진 반면, 노동시장은 급격하지 않게 둔화되는 모습을 보이며 지표 발표 이후 채권 금리의 상승폭이 감소되었고, 50bp 인하확률이 32%→35.5%로 소폭 상승함
- CB소비자신뢰지수의 8월 소비자신뢰지수는 직전발표보다 개선된 103.3로 집계되며 6개월만에 최고 수준 기록
[시장변동]
- 전일 미국증시는 채권금리가 상승하는 가운데 주요지수는 보합권 마감했지만, 러셀은 -0.78%하락하며 약세를 보임
→ 잭슨홀발 반등 후 2거래일째 쉬어가는 중소형주
= 중소형주의 추세적 반등을 위해서는 보험성 기준금리 인하를 통한 경기 방어 효과가 가시적으로 확인돼야 한다는 의미. 아직 경기에 대한 우려가 잔존해 있는 시기는 중소형주 비중 확대의 기회로 볼 수 있음. 트럼프-공화당 승리 기대를 반영했던 7월 초에 비해 중소형주 멀티플은 다소 높아져 있음. 하지만 대형성장주 대비 중소형주의 상대 멀티플은 여전히 장기 추세 하단 부근에 위치
규모별론 대형주 중심의 쏠림이 있었는데, 엔비디아 실적발표와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로 대형주 중심으로 수급이 몰린것은 아닐까 싶음
섹터별로보면 [테크 > 금융 > 부동산 > 필수소비재 > 헬스케어]순으로 성과가 좋았음 [테크]는 엔비디아의 반등과 함께 상승하며 가장 좋은 퍼포먼스를 보였음 나머지는 모두 [금리인하 수혜+안정정]을 중심으로 수급이 들어온 것으로 보였음
세부적으로 보면 [반도체 > 항공 > 보험 > 리츠 > 러셀 > 바이오테크]가 선방했으며 [지역은행]은 급락함
[반도체]는 엔비디아의 실적 기대감으로 엔비디아가 상승하자 반등한거긴한데…살게 없다면 모멘텀있는 반도체? 같은 느낌도 있었을것으로 보임 [항공]은 전일 리비아 사태로 급등했던 유가가 오늘은 하락하면서 [유가 하락 수혜 + 해외 여행객 증가]의 그림으로 상승한것이 아닐까 싶음 [보험, 리츠, 바이오테크]는 금리인하 수혜 모멘텀이 있으면서 최근 많이 상승하지 않았던 부분에서 소폭 상승한것으로 보임 [러셀]은 평타는 치는 느낌이었음 보합권에서 멤돌았지만 tna는 3배이므로…ㅠ [지역은행]은 지난주 급등한데 대한 조정으로 보임과 동시에 경기가 둔화한다면? 이란 우려도 어느정도 있었을 것으로 보임 vix는 장초반 2%대 상승 출발했지만 나스닥이 안정되어가면서 -4.5% 하락함
투자자 심리는 변동 없어, 엔비디아 실적에 대한 관망을 보임
국채금리는 장 전, [영국에서 증세 이야기가 나오면서 영국 국채 금리가 뛰면서 미국 금리도 영향을 받아 상승세]를 보였다가, 지표가 혼조세로 발표되자 소폭 하락했고, 오후에 2년물 금리 입찰이 낮은 가격으로 입찰되면서 결과적으로 하락함
달러인덱스는 소폭 하락함
- 전일 미국증시는 채권금리가 상승하는 가운데 주요지수는 보합권 마감했지만, 러셀은 -0.78%하락하며 약세를 보임
→ 잭슨홀발 반등 후 2거래일째 쉬어가는 중소형주
= 중소형주의 추세적 반등을 위해서는 보험성 기준금리 인하를 통한 경기 방어 효과가 가시적으로 확인돼야 한다는 의미. 아직 경기에 대한 우려가 잔존해 있는 시기는 중소형주 비중 확대의 기회로 볼 수 있음. 트럼프-공화당 승리 기대를 반영했던 7월 초에 비해 중소형주 멀티플은 다소 높아져 있음. 하지만 대형성장주 대비 중소형주의 상대 멀티플은 여전히 장기 추세 하단 부근에 위치
[종목이슈]
- 슈퍼마이크로컴퓨터(SMCI), -2.6%, Hindenburg의 공매도 포지션 공개
- 매도 리포트로 유명한 Hindenburg research가 [SMCI의 회계분식 혐의를 제기]. 공매도 포지션 공개하며 주가 하락세.
