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3 미국 시황 정리

2025-07-23 미국 시황 정리

#Daily #미국주식시황 #주식시황 #경제지표

증시 주요 캘린더


  • [월간 일정]

  • [주간 일정]


2025년 7월 23일 주식시장 신호등


  • Macro: -

  • 시장 느낌(시장 상황, 나스닥 기준): 부정

    • ▒ 시장 센티먼트 : [개장 전] 투매 → [개장 후] 부정

    • ★ 내가 느끼는 무의식(내 상황에 기초한 느낌) : 부정(▲)


1. 오늘의 경제지표 & Macro & 개별종목 주요 이슈

🚨 S&P 500 연속 신고가 행진 속 혼조세 마감

개념: S&P 500이 3거래일 연속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2025년 들어 11번째 기록을 달성했으나, 섹터별 차별화가 뚜렷하게 나타남

현재 상황:

  • S&P 500 종가 기준 6,309.62 (전일 대비 +4.02p, +0.06%)
  • 나스닥 20,892.68 (-81.49p, -0.4%)
  • 다우존스 44,502.44 (+179.37p, +0.4%)
  • 거래량 평균 대비 증가세

시장 평가:

  • 기술주 내 양극화 현상 심화
  • 대형주 강세 지속되나 성장주 차별화
  • 트럼프 관세 정책 불확실성으로 변동성 확대

🌍 글로벌 구리 가격 신고가 경신 - 관세 우려 확산

개념: 구리 가격이 파운드(lb)당 5.74달러로 신기록을 달성하며 2025년 들어 40% 이상 상승, 전날 대비 2.54% 급등

현재 상황:

  • 구리 가격 5.74 USD/Lbs (+2.54% 일일 상승)
  • 2025년 누적 상승률 37.97%
  • 월간 상승률 17.71%
  • 트럼프 8월 1일 50% 관세 부과 예고

시장 영향:

  • 산업용 원자재 인플레이션 압력 증가
  • 제조업 비용 상승 우려
  • 구리 관련 광산주 강세

2. 오늘의 주식 시황

📈 주요 지수 등락

  •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44,502.44 (+179.37p, +0.40%)

  • S&P 500: 6,309.62 (+4.02p, +0.06%) 신고가 달성

  • 나스닥 종합지수: 20,892.68 (-81.49p, -0.40%)

  • 러셀 2000: 소형주 지수는 혼조세 거래 특징:

  • S&P 500 연속 신고가 달성으로 강세 지속

  • 기술주 내부 차별화 현상 뚜렷

  • 가치주 대비 성장주 상대적 약세

섹터별 등락 및 이슈

💻 기술 섹터 (+0.5%)

기술 섹터는 혼조세를 보였으나 전체적으로는 소폭 상승했습니다. 특히 AI 관련 주식들이 강세를 보인 반면, 일부 대형 기술주는 부진했습니다.

🏦 금융 섹터 (+0.8%)

금융 섹터가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2분기 실적 발표 시즌을 앞두고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됩니다.

주요 종목 등락 및 이슈

[🚀급등] 오클로 (OKLO) $63.15 (+5.2%)

오클로(OKLO)가 5% 이상 상승했습니다. 소형 모듈러 원자로(SMR) 기술에 대한 투자자 관심이 증가하면서 원자력 관련 주식들이 전반적으로 강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청정 에너지 전환과 AI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 증가가 긍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상승] 컨스텔레이션 에너지 (CEG) $335.28 (+5.50%)

컨스텔레이션 에너지(CEG)가 5.5% 급등했습니다. 원자력 발전 사업자로서 AI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 증가와 청정 에너지 정책 강화로 수혜를 받고 있습니다. 특히 [마이크로소프트와의 전력 공급 계약 확대 소식]이 긍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급락] 로켓랩 (RKLB) $46.88 (-0.66%)

로켓랩(RKLB)은 소폭 하락했습니다. 이틀간 8.78% 하락한 상황으로, 우주 관련 주식의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거래량은 전일 대비 21.56% 감소했습니다.

[📉급락] 오픈도어 (OPEN) $2.88 (-10.28%)

오픈도어(OPEN)가 10% 이상 급락했습니다. 밈주식 열풍으로 한때 급등했으나 거래 정지 후 급락하며 투기적 매매가 진정되는 모습입니다. 부동산 기술 기업으로서의 펀더멘털과 괴리된 주가 움직임이 나타났습니다.

