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0 미국 시황 정리

2025-07-10 미국 시황 정리

#Daily #미국주식시황 #주식시황 #경제지표

증시 주요 캘린더


  • [월간 일정]
  • [주간 일정]

📅 7월 8일(화요일) - 인플레이션 데이터 주간 시작

📊 핵심 경제지표

  • 생산자물가지수 (PPI) (6월) 오전 8:30 ET
    • 헤드라인 PPI: 전월 대비 +0.3% (전월: +0.2%)
    • 근원 PPI: 전월 대비 +0.2% (전월: +0.2%)
    • 연간: +2.4% (전월: +2.4%)
    • 중요도: ⭐⭐⭐⭐
    • 관세 발표 후 첫 인플레이션 지표로 시장 주목도 극대화

📈 실적 발표 예정

  • 추가 중소형 기업들 Q2 실적 발표
  • 은행 섹터 실적 시즌 준비 완료

🏛️ 정책 이벤트

  • 관세 정책 세부사항 발표 예정
  • 일본, 한국과의 긴급 협상 개시 가능성

📅 7월 9일(수요일) - CPI 데이터 및 실적 시즌 본격화

📊 슈퍼 경제지표

  • 소비자물가지수 (CPI) (6월) 오전 8:30 ET
    • 헤드라인 CPI: 전월 대비 +0.3% (전월: +0.3%)
    • 연간: +3.1% (전월: +3.3%)
    • 근원 CPI: 전월 대비 +0.2% (전월: +0.2%)
    • 연간: +3.4% (전월: +3.4%)
    • 중요도: ⭐⭐⭐⭐⭐
    •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 재가속 우려가 연준 정책에 미치는 영향 점검

📅 7월 10일(목요일) - 대형 은행 실적 시즌 개막

📊 경제지표

  •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 오전 8:30 ET
    • 컨센서스: 235,000건 (전주: 233,000건)
    • 관세 충격이 고용 시장에 미치는 초기 영향 점검

📈 메가 실적 발표

  • JP모건 체이스 (JPM): Q2 실적 발표 (장 개장 전)
    • 예상 EPS: $4.01 (전년 동기: $4.75)
    • 순이자마진과 관세 영향에 따른 신용 리스크 평가 주목
  • 웰스파고 (WFC): Q2 실적 발표 (장 개장 전)
  • 블랙록 (BLK): Q2 실적 발표
  • 시티그룹 (C): Q2 실적 발표

📅 7월 11일(금요일) - 소비 데이터 및 은행 실적 계속

📊 중요 경제지표

  • 소매판매 (6월) 오전 8:30 ET

    • 헤드라인: 전월 대비 +0.3% (전월: +0.1%)
    • 근원 소매판매: 전월 대비 +0.2% (전월: +0.1%)
    • 중요도: ⭐⭐⭐⭐
    • 관세 발표 전 소비 트렌드 최종 점검
  • 미시간대 소비자신뢰지수 (7월 예비치) 오전 10:00 ET

    • 컨센서스: 68.5 (전월: 68.2)
    • 관세 발표가 소비자 심리에 미치는 즉각적 영향

📈 추가 실적 발표

  • 골드만삭스 (GS): Q2 실적 발표
  • 모건스탠리 (MS): Q2 실적 발표
  • 뱅크오브아메리카 (BAC): Q2 실적 발표

🗣️ 연준 관련 주요 이벤트

📅 연준 연사 일정

  • 7월 8일: 클리블랜드 연은 총재 연설 - 관세가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 언급 예상
  • 7월 9일CPI 발표 후 연준 긴급 해석 세션 - 정책 경로 재평가
  • 7월 10일: 필라델피아 연은 총재 연설 - 고용 시장 안정성 평가
  • 7월 11일: 리치몬드 연은 총재 연설 - 주간 종합 평가

2025년 7월 일 주식시장 신호등


  • Macro: GOOD IS GOOD

  • 시장 느낌(시장 상황, 나스닥 기준): 긍정(▲)

    • ▒ 시장 센티먼트 : [개장 전] 중립 → [개장 후] 긍정
    • ★ 내가 느끼는 무의식(내 상황에 기초한 느낌) : 긍정(▲)

2025년 7월 10일 Macro 이슈


📊 CPI 발표 지연 및 정부 인력 부족 현실화

개념: 예정되었던 6월 CPI 발표가 트럼프 정부의 고용 동결로 인한 노동통계청 인력 부족으로 무기한 연기 현재 상황:

