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9-04

#Daily #욕심 #손절실패
  • [시장신호등]

    • Macro: Bad is Bad
    • 시장느낌: 부정(▼▼▼)
  • [느낌점] 5일 연속 ◈추세전환 → 매매중단◈

    • 투자성과_2024년 : BAD
      • [장 전] 엔비X2…-2%대 하락 중…ㅠ 살려줘
      • [장 개시] 시장이 무너져 내렸다. 엔비디아 2배 레버리지를 타고 있는 입장에서 레버리지가 -4%정도일때 팔았어야 했는데….원유/채권/주식이 모두 급락하는걸 보면서도 손절하지 못했다. 주가가 볼린저밴드 하단을 타고 계속 추락하는걸 보면서도 아무것도 하지 못했는데 이유는 지난 7월말의 상황이 떠올랐기 때문인데 막상 손절하고나면 반등하는 상황을 보면서 공포가 있었기 때문이기도 하고 당장 카드값을 내야하는 입장에서 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라고 생각했음 이번의 경기침체 우려로 하락한 것이라면 지난번처럼 서비스 지수의 반등으로 낙폭을 축소할 수 있지않을까 하는 기대감도 있었음 엔비가 실적발표에서 꼴아 박을 때… 최하단에선 안 사고 -2%로 반등했을때 사서 계속 물리다 이번에 이렇게 쳐맞아 보니…너무 슬프다. -30%라니..복구하려면 40%를 벌어야했다. 지난번에도 -30%쳐맞아서 3천만원이 2천만원으로..이번에도 1500이 1200으로 줄어들었는데..어떻게 해야하지….답이 안나온다 결국 이번에도 손실을 보았던것은 “욕심” 이었다. 엔비가 반등할 것 같으니깐 장마감 후 -20%까지 떨어진게 -2%로 반등했을때 전량 매수하면서 웃었겠지.. 뭔가 이상하다고 느낀 순간에 아니…전체 손실이 -10%수준일 때 손절했다면 어땠을까 만약에 시장이 침체를 반영하는 초입이라면…빅테크에 대한 우려가 강한 상황이라 던지는 거라면 난 왜 유지하고 있지? 그건 반등 할 수 도? 라는 막연한 기대 때문은 아닐까? 아내 말 처럼 한 번에 한 종목을 다 사고 다 팔고 하려니깐 힘든 걸까? 맞아..아쉬움이 있다면 분할매도나 분할매수 했어야 했다 만약에 손절한다면… 유틸리티 등 경기방어주로 갈아타면? 이번엔 3배가 아니라 정배 etf로 해야 할 테고
        아예 방향성 나오기 전엔 안 하는 방법도 있겠다 그럼..일단 1300으로 이번달 카드값을 메꿔야하는데….걱정이다
  • [Macro]

    • ISM제조업PMI : [발표 직 후] 8월 ISM 제조업 지수 발표 후 종목의 마이너스가 소폭 이나마 개선 → 뒤질 정도는 아니었구나 같은 느낌이었지만 이후 급락..시장은 7월말 처럼 경기침체를 반영하고 있었음 발표내용은 시장의 기대치인 47.5를 밑돌았지만 직전대비는 개선된 47.2로 발표됨. 하지만 50이하로 머물면서 위축세를 이어감 신규수주는 47.4→44.6으로 악화되어 작년 5월 이후 최저를 기록, 생산은 45.9 → 44.8로 악화됨. 헤드라인 지수의 상승은 재고가 44.5→50.3으로 증가하고, 지불가격이 52.9→54.0으로 올라간 영향이었음

      🗽 2024년 8월 ISM 제조업 PMI 🎯 요약

      • 제조업 PMI: 47.2% (전월 대비 0.4%p 상승)
      • 신규 주문 지수: 44.6% (전월 대비 2.8%p 하락)
      • 생산 지수: 44.8% (전월 대비 1.1%p 하락)
      • 고용 지수: 46% (전월 대비 2.6%p 상승)
      • 공급업체 배송 지수: 50.5% (전월 대비 2.1%p 하락)
      • 재고 지수: 50.3% (전월 대비 5.8%p 상승)
      • 고객 재고 지수: 48.4% (전월 대비 2.6%p 상승)
      • 가격 지수: 54% (전월 대비 1.1%p 상승)
      • 주문 잔고 지수: 43.6% (전월 대비 1.9%p 상승)
      • 신규 수출 주문 지수: 48.6% (전월 대비 0.4%p 하락)
      • 수입 지수: 49.6% (전월 대비 1%p 상승)

      📗 특이사항

      • 제조업 활동은 5개월 연속 수축, 22개월 중 21개월 동안 수축
      • 신규 주문과 생산, 고용 모두 수축 지속
      • 공급업체 배송은 느려졌지만 여전히 수축
      • 재고는 증가, 고객 재고는 여전히 낮음
      • 가격은 상승, 수출과 수입 모두 수축

      📕 경제적 해석 및 시사점

      • 제조업 PMI가 47.2%로 여전히 수축 국면에 있으나, 전월 대비 소폭 개선
      • 신규 주문과 생산의 지속적인 감소는 제조업 부문의 약세를 반영
      • 고용 지수의 상승은 고용 감소 속도가 둔화되었음을 시사
      • 공급업체 배송 지수의 하락은 공급망이 안정화되고 있음을 나타냄
      • 재고 증가와 고객 재고의 낮은 수준은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을 시사
      • 가격 상승은 원자재 비용 증가와 관련