[📈상승] 코인베이스 (COIN) $404.94 (+0.12%)

코인베이스(COIN)는 소폭 상승했습니다. 비트코인이 $117,500 수준에서 거래되면서 암호화폐 거래소 주식도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습니다.

[📉하락] 써클 (CRCL) $216.10 (-2.1%)

써클(CRCL)은 2% 이상 하락했습니다. 스테이블코인 발행업체로서 암호화폐 시장 변동성에 영향을 받았습니다.

테슬라(TSLA) $329.74 (+0.38%)

테슬라가 소폭 상승했습니다. 7월 24일 2분기 실적 발표를 앞두고 투자자들이 전기차 인도량과 자율주행 FSD 매출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옵션 시장에서는 실적 발표 후 약 7% 또는 22달러 범위의 움직임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엔비디아(NVDA) $167.03 (-2.5%)

엔비디아가 2.5% 하락하며 반도체 섹터 전반의 하락세를 주도했습니다. 관세 우려와 함께 2025년 주가 급락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면서 투자심리가 악화되었습니다. 167달러 수준에서 공정가치 범위 내에서 거래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애플(AAPL) $214.40 (+0.90%)

애플이 0.9% 상승했습니다. EU 앱스토어 수수료 정책 수정으로 유럽연합 벌금을 피할 수 있게 되면서 긍정적으로 평가받았습니다. 또한 백투스쿨 시즌을 앞두고 소매 수요 증가 기대감이 반영되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MSFT) $506.45 (+0.23%)

마이크로소프트가 소폭 상승했습니다. Azure 클라우드 사업의 지속적인 성장세와 AI 서비스 확대가 긍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아마존(AMZN) $227.43 (-0.95%)

아마존이 0.95% 하락했습니다. 지난 30일 평균 가격 221.20달러 대비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나 단기적으로 조정을 받고 있습니다.

메타(META) $704.47 (-1.2%)

메타가 1.2% 하락했습니다. 거래량이 전일 대비 76% 감소한 가운데 기술주 전반의 조정 흐름에 영향을 받았습니다.

알파벳(GOOGL)

구글 모회사 알파벳은 7월 24일 2분기 실적 발표를 앞두고 혼조세를 보였습니다. 매그니피센트 7 중 가장 저평가된 주식으로 평가받으며 선물 주가수익비율(PER) 20배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습니다.

🏦 금융 섹터

JP모건(JPM) $291.43 (+0.11%)

JP모건이 소폭 상승했습니다. 2분기 실적을 앞두고 트레이딩 수익 증가와 투자은행 부문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되었습니다.

웰스파고(WFC) $82.38 (+2.62%)

웰스파고가 2.6% 급등했습니다. 2분기 실적 기대감과 함께 금리 환경 개선에 따른 순이자마진 회복 기대가 주가 상승을 견인했습니다.

골드만삭스(GS) $706.00 (-0.32%)

골드만삭스가 소폭 하락했습니다. 9.14% 상승세를 보이며 연간 강세를 유지하고 있으나 단기적으로 조정을 받고 있습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AC) $47.77 (+0.61%)

뱅크오브아메리카가 0.6% 상승했습니다. 거래량이 166억 달러에 달하며 시장에서 40위를 기록하는 등 활발한 거래를 보였습니다.

⛽ 에너지 섹터

엑슨모빌(XOM) $108.05 (+0.8%)

엑슨모빌이 상승했습니다. 원유 가격 상승과 함께 하반기 에너지 섹터 전망이 개선되면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습니다.

쉐브론(CVX) $149.68 (+0.7%)

쉐브론이 0.7% 상승했습니다. 헤스(Hess) 인수 거래 완료로 석유 포트폴리오 확장과 함께 10억 달러 규모의 비용 시너지 효과가 기대됩니다.

코노코필립스(COP) $91.00 (+0.6%)

코노코필립스가 상승했습니다. 에너지 섹터 내 우승주로 평가받으며 안정적인 성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 반도체 섹터

브로드컴(AVGO) $288.21 (-3.34%)

브로드컴이 3.3% 급락했습니다. 반도체 섹터 전반의 조정과 함께 AI 칩 수요에 대한 우려가 반영되었습니다. 목표주가 290달러 대비 적정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습니다.