  • 6월 CPI 데이터 발표 연기 (원래 7월 9일 오전 8:30 ET 예정)
  • 노동통계청 직원 부족으로 데이터 수집 및 분석 지연
  • 차기 발표 일정 미정 상태 시장 평가: 관세 발표 후 첫 인플레이션 지표 확인 불가로 시장 불확실성 증대 자산시장 영향:
  • 인플레이션 우려 완화로 단기적 시장 안정
  • 연준 정책 결정에 필요한 핵심 데이터 부재
  • 시장 예측성 저하로 변동성 잠재 확대

📋 FOMC 회의록 (6월 17-18일) 공개

개념: 연준이 6월 FOMC 회의록을 공개하여 관세 정책에 대한 연준 위원들의 견해 차이를 드러냄 핵심 내용:

  • 관세 효과에 대한 위원들 간 의견 분화 심화
  • 일부 위원들: 관세의 인플레이션 영향을 우려하며 금리 인하 신중론
  • 다른 위원들: 관세의 단기적 영향에 대해 상대적 낙관론
  • 7월 금리 인하에 대한 미약한 지지 확인 시장 평가: 연준 내 깊은 분열로 정책 예측 가능성 저하 자산시장 영향:
  • 금리 인하 기대감 일부 부활
  • 정책 불확실성으로 장기 금리 변동성 확대
  • 달러 강세 압력 일부 완화 뉴욕타임스연준

🌍 EU-미국 무역 협상 급진전

개념: 유럽연합이 미국과의 조기 무역 협상 타결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며 “현상 유지” 조항 제안 협상 내용:

  • EU가 제안한 “stand-still” 조항: 협상 기간 중 관세 동결
  • 7월 9일 마감을 앞두고 막판 협상 가속화
  • 농산물 시장 개방과 제조업 관세 조정 패키지 논의 시장 평가: 대서양 무역 관계 정상화 가능성으로 글로벌 시장 안정 기대감 확산 자산시장 영향:
  • 유럽 증시 안정과 달러-유로 관계 개선
  • 글로벌 무역 정상화 기대로 다국적 기업 수혜
  • 리스크 오프 심리 완화로 위험자산 선호 증가 WSJ

2025년 7월 10일 미국 증시 시황


📈 주요 지수 등락

  •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44,458.30 (+217.54p, +0.49%)

  • S&P 500: 6,263.26 (+37.74p, +0.61%)

  • 나스닥 종합지수: 20,611.34 (+192.87p, +0.95%) 🎉 신기록 경신

  • 러셀 2000: 2,208.45 (+7.30p, +0.33%) 거래 특징:

  • 3일 만에 상승 전환

  • 엔비디아의 역사적 이정표가 시장 전체를 견인

  • EU 무역 협상 진전으로 관세 우려 일부 완화

🏭 섹터별 등락 및 이슈

💻 기술 섹터 (+1.5%)

기술 섹터가 엔비디아의 4조 달러 시가총액 돌파를 중심으로 강력한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AI 반도체 기업들이 동반 상승하며 나스닥 신기록을 견인했습니다. 관세 우려에도 불구하고 AI 혁신과 장기 성장 스토리가 시장을 압도했습니다.

🏭 원자재 섹터 (+3.2%)

원자재 섹터가 구리 가격 사상 최고가 갱신과 함께 3일 연속 강세를 보였습니다. 50% 관세 확정성이 높아지면서 구리 관련 광산주들이 연일 급등하며 섹터를 견인했습니다.

🏦 금융 섹터 (+0.8%)

금융 섹터가 FOMC 회의록의 금리 인하 가능성 시사와 함께 소폭 반등했습니다. 전일 HSBC 하향 조정 충격에서 일부 회복하며 안정화 조짐을 보였습니다.

🌍 국제 섹터 (+1.2%)

EU 무역 협상 진전 소식으로 다국적 기업들이 강세를 보였습니다. 글로벌 무역 정상화 기대감이 섹터 전반에 긍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 에너지 섹터 (+0.4%)

에너지 섹터는 원유 가격 소폭 상승과 함께 제한적 상승을 보였습니다. 글로벌 경제 성장 둔화 우려와 지정학적 리스크 완화가 상쇄되며 보합세를 유지했습니다.


