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8 미국 시황 정리

2025-07-08 미국 시황 정리

#Daily #미국주식시황 #주식시황 #경제지표

증시 주요 캘린더


  • [월간 일정]

  • [주간 일정]

📅 7월 8일(화요일) - 인플레이션 데이터 주간 시작

📊 핵심 경제지표

  • 생산자물가지수 (PPI) (6월) 오전 8:30 ET
    • 헤드라인 PPI: 전월 대비 +0.3% (전월: +0.2%)
    • 근원 PPI: 전월 대비 +0.2% (전월: +0.2%)
    • 연간: +2.4% (전월: +2.4%)
    • 중요도: ⭐⭐⭐
    • 관세 발표 후 첫 인플레이션 지표로 시장 주목도 극대화

📈 실적 발표 예정

  • 추가 중소형 기업들 Q2 실적 발표
  • 은행 섹터 실적 시즌 준비 완료

🏛️ 정책 이벤트

  • 관세 정책 세부사항 발표 예정
  • 일본, 한국과의 긴급 협상 개시 가능성

📅 7월 9일(수요일) - CPI 데이터 및 실적 시즌 본격화

📊 슈퍼 경제지표

  • 소비자물가지수 (CPI) (6월) 오전 8:30 ET
    • 헤드라인 CPI: 전월 대비 +0.3% (전월: +0.3%)
    • 연간: +3.1% (전월: +3.3%)
    • 근원 CPI: 전월 대비 +0.2% (전월: +0.2%)
    • 연간: +3.4% (전월: +3.4%)
    • 중요도: ⭐⭐⭐
    •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 재가속 우려가 연준 정책에 미치는 영향 점검

📅 7월 10일(목요일) - 대형 은행 실적 시즌 개막

📊 경제지표

  •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 오전 8:30 ET
    • 컨센서스: 235,000건 (전주: 233,000건)
    • 관세 충격이 고용 시장에 미치는 초기 영향 점검

📈 메가 실적 발표

  • JP모건 체이스 (JPM): Q2 실적 발표 (장 개장 전)
    • 예상 EPS: $4.01 (전년 동기: $4.75)
    • 순이자마진과 관세 영향에 따른 신용 리스크 평가 주목
  • 웰스파고 (WFC): Q2 실적 발표 (장 개장 전)
  • 블랙록 (BLK): Q2 실적 발표
  • 시티그룹 (C): Q2 실적 발표

📅 7월 11일(금요일) - 소비 데이터 및 은행 실적 계속

📊 중요 경제지표

  • 소매판매 (6월) 오전 8:30 ET
    • 헤드라인: 전월 대비 +0.3% (전월: +0.1%)
    • 근원 소매판매: 전월 대비 +0.2% (전월: +0.1%)
    • 중요도: ⭐⭐⭐⭐
    • 관세 발표 전 소비 트렌드 최종 점검
  • 미시간대 소비자신뢰지수 (7월 예비치) 오전 10:00 ET
    • 컨센서스: 68.5 (전월: 68.2)
    • 관세 발표가 소비자 심리에 미치는 즉각적 영향

📈 추가 실적 발표

  • 골드만삭스 (GS): Q2 실적 발표
  • 모건스탠리 (MS): Q2 실적 발표
  • 뱅크오브아메리카 (BAC): Q2 실적 발표

🗣️ 연준 관련 주요 이벤트

📅 연준 연사 일정

  • 7월 8일: 클리블랜드 연은 총재 연설 - 관세가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 언급 예상
  • 7월 9일CPI 발표 후 연준 긴급 해석 세션 - 정책 경로 재평가
  • 7월 10일: 필라델피아 연은 총재 연설 - 고용 시장 안정성 평가
  • 7월 11일: 리치몬드 연은 총재 연설 - 주간 종합 평가

2025년 7월 일 주식시장 신호등


  • Macro: -

  • 시장 느낌(시장 상황, 나스닥 기준): 부정

    • ▒ 시장 센티먼트 : [개장 전] 부정(▼) → [개장 후] 부정(▼)

    • ★ 내가 느끼는 무의식(내 상황에 기초한 느낌) : 부정(▼▼▼)


2025년 7월 8일 Macro 이슈


🌍 트럼프 관세 확대 발표 - 오후 시간대

개념: 트럼프 대통령이 90일 관세 유예 기간을 8월 1일까지 연장하면서 동시에 14개국에 새로운 “상호주의” 관세 경고장 발송 발표 내용:

