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9 미국 시황 정리
#Daily #미국주식시황 #주식시황 #경제지표
증시 주요 캘린더
[월간 일정]
[주간 일정]
2025년 7월 29일 주식시장 신호등
Macro: -
시장 느낌(시장 상황, 나스닥 기준): 중립

▒ 시장 센티먼트 : [개장 전] 중립 → [개장 후] 중립
★ 내가 느끼는 무의식(내 상황에 기초한 느낌) : 긍정(▲)
1. 오늘의 경제지표 & Macro & 개별종목 주요 이슈
🌍 미국-EU 무역 협상 타결
개념: 미국과 유럽연합(EU)이 8월 1일 예정되었던 관세 인상을 막기 위한 무역 협상을 타결하면서 시장의 무역 긴장 완화
현재 상황:
미국 대통령 트럼프와 EU 집행위원장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이 주말 스코틀랜드에서 회담 진행
양측이 주요 산업 부문에서 관세 인상 방지 합의
미국-일본에 이어 EU와도 무역 관계 개선 전망
- EU산 제품에 대한 15% 관세 부과: EU산 자동차에 대해서도 15% 관세
- EU측, 미 에너지 7,500억 달러 구매(연간 2,500억 달러씩, 향후 3년간 총 7,500억 달러 구매) 및 미국에 6,000억 달러 투자
- 다만, 반도체 및 의약품에 대해서는 양측의 발표 내용이 다소 차이가 있어 추가 논의가 진행될 전망임
시장 영향:
초반 시장 상승세 견인, 특히 제조업 및 산업 부문 강세
원자재 시장 상승, 글로벌 무역 불확실성 완화
달러 강세
▶ [2029-07-29, 이그전 KB 리포트 참고]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질수록 통화가 약세를 보이기 쉬운데, 이는 인플레가 높아지 면 실질금리가 마이너스로 떨어지고, 그 결과 투자자 이탈과 통화 급락이 발생하기 때문 역사상 모든 ‘성공한 금융억압’은 ‘실질금리를 마이너스’로 만들었고, 이는 ‘통화 급락’과 연결되었다. 미국도 예외가 아님
5월 중국과 합의, 7월 말 일본/EU와 합의는 ‘기대 인플레’를 하락시켰는데, ‘기대 인플레’가 하락하면 ‘실질금리’ 는 상승하고, 실질금리 상승으로 ‘달러강세’가 나타나게됨
5월과 7월에 유독 달러강세가 나타났던 이유인데,당분간 달러는 강세 가능성이 높으며, 달러 강세 업종으로 순환매가 있을 수 있음.
다음 달러약세는 실질금리가 하락 (① 기대 인플레↑ or ② 금리인하 기대↑)할 시점이다
📊 FOMC 회의 개최 앞두고 관망세
개념: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7월 29-30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앞두고 시장 변동성 제한
현재 상황:
- 시장은 7월 기준금리 동결 가능성에 95% 이상 확신
- 4.25-4.50% 현 금리 수준 유지 전망
- 향후 금리 인하 가능성에 대한 신호 주목
시장 평가:
- 인플레이션 데이터 개선으로 연내 금리 인하 기대감 지속
- 고용시장 및 소비 데이터가 경제 연착륙 가능성 뒷받침
💻 삼성전자-테슬라 반도체 계약 체결
개념: 삼성전자가 테슬라로부터 23조원 규모의 반도체 위탁생산(파운드리) 계약 수주
현재 상황:
- 테슬라의 자율주행 및 AI 관련 첨단 반도체 생산 계약
- 테슬라 주가 3.52% 상승하며 긍정적 반응
- 자율주행차 및 AI 분야에서의 테슬라 입지 강화 신호
시장 영향:
- 반도체 장비주 및 관련 공급망 기업들 강세
- 테슬라의 하드웨어 개발 가속화 기대감 상승
🏦 JP모건, 인텔 등 대형 기업 실적 부진
개념: 주요 대형 기업들의 2분기 실적 기대치 하회로 시장 부담 가중 현재 상황:
- 인텔, 분기 손실 보고로 주가 8.5% 급락