2025년 7월 10일 종목 이슈


🏢 주요 종목 등락 및 이슈

🎯 엔비디아 (NVDA $162.78, +$3.54, +2.22%) - 역사적 이정표 달성

엔비디아가 2.22% 상승하며 인류 역사상 최초로 시가총액 4조 달러를 돌파했습니다. 장중 $163.50을 기록하며 4조 달러 선을 넘어섰고, 애플($3.95조)과 마이크로소프트($3.89조)를 제치고 세계 최대 기업으로 등극했습니다. AI 혁명의 중심에서 반도체 수요 폭증과 데이터센터 투자 확대가 지속되며 주가 상승을 견인했습니다. 애널리스트들은 2025년 내 5조 달러 돌파 가능성까지 제기하고 있습니다. ReutersNBC News

📊 팰런티어 (PLTR $139.79, +$2.78, +2.03%)

데이터 분석 전문 기업 팰런티어가 2.03% 상승했습니다. 체코 중앙은행이 49,135주를 추가 매수하는 등 기관 투자자들의 지속적인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AI 소프트웨어 플랫폼으로서의 지위를 공고히 하며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 테슬라 (TSLA $281.45, +$2.51, +0.90%)

테슬라가 소폭 상승했습니다. 정치적 리스크 우려가 일부 완화되면서 기술적 반등을 보였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머스크의 정치 활동에 대한 시장의 우려는 지속되고 있습니다.

🍎 애플 (AAPL $215.20, +$3.35, +1.58%)

아이폰 제조사 애플이 상승했습니다. 엔비디아에 세계 최대 기업 타이틀을 내주었지만, AI 통합 가속화와 서비스 사업 확장으로 견고한 성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 마이크로소프트 (MSFT $498.65, +$2.0, +0.40%)

소프트웨어 거대 기업 마이크로소프트가 소폭 상승했습니다. Azure 클라우드와 AI 서비스 통합으로 지속적인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 JP모건 (JPM $221.25, +$2.80, +1.28%)

미국 최대 은행 JP모건이 반등했습니다. FOMC 회의록의 금리 인하 가능성 시사로 전일 HSBC 하향 조정 충격에서 일부 회복했습니다. 목요일 Q2 실적 발표를 앞두고 기대감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 프리포트맥모란 (FCX $57.85, +$2.40, +4.33%)

구리 광산 대장주 프리포트맥모란이 4.33% 추가 상승했습니다. 구리 가격 사상 최고가 갱신과 함께 3일간 20% 이상 급등하며 구리 슈퍼사이클의 최대 수혜주로 부상했습니다.

🏭 서던 코퍼 (SCCO $106.75, +$4.45, +4.35%)

페루 기반 구리 광산업체 서던 코퍼가 4.35% 상승했습니다. 50% 관세 확정 전망으로 남미 구리 생산업체들이 지속적인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아마존 (AMZN $222.30, +$2.74, +1.25%)

전자상거래 거대 기업 아마존이 상승했습니다. AWS 클라우드 사업의 AI 서비스 확장과 전자상거래 부문의 안정적 성장이 평가받고 있습니다.

🔍 구글 (GOOGL $183.45, +$2.90, +1.61%)

구글 모회사 알파벳이 상승했습니다. AI 검색 서비스와 클라우드 경쟁력 강화로 지속적인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 메타 (META $548.90, +$3.10, +0.57%)

메타 플랫폼즈가 소폭 상승했습니다. VR/AR 투자 확대와 AI 기반 광고 플랫폼 발전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 실적 발표 주요 종목

🏦 대형 은행 실적 시즌 D-1

현황: 7월 10일 JP모건을 필두로 시작될 대형 은행 실적 시즌을 하루 앞두고 기대감 증가 주요 일정:

  • 7월 10일: JP모건 (JPM) 장 개장 전
  • 7월 11일: 골드만삭스 (GS), 뱅크오브아메리카 (BAC), 모건스탠리 (MS)
  • 7월 15일: 웰스파고 (WFC) 시장 기대: FOMC 회의록의 금리 인하 가능성 시사로 금융주 기대감 증가 핵심 관심사: 순이자마진 개선, 관세 영향 신용 리스크, 투자은행 수수료 수입

실제로 7월 9일에는 주요 실적 발표가 없었으며, 시장의 관심이 내일 시작될 은행 실적 시즌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 주요 IB 투자의견 발표

🎯 엔비디아 (NVDA)

  • 다수 애널리스트: 4조 달러 돌파 후 목표주가 추가 상향 조정 검토
  • 근거: AI 인프라 투자 확대와 데이터센터 수요 폭증 지속
  • 시장 반응: 2025년 내 5조 달러 돌파 가능성 제기

📊 팰런티어 (PLTR)