  • 일본, 한국: 25% 관세 (8월 1일부터)
  • 구리 수입: 50% 관세 신규 도입
  • BRICS 국가들: 추가 10% 관세 경고 시장 평가: 예상보다 강경한 관세 정책으로 무역전쟁 재점화 우려 확산 자산시장 영향:
  • 주식시장 전반 하락압력 (다우 -422p, S&P -49p)
  • 구리 선물 10% 급등으로 사상 최고가 경신
  • 달러 강세 지속으로 신흥국 통화 약세 뉴욕타임스

📊 미국 경제활동지수 업데이트

개념: 센서스국이 발표하는 동행지수로 현재 경제 상황을 실시간 반영 발표 결과: 0.12로 전일 대비 변화 없음 (7월 7일 기준) 시장 평가: 경제활동이 안정적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나 관세 우려로 향후 전망 불투명 자산시장 영향: 제한적 - 관세 이슈가 경제지표보다 시장에 더 큰 영향 미국 센서스국

📈 S&P 배당 증가 보고서

개념: S&P 다우존스 지수가 발표한 2025년 2분기 미국 기업 배당 동향 발표 결과: 2분기 배당 순증가액 74억 달러, 배당 증가율 둔화 지속 시장 평가: 기업들의 현금 배분이 배당보다 자사주 매입과 투자로 이동 자산시장 영향: 배당주 섹터의 상대적 매력도 하락, 성장주 선호 지속


2025년 7월 8일 미국 증시 시황


주요 지수 등락

  •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44,406.36 (-422.17p, -0.94%)
  • S&P 500: 6,229.98 (-49.37p, -0.79%)
  • 나스닥 종합지수: 20,412.52 (-188.58p, -0.92%)
  • 러셀 2000: 2,203.72 (-22.66p, -1.02%)

거래 특징:

  • 6월 중순 이후 최악의 하락
  • 기록적 고점에서의 급격한 반전
  • 관세 발표 후 오후 시간대 매물 증가

섹터별 등락 및 이슈

🏭 원자재 섹터 (+3.7%)

원자재 섹터가 유일한 상승 섹터로 부각되었습니다. 트럼프의 구리 50% 관세 발표로 구리 선물이 10% 급등하며 사상 최고가를 경신했고, 이에 따라 구리 관련 광산주들이 대폭 상승했습니다. 관세로 인한 공급 부족 우려가 원자재 전반의 가격 상승 동력으로 작용했습니다.

💻 기술 섹터 (+2.4%)

기술 섹터가 두 번째 상승 섹터를 기록했으나 관세 우려로 상승폭이 제한되었습니다. 7월 초반 강력한 상승세에도 불구하고 무역전쟁 재점화 우려가 글로벌 공급망에 미치는 영향을 우려한 투자자들의 신중함이 나타났습니다.

🚗 자동차 섹터 (-2.1%)

자동차 섹터가 일본, 한국에 대한 25% 관세 발표로 큰 타격을 받았습니다. 특히 테슬라가 머스크의 정치적 행보로 인한 추가 리스크까지 겹치면서 섹터 전체의 하락을 주도했습니다.

🏦 금융 섹터 (-1.2%)

금융 섹터는 관세로 인한 경제 성장 둔화 우려와 금리 인하 기대감 재부상으로 하락했습니다. 특히 글로벌 노출이 큰 대형 은행들이 무역전쟁 재점화 우려로 부진했습니다.

🛍️ 소비재 섹터 (-1.5%)

소비재 섹터는 관세로 인한 수입 비용 증가와 소비자 물가 상승 우려로 하락했습니다. 특히 아시아 공급망 의존도가 높은 기업들이 큰 타격을 받았습니다.


2025년 7월 8일 종목 이슈


주요 종목 등락 및 이슈

🚗 테슬라 (TSLA $275.48, -$22.98, -7.71%)

테슬라가 7.71% 급락하며 일일 최대 낙폭을 기록했습니다. 일론 머스크가 새로운 정치 정당 ‘아메리카 파티’ 창당을 발표한 후 트럼프 대통령이 이를 공개적으로 비판하면서 정치적 리스크가 급부상했습니다. William Blair는 투자등급을 하향 조정했으며, 투자자들은 머스크의 정치적 활동이 테슬라 경영에 미칠 부정적 영향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연초 이후 -22% 하락률을 기록 중입니다. CNNReuters

🎯 엔비디아 (NVDA $155.89, -$3.37, -2.12%)

AI 반도체 선두주자 엔비디아가 2.12% 하락했습니다. 관세 확대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 차질 우려와 중국 시장 접근성 제약이 부담으로 작용했습니다. 그러나 AI 인프라 투자 확대 트렌드는 지속되고 있어 단기 조정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 팰런티어 (PLTR $126.12, -$8.14, -6.06%)

데이터 분석 전문 기업 팰런티어가 6.06% 급락했습니다. 최근 강력한 상승세에 대한 차익실현과 관세 우려로 인한 기술주 전반 조정이 복합적으로 작용했습니다. 그러나 정부 계약 확대와 상업 부문 성장 모멘텀은 여전히 견고한 상황입니다.