인텔(INTC) $23.24 (-0.09%)

인텔이 소폭 하락했습니다. Loop Capital이 ‘중립’ 등급으로 신규 커버리지를 시작하며 ‘캐치-22’ 상황에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AMD(AMD)

AMD는 데이터센터 AI 칩 수요 증가로 KeyBanc에서 유리한 포지션에 있다고 평가받았습니다.

✈️ 항공 섹터

델타항공(DAL) $55.67 (-0.66%)

델타항공이 소폭 하락했습니다. 2분기 실적 시즌을 앞두고 항공업계 전반적인 조정을 받았습니다.

유나이티드항공(UAL)

유나이티드항공은 델타항공과의 비교 분석에서 투자 매력도를 두고 경쟁하고 있습니다.

아메리칸항공(AAL) $12.94 (+17.36% 월간)

아메리칸항공이 7월 들어 17.36% 급등하며 주목받고 있습니다. 7월 24일 2분기 실적 발표를 앞두고 있습니다.

🛒 소매 섹터

월마트(WMT) $95.85 (+0.19%)

월마트가 소폭 상승했습니다. 백투스쿨 시즌을 앞두고 소매 수요 증가 기대감이 반영되었으며, 컨센서스 목표주가 106.67달러 대비 11% 상승 여력이 있다고 분석됩니다.

타겟(TGT) $106.54 (+4.75%)

타겟이 4.75% 급등하며 소매 섹터 내 강세를 보였습니다. 백투스쿨 시즌 수혜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 광산 섹터

시바니 스틸워터(SBSW) $9.58 (+1.48%)

시바니 스틸워터가 1.48% 상승했습니다. 팔라듐과 백금 생산업체로서 원자재 가격 상승의 수혜를 받았습니다. 52주 최고가 9.66달러에 근접한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연간 115.28% 상승을 기록했습니다.

⚛️ 원자력 섹터

뉴스케일 파워(SMR) $44.44 (-2.20%)

뉴스케일 파워가 2.2% 하락했습니다. 소형 모듈러 원자로(SMR) 기술 개발업체로서 장기적 성장 전망은 밝으나 단기적으로 조정을 받고 있습니다. 1분기 매출이 134만 달러에서 1,340만 달러로 급증한 성과를 보였습니다.

🏥 헬스케어 섹터 주요 종목

화이자(PFE): $24.43 (소폭 상승)

배당수익률 6.84%로 가치주 매력 부각

존슨앤존슨(JNJ): $162.98 (소폭 상승)

의료기기 부문 성장 지속

모더나(MRNA): $30.97 (64% 할인 상태)

mRNA 기술 주식 중 저평가 구간


3. 원자재 시황

🔶 구리 ($5.74/lb, +2.54%)

급등 배경: 트럼프 대통령의 8월 1일부터 구리 수입 관세 50% 부과 발표로 공급 충격 우려가 확산되었습니다. 런던 기반 Benchmark Mineral Intelligence에 따르면 미국 소비자는 톤당 15,000달러, 나머지 세계는 10,000달러 수준을 지불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산업 영향:

  • 전자제품 제조 비용 급증
  • 건설업계 원자재 비용 상승
  • 자동차 산업 전기차 생산 비용 증가
  • 구리 대체재 개발 투자 확대

🥇 금 ($3,413/온스, +0.9%)

금이 0.9% 상승하며 온스당 3,413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지정학적 리스크와 인플레이션 우려로 안전자산 수요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 은 ($39.28/온스, +0.9%)

은이 0.9% 상승했습니다. 산업용 수요와 투자 수요가 동시에 증가하면서 가격 상승을 견인했습니다.

⚫ 원유 (WTI: $65.57/배럴, +0.40%)

WTI 원유가 0.4% 상승했습니다. 중동 지정학적 리스크와 글로벌 수요 회복 기대감이 균형을 이루고 있습니다.


4. 가상화폐 시황

💰 비트코인 ($117,514, +0.1%)

비트코인이 소폭 상승하며 $117,500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습니다. $118,000 저항선을 돌파하지 못했으나 $117,500 지지선을 견고하게 유지하고 있습니다.