- 이들은 지난 2020년경 증권거래위원회(SEC)에게 회계 위반 혐의로 $17.5M 규모의 벌금이 부과된 바 있었으나, 여전히 이전의 회계 관행을 유지하고 있다 주장.
- 또한, 경쟁사 대비 부족한 제품 품질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 국제 제재 대상 국가와의 수출 거래 등도 함께 비판하는 모습
- 파라마운트(PARA), -7.2%, Edgar Bronfman의 인수 제안 철회
- 일전에 Edgar Bronfman이 제안했던 파라마운트에 대한 $4.3B 규모의 인수 건을 철회할것이라 발표해 주가 급락. 이에 따라 Skydance Media의 인수 진행이 유력해진 상황.
- 일전에 Skydance측은 약 $8B 규모로 파라마운트 인수 계약을 체결한 바 있으나, 파라마운트 측의 go-shop 단계(특정 인수자와 협상 후 더 높은 인수 가격을 제안하는 회사를 물색할 수 있는 기간)로 인해 기간이 연장된 바 있음
- 엔비디아(NVDA) +1.5%, 실적발표 디데이
- 전일 실적 경계감과 차익실현 매물 등을 뒤로 하고 재차 반등에 성공. 다만, 발표 디데이에 다가선 만큼 IB들의 의견은 여전히 분분한 상황. BofA는 현재 투자자들이 엔비디아 실적에 대한 리스크를 간과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헤지 수단으로 S&P500 지수를 매수하기를 권고.
- 한편, 옵션 시장에서는 실적 발표 후 주가가 약 +9% 가량 상승할 것으로 점치고 있는 상황.
- Goldman Sachs 측은 현재 옵션 시장 내 포지션을 분석했을 때, 실적 발표 후 +9.35% 이상의 주가 상승 모멘텀이 나타날 것이라는 기대감을 반영하고 있다고 언급.
- CNBC측은 엔비디아가 현재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주식 종목으로 자리 잡았다며, 실적 발표에 대한 압박이 더욱 가중되고 있다고 강조하는 모습
- 일라이릴리(LLY) +0.5%, 저가형 비만 치료제 출시로 접근성 제고
- 징동닷컴(JD +2.3%)은 $5B 규모 자사주를 매입할 계획이라는 소식에 상승
- 인슐랫(PODD +6.6%)은 자동 인슐린 주입기가 FDA 승인을 통과했다는 소식에 급등.
- 의료 장비 업체 레스메드(RMD +7.3%)는 주요 리서치 회사들이 수면 무호흡증 장치 시장 내 연평균 성장률을 긍정적으로 전망함에 당일 S&P500 종목 내 최대 상승폭 기록
- 월그린 부츠 얼라이언스 (WBA -9.0%) 일라이릴리의 직접 판매를 통한 가격 인하 전략에 약국 체인 월그린 주가 하락
- 일라이릴리가 자체 이커머스 플랫폼 ‘LillyDirect’에서비만치료제 젭바운드의 특정 용량을 50% 할인해 판매하겠다고 발표.
- 또, 화이자도 자체 이커머스 및 원격진료 플랫폼인 ‘Pfizerforall’을 출시했고, 이를 통해 진료 예약, 처방약 자체 배달, 백신 접종 예약, 화이자 약품에 대한 할인 등을 제공할 예정.
- 현재 월그린 매출액의 약 56%가 약국 판매에서 발생. 제약사들의 이러한 전략이 전통적인 약국 체인인 월그린의 매출액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에 주가 하락.
- 슈퍼마이크로컴퓨터(SMCI), -2.6%, Hindenburg의 공매도 포지션 공개
마지막 수정 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