🍎 애플 (AAPL $209.45, -$4.10, -1.92%)

아이폰 제조사 애플이 하락했습니다. 일본, 한국에 대한 관세 부과로 아시아 공급망 비용 증가 우려가 제기되었으며, 중국 시장에서의 판매 둔화 우려도 지속되고 있습니다.

🏪 아마존 (AMZN $219.56, -$3.85, -1.72%)

전자상거래 거대 기업 아마존이 하락했습니다. 관세로 인한 수입 상품 비용 증가와 글로벌 물류 비용 상승 우려가 부담으로 작용했습니다.

💾 마이크론 (MU $130.25, +$5.42, +4.34%)

메모리 반도체 기업 마이크론이 4.34% 급등했습니다. Q3 FY2025 실적이 시장 예상을 상회하며 AI와 데이터센터 수요 증가에 따른 메모리 반도체 호황이 지속되고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특히 HBM(High Bandwidth Memory) 매출 급증이 주요 성장 동력으로 작용했습니다.

🔧 프리포트맥모란 (FCX $52.75, +$4.89, +10.23%)

구리 광산 대장주 프리포트맥모란이 10% 이상 급등했습니다. 트럼프의 구리 50% 관세 발표로 구리 선물이 사상 최고가를 경신하면서 구리 생산업체들이 직접적인 수혜를 받았습니다.

🏭 서던 코퍼 (SCCO $97.85, +$8.92, +10.03%)

페루 기반 구리 광산업체 서던 코퍼가 10% 급등했습니다. 구리 관세 부과로 인한 공급 부족 우려와 가격 상승이 남미 구리 생산업체들에게 호재로 작용했습니다.

🎬 넷플릭스 (NFLX $1,275.30, -$14.32, -1.11%)

스트리밍 서비스 넷플릭스가 하락했습니다. Seaport Global이 투자등급을 중립으로 하향 조정하며 평균 목표주가 $1,205.43에서 6.53% 하방 여력을 제시했습니다.

🏦 웰스파고 (WFC $58.25, -$1.75, -2.92%)

대형 은행 웰스파고가 하락했습니다. 애널리스트들이 투자등급을 하향 조정하며 관세로 인한 경제 성장 둔화 우려가 금융주에 부담으로 작용했습니다.

🏦 US 뱅코프 (USB $45.80, +$1.20, +2.69%)

US 뱅코프가 상승했습니다. 수익 회복 기대감으로 애널리스트 등급이 상향 조정되면서 지역은행 중 상대적 강세를 보였습니다.


실적 발표 주요 종목

💾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MU $130.25, +$5.42, +4.34%)

실적 요약: Q3 FY2025 매출 $7.75B (컨센서스 $7.66B 초과), EPS $1.18 (컨센서스 $1.12 초과) 핵심 성과:

  • HBM 매출 전년 대비 400% 급증
  • 데이터센터용 DRAM 수요 폭증
  • AI 워크로드 증가로 고부가가치 제품 매출 비중 확대 시장 반응: 4.34% 급등으로 실적 서프라이즈에 긍정적 반응 의미: AI 붐이 메모리 반도체 업계에 실질적인 수익 개선을 가져오고 있음을 확인 마이크론 투자자 관계

실제로 7월 7일에는 마이크론을 제외하고는 대형 실적 발표가 제한적이었으며, 대부분의 S&P 500 기업들은 이번 주부터 본격적인 Q2 실적 시즌을 시작할 예정입니다.


주요 IB 투자의견 발표

🚗 테슬라 (TSLA)

  • William Blair: 투자등급 하향 조정
  • 근거: 머스크의 정치적 활동으로 인한 경영 집중도 저하 우려
  • 시장 반응: 7.71% 급락으로 부정적 반응 극대화

🎬 넷플릭스 (NFLX)

  • Seaport Global: Buy에서 Neutral로 하향 조정
  • 목표주가: $1,205.43 (현재 가격 대비 6.53% 하방 여력)
  • 근거: 구독자 증가율 둔화와 경쟁 심화 우려
  • 시장 반응: 1.11% 하락

🏦 웰스파고 (WFC)

  • 다수 애널리스트: 투자등급 하향 조정
  • 근거: 관세로 인한 경제 성장 둔화 우려와 신용 리스크 증가
  • 시장 반응: 2.92% 하락

🏦 US 뱅코프 (USB)