- JP모건을 비롯한 금융주 전반적 약세
- 치폴레 등 소비자 관련주 가이던스 하향으로 하락
시장 영향:
- 다우지수 중심으로 하락 압력 가중
- 실적 시즌 절정을 앞두고 불확실성 증가
2. 오늘의 주식 시황
📈 주요 지수 등락

-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44,837.56 (-64.36p, -0.14%)
- S&P 500: 6,389.77 (+1.13p, +0.02%) *사상 최고치
- 나스닥 종합지수: 21,178.58 (+70.27p, +0.33%) *사상 최고치
- 러셀 2000: 약 2,198.85 (-0.19%)
거래 특징:
- S&P 500과 나스닥이 종가 기준 연이은 신기록 경신
- 거래량 평균 대비 소폭 감소, 보합권 혼조세
- 기술주 중심 상승세, 다우지수 하락으로 시장 차별화 심화
섹터별 등락 및 이슈

🏦 금융 섹터 (-0.8%)
금융 섹터는 대형 은행들의 실적 부진과 금리 인하 전망에 따른 순이자마진 축소 우려로 하락했습니다. 특히 주요 은행들의 상업용 부동산 익스포저와 소비자 신용 건전성 악화에 대한 우려가 부각되었습니다.
💻 기술 섹터 (+0.8%)
기술 섹터는 엔비디아의 중국향 AI 칩 수출 재개 소식과 주요 기업들의 AI 투자 확대 기대감으로 상승했습니다. 특히 반도체 부문이 강세를 보이며 나스닥 지수 상승을 주도했습니다.
🏭 산업재 섹터 (+0.6%)
산업재 섹터는 미국-EU 무역 협상 타결 소식에 힘입어 상승했습니다. 관세 인상 우려 완화로 글로벌 공급망 안정성이 개선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반영되었습니다.
주요 종목 등락 및 이슈

[📉급락] 큐후오 (QH -91.26%)
중국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기업 큐후오가 91.26% 폭락했습니다. 회사의 재무 불안정성과 중국 테크 기업에 대한 규제 압박이 주가 하락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습니다. 특히 대규모 실적 하향 조정과 중국 내 경쟁 심화로 성장 전망이 크게 악화되었습니다.
[📉급락] 아답티뮨 테라퓨틱스 (ADAP -71.17%)
영국 바이오테크 기업 아답티뮨 테라퓨틱스가 71.17% 급락했습니다. 회사의 주요 면역항암제 후보물질이 임상시험에서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결과를 보였으며, 개발 일정 지연과 추가 자금 조달 우려가 겹치면서 주가가 폭락했습니다.
[📉급락] 시더스 스페이스 (SIDU -42.08%)
우주 방위 기업 시더스 스페이스가 42.08% 하락했습니다. 최근 발사된 위성의 기술적 결함으로 인한 프로젝트 지연과 추가 비용 발생 우려가 투자자들의 신뢰를 크게 떨어뜨렸습니다. 경쟁이 치열한 소형 위성 시장에서의 어려움과 자금 조달 우려도 주가 하락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급락] 메가 포춘 (MGRT -31.53%)
홍콩 기반 IT 서비스 기업 메가 포춘이 31.53% 하락했습니다. 예상보다 저조한 분기 실적과 주요 클라이언트 상실로 연간 가이던스를 하향 조정했습니다. 또한 아시아 시장에서의 경쟁 심화와 수익성 악화 우려가 투자심리를 위축시켰습니다.
[📉급락] 치폴레 (CMG $2,845.75, -$185.23, -6.11%)
치폴레가 연간 전망을 두 번째로 하향 조정하면서 6.11% 하락했습니다. 소비자들의 외식 지출 감소와 비용 부담 증가로 성장 둔화가 예상되며, 동종 업계 전체에 부정적 신호로 작용했습니다. 특히 인건비 상승과 원자재 가격 인플레이션이 회사의 마진을 압박하고 있습니다.