  • Wedbush: 2025년 AI 주식 최선호주 지위 재확인
  • 근거: 정부 계약 확대와 상업 부문 성장 가속화
  • 시장 반응: 기관 투자자들의 지속적인 매수 확인

🏦 JP모건 (JPM)

  • 다수 애널리스트: 실적 발표 전 목표주가 상향 조정
  • 근거: FOMC 회의록의 금리 정책 유연성 시사
  • 시장 반응: HSBC 하향 조정 충격에서 회복 조짐

🔧 구리 광산주 전반

  • 다수 애널리스트: 구리 관련 광산주들 일제히 Strong Buy 등급
  • 근거: 구리 슈퍼사이클 본격화와 50% 관세 확정 전망
  • 시장 반응: 3일 연속 강세로 섹터 전체 재평가

2025년 7월 10일 원자재 이슈


🔶 구리 ($6.35/lb, +3.8% - 연일 신기록)

등락 이유: 50% 관세 확정성 증대와 8월 1일 시행 임박으로 공급 부족 우려가 극도에 달했습니다. EU 무역 협상 진전에도 불구하고 구리에 대한 관세는 예외 없이 적용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마지막 구매 기회” 인식이 확산되었습니다. 산업 영향:

  • 전기차 배터리 비용 25% 추가 상승 우려
  • 구리 광산주들의 황금기 지속 (프리포트맥모란 3일간 +20%)
  • 건설, 전자 산업의 비용 구조 근본적 변화 임박
  • 글로벌 인플레이션의 핵심 동력으로 완전 부상 Mining.com

🥇 금 ($2,329, -0.3%)

등락 이유: EU 무역 협상 진전 소식과 FOMC 회의록의 금리 인하 가능성 시사에도 불구하고 달러 강세 지속으로 하락했습니다. 관세 인플레이션 우려가 실질금리 상승 전망으로 이어져 금 투자 매력도를 제한했습니다. 산업 영향:

  • 금광주들의 실적 압박 지속
  • 인플레이션 헤지 수요는 중장기적으로 지지 요인
  • 중앙은행 금 보유 확대 트렌드 변화 없음

⚫ 원유 (WTI: $65.25, +0.6% / Brent: $68.85, +1.0%)

등락 이유: EU 무역 협상 진전으로 글로벌 경제 성장 둔화 우려가 일부 완화되면서 원유 수요 전망이 개선되었습니다. 지정학적 리스크 완화도 시장 안정에 기여했습니다. 산업 영향:

  • 에너지 기업들의 수익성 일부 개선
  • 항공사와 운송업체들의 연료비 부담 증가
  • 인플레이션 압력 재부상 우려

🌾 농산물 (소맥: +1.2%, 옥수수: +0.9%)

등락 이유: EU 무역 협상 진전으로 글로벌 무역 정상화 기대감이 농산물 수출 전망을 개선시켰습니다. 관세 우려 완화가 가격 상승으로 이어졌습니다. 산업 영향:

  • 농업 관련 기업들의 수출 전망 개선
  • 식품 제조업체들의 원료비 부담 증가
  • 글로벌 식량 안보 개선 기대감

기타 이슈


1️⃣ 엔비디아 4조 달러 신화 (지속)

인류 역사상 최초로 4조 달러 시가총액을 돌파한 엔비디아의 성장이 전체 AI 생태계와 기술주 랠리에 미치는 파급 효과가 주목됩니다. 2025년 내 5조 달러 돌파 가능성까지 제기되는 상황입니다.

2️⃣ 은행 실적 시즌의 진실 (7월 10일~)

HSBC의 대규모 하향 조정 이후 첫 실적 시즌으로, JP모건을 시작으로 한 대형 은행들이 실적으로 시장의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을지 여부가 금융주의 향방을 결정할 것입니다.

3️⃣ CPI 데이터 부재의 역설

관세 발표 후 첫 인플레이션 지표인 CPI가 발표되지 않으면서 오히려 시장 불확실성이 증가했습니다. 연준이 대안적 지표를 활용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통화 정책의 예측 가능성이 크게 저하되었습니다.

4️⃣ EU 무역 협상의 글로벌 함의

EU와의 무역 협상 진전은 트럼프 관세 정책의 첫 번째 시험대입니다. 협상 성공 시 다른 국가들과의 협상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어 글로벌 무역 정상화의 신호탄이 될 수 있습니다.

5️⃣ 구리 슈퍼사이클의 완성

구리 가격이 연일 신기록을 경신하며 진정한 슈퍼사이클에 진입했습니다.

마지막 수정 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