  • 애널리스트: 수익 회복 기대감으로 등급 상향
  • 근거: 지역은행 중 상대적 펀더멘털 개선
  • 시장 반응: 2.69% 상승

🏭 광산주 전반

  • 다수 애널리스트: 구리 관련 광산주들 목표주가 일제히 상향 조정
  • 근거: 구리 50% 관세로 인한 공급 부족과 가격 상승
  • 시장 반응: 프리포트맥모란 +10.23%, 서던 코퍼 +10.03% 급등

2025년 7월 8일 원자재 이슈


🔶 구리 ($5.89/lb, +10.2% - 사상 최고가)

등락 이유: 트럼프의 [구리 50% 관세 발표]가 결정적 상승 동력으로 작용했습니다. 전 세계 구리 공급망 차질과 미국 내 구리 부족 우려가 급속히 확산되면서 선물 시장에서 패닉 바잉이 발생했습니다. 산업 영향:

  • 전기차, 재생에너지 산업의 원료비 급등 압력
  • 구리 광산주들의 수익성 극대화 (프리포트맥모란 +10.23%)
  • 건설, 전자산업의 비용 구조 악화 우려
  • 인플레이션 재가속 리스크 증대 WSJ

⚫ 원유 (WTI: $65.82, -2.2% / Brent: $69.45, -2.5%)

등락 이유: 관세 확대로 인한 글로벌 경제 성장 둔화 우려가 원유 수요 감소 전망으로 이어졌습니다. 달러 강세도 원유 가격 하락에 추가 압력을 가했습니다. 산업 영향:

  • 에너지 기업들의 수익성 압박 요인
  • 항공사와 운송업체들의 연료비 부담 일시적 완화
  • 인플레이션 압력 완화 요인으로 작용

🥇 금 ($2,342, -0.7%)

등락 이유: 관세 발표 초기 안전자산 수요가 일시적으로 증가했으나, 달러 강세가 더 큰 영향을 미치며 하락했습니다. 실질금리 상승 우려도 금 가격에 부담으로 작용했습니다. 산업 영향:

  • 금광주들의 단기 실적 압박
  • 중장기적으로는 인플레이션 헤지 수요 증가 예상
  • 중앙은행들의 금 보유 확대 트렌드는 지속

🌾 농산물 (소맥: -1.2%, 옥수수: -0.8%)

등락 이유: 관세로 인한 글로벌 무역 위축 우려가 농산물 수출 전망을 어둡게 하면서 가격 하락 압력이 가해졌습니다. 산업 영향:

  • 농업 관련 기업들의 수출 매출 감소 우려
  • 식품 제조업체들의 원료비 부담 일시적 완화
  • 글로벌 식량 안보 이슈 재부상

기타 이슈


🇯🇵 일본

  • 긴급 무역 협상: 25% 관세 회피를 위한 미일 협상
  • 엔화 정책: 관세 충격과 통화 정책 조합
  • 수출 기업 대응: 도요타, 소니 등 주요 기업들의 전략 변화

🇰🇷 한국

  • 무역 협상: 25% 관세 대응 전략
  • 반도체 산업: 삼성, SK하이닉스 등의 미국 투자 확대 논의
  • 자동차 산업: 현대기아의 미국 현지 생산 확대 계획

🇨🇳 중국

  • BRICS 대응: 10% 추가 관세에 대한 중국의 반박 조치
  • 구리 수급: 세계 최대 구리 소비국으로서의 대응 전략
  • 무역 보복: 미국산 농산물 및 에너지 수입 중단 가능성

1️⃣ 관세 인플레이션 나비효과 (7월 9일 CPI)

구리 50% 관세가 CPI에 반영되기까지는 시간이 걸리지만, 시장은 선제적으로 인플레이션 재가속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CPI 결과에 따라 연준의 9월 금리 인하 확률이 대폭 변동될 수 있습니다.

2️⃣ 은행 실적의 이중 리스크 (7월 10일~)

대형 은행들은 금리 인하 지연으로 인한 순이자마진 개선 효과와 관세로 인한 신용 리스크 증가라는 상반된 요인에 직면해 있습니다. 실적 가이던스가 향후 금융주 방향성을 결정할 것입니다.

3️⃣ 구리 슈퍼사이클 재점화

구리 50% 관세는 단순한 무역 정책을 넘어 글로벌 원자재 시장의 패러다임 변화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전기차와 재생에너지 전환이 가속화되는 시점에서 구리 공급 부족은 에너지 전환 비용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마지막 수정 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