[📉급락] 텍사스 인스트루먼트 (TXN $192.35, -$10.75, -5.29%)
텍사스 인스트루먼트가 산업 및 자동차 반도체 수요 둔화로 5.29% 하락했습니다. 3분기 가이던스가 예상보다 낮게 제시되면서 산업용 반도체 섹터 전반에 우려가 확산되었습니다. 특히 자동차 제조사들의 재고 조정이 반도체 수요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급등] AMD (AMD $166.47, +$4.35, +2.68%)
AMD가 2.68% 상승했습니다. 2분기 실적 발표를 앞두고 데이터센터용 AI 칩 수요 증가 기대감과 인텔의 어려움이 AMD에 긍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특히 MI300 시리즈 AI 가속기의 견조한 수요와 더불어 PC 시장의 회복세가 주가 상승을 견인했습니다.
[🚀급등] 엔비디아 (NVDA $176.75, +$3.25, +1.87%)
엔비디아가 1.87% 상승하며 사상 최초로 주가 175달러선을 돌파했습니다. 중국 AI 칩 수출 재개 소식과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등 기술 대기업들의 실적 발표를 앞두고 AI 지출 확대 기대감이 반영되었습니다. JP모건은 엔비디아의 목표주가를 165달러에서 180달러로 상향 조정하며 ‘Overweight’ 등급을 유지했습니다.
[📉급락] 넷플릭스 (NFLX $645.20, -$18.45, -2.78%)
넷플릭스가 2.78% 하락했습니다. 구독자 성장 둔화 우려와 스트리밍 경쟁 심화로 인한 마진 압박이 투자자들의 우려를 자아냈습니다. 그러나 광고 기반 서비스 확대와 비밀번호 공유 방지 정책이 장기적으로 수익성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급등] 애플 (AAPL $214.20, +$1.25, +0.59%)
애플이 0.59% 상승했습니다. 7월 31일로 예정된 2분기 실적 발표를 앞두고 아이폰 16 수요와 AI 기능 탑재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또한 뱅크오브아메리카는 애플의 목표주가를 240달러에서 250달러로 상향 조정하며 ‘Buy’ 등급을 유지했습니다. 특히 인도 생산 확대로 미국에 판매되는 스마트폰의 대부분을 인도에서 생산하게 된 점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급등] 메타 플랫폼스 (META $717.59, +$3.41, +0.48%)
메타 플랫폼스가 0.48% 상승했습니다. 7월 30일 예정된 2분기 실적 발표를 앞두고 디지털 광고 시장의 회복세와 AI 인프라 투자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되었습니다. 또한 최근 도입한 주당 0.50달러의 분기 배당금 정책이 투자자들에게 긍정적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급락] 마이크로소프트 (MSFT $511.95, -$1.22, -0.24%)
마이크로소프트가 0.24% 하락했습니다. 7월 30일로 예정된 2분기 실적 발표를 앞두고 투자자들이 관망세를 보였습니다. 웰스파고는 마이크로소프트의 목표주가를 480달러에서 500달러로 상향 조정하며 ‘Overweight’ 등급을 유지했습니다. Azure 클라우드 서비스의 시장 점유율 확대와 기업용 AI 서비스 성장이 주요 모멘텀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급등]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 (PLTR $158.80, +$4.01, +2.59%)
팔란티어가 2.59% 상승하며 사상 최고가를 경신했습니다. 미국에서 20번째로 시가총액이 큰 기업으로 부상하며, 올해 들어 100% 이상 상승한 주가는 강력한 매출 성장과 대규모 미 육군 계약 체결에 힘입었습니다. 특히 [AI 플랫폼 ‘AIP’의 정부 및 기업 도입이 확대]되면서 성장세가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급등] CEA Industries (VAPE, 상승률: +548.85%)
CEA Industries가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주가 급등의 핵심 원인은 회사가 발표한 $500M 규모의 암호화폐 전략적 투자입니다. 회사는 BNB 토큰을 보유하는 전략을 발표했으며, 10X Capital 및 YZi Labs의 지원을 받은 사모 투자를 통해 세계 최대 규모의 BNB 토큰 보유 공개 기업이 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이러한 발표로 BNB 토큰도 사상 최고가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MicroStrategy의 비트코인 전략과 유사한 접근법으로 시장에서 큰 반응을 얻었습니다.