      📙 향후 예상되는 시나리오

      • 제조업 부문은 당분간 약세를 지속할 가능성이 높음
      • 신규 주문과 생산의 감소는 단기적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
      • 고용 지수의 상승은 고용 시장의 점진적 안정화를 시사할 수 있음
      • 공급망의 안정화가 지속되면서 재고 관리가 개선될 가능성
      • 가격 상승 압력은 원자재 비용 증가와 함께 지속될 가능성
      • 연말과 2025년 초에는 수요 회복과 함께 제조업 부문의 개선 가능성 있음

      시장에선 재고가 증가한 부분이 수요감소의 결과로 해석함 ①화학, 금속, 종이 등 업종에서 업황 둔화, 추가 고용 중단, 주문 축소 등을 응답. 동시에 주택/리모델링에 대한 억눌린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므로, 금리인하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 ②기계는 신규주문은 줄었으나, 제품 문의는 늘었다고 응답. 장비 구매를 위한 자본이 승인되었으나, 선거를 둘러싼 불확실성으로 인해 2024년 4분기까지는 프로젝트를 보류했기 때문. 대선이 종료되면 2025년에는 주문이 회복될 가능성. ③전자/컴퓨터, 식료품은 꾸준한 성장세. IT제조업은 하반기에 침체에서 회복이 가능할 것 고용은 43.4→46.0으로 증가. ISM 측은 통화정책 방향성과 대선 불확실성으로 기업들이 자본 및 재고에 대한 투자를 꺼리고 있으며 수요 또한 여전히 부진한 상황임을 강조

    • 애틀란타연방은행GDP 는 이날 3분기 gdp전망을 2.5%에서 2%로 하향 수정함

  • [지정학적위험]

    • 지정학적위험 : 리비아의 원유 생산 중단 사태가 해결의 실마리를 찾은 것으로 보도됨. 리비아 서부통합정부와 동부 국가안정정부가 30일 이내에 리비아 중앙은행 총재와 이사회를 임명하기로 합의한 것임. 리비아의 증산 가능성은 경기침체 우려로 인한 유가하락에 추가로 영향을 주었음
  • [시장변동]

  • [종목이슈]

    • 엔비디아(NVDA, -9.5%), 반도체주 전반의 하락세 출현
      • 지난주 투자자들의 기대치를 충족하지 못했던 실적과 금일 ISM 제조업 지수 컨센 하회 등이 맞물리며 주가는 급락.
      • 이번 급락으로 엔비디아는 약 $280M 규모의 시가총액이 감소하는 모습.
      • 엔비디아를 선두로 인텔(INTC-8.8%), 마벨 테크놀로지(MRVL -8.2%), 브로드컴(AVGO, -6.2%), AMD(-7.8%), 퀄컴(QCOM -6.9%) 등이 모두 큰 폭의 주가 하락세를 보였으며,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또한 -7%대의 하락세를 기록.
      • 지난주 엔비디아는 실적 발표 후 GPM 컨센 하회, 매출 성장률둔화, 블랙웰 출시 4분기로 지연 등의 트리거로 작용하며 약 -10%의 주가 하락세를 경험
    • 보잉(BA, -7.3%), 주가 상단을 제한할 현금흐름 지표
      • Wells Fargo가 투자의견 중립→매도, TP $185→$119로 하향 조정. 이들은 보잉이 항공기 개발 과정에서 상당한 현금흐름 압박을 받을 것이라 분석. 더해, ‘27년에는 보잉을 평가하는 주요 가치 지표라고 볼 수 있는 ‘주당 현금흐름’이 정점에 달할 것이라 전망했으며, 이는 컨센 대비 15%~20% 가량 낮은 수준.
      • 또한, 현재 대차대조표에 있는 $45B 규모의 순부채를 상환하기 위해 ‘30년까지 모든 현금이 소진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언급. 한편, 해당 소식에 주가는 ‘22년 11월 이후 최하단 레벨에 위치, YTD 기준으로 -36%대의 하락세를 보이는 모습
    • US 스틸(X -6.1%), 카멀라 해리스의 US스틸 매각 반대의사
      • 카멀라 해리스 미국 부통령이 US스틸을 일본제철에 매각하는 것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표명하며 주가 하락세. 해리스는 전통산업 노동자가 많은 피츠버그 대선 캠페인을 방문해 US스틸이 미국의 역사적인 기업이라며, 미국의 강력한 철강 기업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
      • 작년 12월 일본제출은 US스틸을 약 $14.9B 규모로 인수할 계획을 발표한 바 있으나, 철강 산업이 국가안보 및 공급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만큼 정치권 반대에 휩싸이며 난항을 겪은바 있음
    • 유니티(U +2.0%), Morgan Stanley의 매수 보고서
      • Morgan Stanley가 중립→매수, TP $22로 유지하며 주가 상승 마감. 이들은 유니티의 핵심 사업 부문에서 잠재적인 상승 기회를 모색할 수 있을 것이라 언급. 더해, 현재 약 70%를 차지하고 있는 모바일 부문 시장 점유율과 게임 산업 내 경쟁력 등은 지속적인 매력을 보여주는 부분이라 평가.
      • 광고 사업 또한 업계 경쟁 심화에도 불구하고 컨센에 부합하는 매출 성장치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 전망. 그간 유니티는 저조한 실적과 구조조정, 경영진 교체 등 난관을 겪으며 2011년말 대비 약 -90%대의 주가 하락세를 경험
    • 덱스컴(DXCM, +4.4%)은 처방전 없이 구입 가능한 포도당 모니터가 출시되며 주가 상승세
    • 테슬라(TSLA, -1.6%)는 8월 중국 내 전기차 판매량이 올해 최고치를 달성했으며, 내년말 중국에서 6인승 모델Y 생산 계획 소식이 전해지며 주가 상승세를 보이는 듯 했으나, 중국 언론 측의 모델Y 생산 계획이 사실이 아니라는 발표와 나스닥 전반의 하락세 출현에 주가는 하락 마감
마지막 수정 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