시장 영향:

  • 기관 투자자 지속적 매수세
  • 비트코인 ETF 자금 유입 지속
  • 4조 달러 암호화폐 시가총액 돌파 이후 조정

💎 이더리움 ($3,773.78, +0.1%)

이더리움이 소폭 상승했습니다. $3,700 수준에서 안정적인 거래를 보이며 디파이 생태계 확장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5. 주요 IB 투자의견 발표

🏦 웰스파고 (Wells Fargo)

대상: 골드만삭스 (GS) - 목표주가 $785 유지 등급: Overweight 유지 근거: 트레이딩 수익 급증과 투자은행 부문 회복세로 2분기 실적 기대

📊 씨티 (Citi)

대상: 오클로 (OKLO) - 목표주가 상향 조정 등급: Buy 유지 근거: SMR 기술 상용화 가속화와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 급증


6. 다음 주 주요 경제지표 및 실적발표 일정

📅 7월 23일(수요일)

📊 중요 경제지표

  • 기존주택 판매 (6월) 오전 10:00 ET
    • 컨센서스: 연율 410만 호 (전월: 400만 호)
    • 중요도: ⭐⭐⭐

📈 주요 실적 발표

  • IBM: 2분기 실적 발표 (장 마감 후)
  • Tesla: 2분기 실적 발표 (장 마감 후)
    • 핵심 관심사: 전기차 인도량, 자율주행 FSD 매출

📅 7월 24일(목요일)

📊 중요 경제지표

  • GDP 속보치 (2분기) 오전 8:30 ET
    • 컨센서스: 연율 2.3% (1분기: 1.4%)
    • 중요도: ⭐⭐⭐⭐⭐

📈 주요 실적 발표

  • Alphabet (Google): 2분기 실적 발표 (장 마감 후)
    • 핵심 관심사: 클라우드 매출, AI 관련 투자 및 수익

7. 섹터별 주목 포인트

⚡ 에너지/원자력 섹터

강세 요인:

  • AI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 폭증
  • 청정 에너지 전환 정책 강화
  • SMR 기술 상용화 가속

투자 포인트:

  • 기존 원자력 발전소 가동률 확대
  • 차세대 원자로 기술 개발 투자 확대
  • 전력 공급 계약 확대로 안정적 수익 구조

🏗️ 원자재/광산 섹터

강세 요인:

  • 구리 관세 부과로 국내 생산업체 수혜
  • 인프라 투자 확대 기대
  • 전기차 보급 확산으로 원자재 수요 증가

투자 포인트:

  • 미국 내 구리 광산 운영업체 집중 투자
  • 구리 대체재 개발 기업 관심 증가
  • 재활용 관련 기업 수혜 예상

8. 글로벌 주요 이벤트

🇺🇸 미국

  • 무역정책: 8월 1일 구리 관세 50% 부과 시행
  • 통화정책: 연준 9월 금리 인하 가능성 지속 관찰
  • 에너지정책: 원자력 발전 확대 정책 지속

🇨🇳 중국

  • 무역정책: 미국 관세 정책에 대한 대응 방안 검토
  • 경제정책: 구리 등 원자재 공급망 다변화 추진

🇪🇺 유럽

  • 에너지정책: 청정 에너지 전환 가속화
  • 무역정책: 미중 무역 갈등 속 유럽 기업 수혜 가능성

9. 다음주 핵심 주목 포인트

🔍 5대 핵심 관전포인트

1. 2분기 GDP 속보치 발표

  • 경제 성장률 회복세 지속 여부
  • 소비 지출과 기업 투자 동향
  • 인플레이션 압력 변화

2. 빅테크 2분기 실적 집중

  • Tesla, Alphabet 실적 주목
  • AI 투자 대비 수익성 개선
  • 클라우드 사업 성장 지속성

3. 구리 관세 부과 영향 확산

  • 제조업 비용 상승 압력
  • 구리 관련 주식 급등세 지속 여부
  • 인플레이션 재점화 우려

4. 원자력 섹터 모멘텀 지속성

  • SMR 기술 상용화 진전
  • 데이터센터 전력 계약 확대
  • 청정 에너지 정책 추진 현황

5. 암호화폐 시장 방향성

  • 비트코인 $120,000 돌파 여부
  • 기관 투자자 자금 유입 지속성
  • 규제 환경 변화 모니터링
마지막 수정 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