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9-25

#Daily
  • [월간 일정]

  • [금주 일정]

  • [시장신호등]

    • Macro: Bad is Good
    • 시장느낌: 긍정(▲▲▲)
      • 애널리스트 분위기:
      • 내가 느끼는 무의식:
  • [느낌점] ◈위험 → 투자 축소◈(비중 조절로 현금 확보)

    • 투자성과_2024년 : BAD
  • [Macro]

    • CB소비자신뢰지수 9 월 컨퍼런스보드 소비자신뢰지수는 98.7pt 로 컨센(103.9pt)을 큰 폭으로 하회, 전월비 6.9pt 가량 하락. 5 가시 세부 항목 모두 악화되는 모습 보였는데 이 중 현재 사업여건이 부정으로 전환. 더해 고용상황에 대한 응답도 직업을 구하기 어렵다라고 답변한 비율이 전월 16.8%에서 18.3%로 상승. 임금 하락을 예상한 응답도 전월 11.7%에서 13%로 상승하며 고용에 대한 우려도 증폭
  • [지정학적위험]

  • [시장변동]

    • 미 증시는 DOW +0.20%, S&P 500 +0.25%, NASDAQ +0.56%, Russell 2000 +0.17%로 강보합 마감.

      중국의 경기부양책 발표를 반영하며 상승 출발한 미 증시. 현지 기준 오전 10 시 발표된 컨퍼런스 보드 소비자신뢰지수의 급락과 제이미 다이먼의 지정학적 상황 경고 인터뷰를 계기로 하락 전환. 이후 엔비디아를 중심으로 강한 반등이 출현하며 재차 상승 전환 후 그 폭을 확대하는 양상. 중국 인민은행장, 금융감독관리총국장, 증권감독관리위원회 주석은 24 일 합동 기자회견에서 대규모 경기 부양 패키지를 발표.

      지급준비율은 0.5%p 낮춰 1 조위안 가량의 장기 유동성을 공급하고 7 일물 역레포 금리 인하 방침을 언급. 더해 기존 주택 담보대출 인하, 2 주택구매자 계약금 요건 인하 등의 부동산 정책과 증시 유동성 지원 정책 등의 증시 부양책도 공개. 미 증시 또한 이에 반응하며 미국 상장 중국 기업 ETF 인 Golden Dragon China(PGJ)가 +9%가량 급등했으며 중국 경기 부진에도 광산 수요, 인프라 건설 등의 부가적 모멘텀으로 버티던 건설/광산 장비 종목 캐터필러도 +4% 상승. 소재(+1.4%)와 산업재(+0.7%) 섹터도 강세 기록 엔비디아는 젠슨 황의 추가적 주식매각이 없을 것이란 소식과 강한 블랙웰 수요 전망한 모건스탠리의 보고서를 재료로 소화. 더해 부진한 소비지표도 최근 연준 위원들의 비둘기파적 스탠스와 맞물리며 추가 금리 인하를 더 용이하게 할 것이란 기대감도 반등에 기여하며 다시 Bad is Good 의 흐름이 돌아오는 시그널 일부 확인되는 모습

      미 국채 금리는 2Y 3.54%(-4.9bp), 10Y 3.73%(-2.1bp)로 하락. 소비자신뢰지수 쇼크 바탕으로 11 월 50bp 인하 가능성이 상승하자 이를 반영. CME FedWatch 상 11 월 50bp 인하 확률은 1 주일전 29%에서 56.1%까지 급등.

      유가는 WTI 기준 +1.7% 상승한 $71.56 로 중국 경기부양 기대감과 중동발 지정학적 우려를 동시 반영

  • [종목이슈]

    • Golden Dragon: PGJ +9.1%, 중국 지준율 인하에 환호
      • 최근 주요 실물경기 지표 부진과 더불어 글로벌 IB들이 중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줄하향 하는 등 중국 경기에 대한 불안감 지속되자 당국은 단기간 내 지준율 50bp 인하를 결정.

        더해,역RP 금리를 1.7%→1.5%로 인하하고 2주택에 대한 LTV 상한선을 85%로 높이는 등 정부의 적극적 부양책이 이어지자 중국 관련 ETF 주가는 급등. 해당 소식에 미국 증시 전반의 상승세를 촉발했으며, 이날 소비자 신뢰지수 급락에 대한 영향도 일부 상쇄. PGJ에 이어 MSCI China ETF(+9.0%), China Large-Cap ETF(+9.9%), NASDAQ Golden Dragon China Index(+9.1%) 등 중국 관련 ETF 및 지수 모두 +9%대 상승세를 보이는 모습. 중국 빅테크 업체 알리바바(BABA +7.9%), 징동닷컴(JD +13.9%), 핀둬둬 (PDD+11.2%), 텐센트(+7.0%)도 모두 급등 마감. 한편, 중국 익스포져가 높은 업체 주가도 아웃퍼폼. 구리 최대 채광 기업 프리포트 맥모란(+7.9%)과 건설 장비 업체 캐터필러(+4.0%)도 동시에 상승 마감

  • [원자재이슈]

    • Golden Dragon: PGJ +9.1%, 중국 지준율 인하에 환호
      • 최근 주요 실물경기 지표 부진과 더불어 글로벌 IB들이 중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줄하향 하는 등 중국 경기에 대한 불안감 지속되자 당국은 단기간 내 지준율 50bp 인하를 결정.

        더해,역RP 금리를 1.7%→1.5%로 인하하고 2주택에 대한 LTV 상한선을 85%로 높이는 등 정부의 적극적 부양책이 이어지자 중국 관련 ETF 주가는 급등. 해당 소식에 미국 증시 전반의 상승세를 촉발했으며, 이날 소비자 신뢰지수 급락에 대한 영향도 일부 상쇄. PGJ에 이어 MSCI China ETF(+9.0%), China Large-Cap ETF(+9.9%), NASDAQ Golden Dragon China Index(+9.1%) 등 중국 관련 ETF 및 지수 모두 +9%대 상승세를 보이는 모습. 중국 빅테크 업체 알리바바(BABA +7.9%), 징동닷컴(JD +13.9%), 핀둬둬 (PDD+11.2%), 텐센트(+7.0%)도 모두 급등 마감. 한편, 중국 익스포져가 높은 업체 주가도 아웃퍼폼. 구리 최대 채광 기업 프리포트 맥모 란(+7.9%)과 건설 장비 업체 캐터필러(+4.0%)도 동시에 상승 마감

  • [기타 소식]

    • 기타소식 JP 모건의 CEO 제이미 다이먼은 CNBC 와의 인터뷰를 통해 지정학적 상황이 점점 악화되고 있음을 경고. 다이먼 회장은 오래전부터 지정학적 갈등이 세계의 가장 큰 리스크임을 강조한바 있으며 물가와 경기 상황으로 번질 것을 우려. 더해 현재 시장의 강한 낙관론은 경계하며 “나는 장기적으론 낙관주의자지만 모든 것이 잘될 것이라 말하는 사람들보단 회의적”이라 발언했으며 “현재 시장은 모든 것이 대단할 것처럼 자산 가격을 책정하고 있다”라고 언급
마지막 수정 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