[🚀급등] VisionWave Holdings (VWAV, 상승률: +368.09%)
VisionWave Holdings는 AI 기반 방위 기술 플랫폼을 가속화하기 위한 $50M 전략적 자금 조달 계약을 발표했습니다. 이 회사는 최근 나스닥에 상장했으며, 공기, 지상 및 해상 영역에서 첨단 인공지능(AI) 및 자율 솔루션을 통합하여 방위 능력을 혁신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방위 산업의 디지털화와 AI 통합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주가가 급등했습니다.
[🚀급등] Celcuity Inc (CELC, 상승률: +167.18%)
Celcuity의 주가는 PIK3CA 야생형 코호트에서 3상 VIKTORIA-1 임상시험의 진행 무병 생존(PFS) 주요 평가변수에서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개선을 발표한 후 급등했습니다. 이 결과는 HR+/HER2- 진행성 유방암 치료제인 gedatolisib의 효과를 입증하는 중요한 진전입니다. 회사는 또한 전환사채와 보통주 공모 발행을 통한 자금 조달 계획도 발표했습니다.
[🚀급등] Avalon GloboCare Corp (ALBT, 상승률: +30.84%)
Avalon GloboCare는 Saga Health와 응급 구조대원을 대상으로 한 KetoAir 제품의 유통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파트너십은 회사의 건강 모니터링 기술을 응급 구조대원 시장으로 확장하는 중요한 계약으로,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었습니다.
RedCloud Holdings PLC (RCT, 상승률: +9.22%)
RedCloud는 디지털 무역을 가속화하기 위해 나이지리아의 Paystack으로 시작하는 결제 파트너십 전략을 발표했습니다. 이 회사는 빠르게 성장하는 소비재(FMCG) 제품 공급망에서의 비효율성을 해결하는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새로운 시장으로의 확장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급등] Hyperion DeFi Inc (HYPD, 상승률: +23.38%)
Hyperion DeFi는 Kinetiq iHYPE 전략을 위해 추가로 $5M 상당의 HYPE 토큰을 구매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원래 안과 의료기기 회사였던 Eyenovia에서 최근 암호화폐 전략에 중점을 둔 Hyperion DeFi로 전환한 회사는 암호화폐 시장의 강세와 함께 주가가 상승했습니다.
로켓랩 (RKLB, 하락률: -4.89%)
로켓랩 주식은 최근 몇 주간의 강세 랠리 후 투자회사 Craig-Hallum이 매도 의견을 제시하면서 하락했습니다. 주가는 $45.11로 마감하여 전일 대비 4.89% 하락했습니다. 이는 주로 단기 이익 실현과 뉴트론 로켓 발사를 앞둔 일시적인 조정으로 분석됩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여전히 우주 접근성 확대와 성장하는 로켓 시장에서의 위치를 바탕으로 긍정적인 전망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3. 원자재 시황
🛢️ 원유 (WTI: $69.52/배럴, +1.46%)
원유 가격이 1.46% 상승했습니다. 미국-EU 무역 긴장 완화와 중동 지역 지정학적 리스크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다만 중국 경제 성장 둔화 우려와 미국 전략 비축유 방출 가능성이 상승폭을 제한했습니다.
🥇 금 ($3,345.30/온스, -0.41%)
금 가격이 소폭 하락했습니다. 미국-EU 무역 합의로 안전자산에 대한 수요가 다소 감소했으나, FOMC 회의를 앞두고 큰 폭의 변동은 제한되었습니다. 장기적으로는 인플레이션 우려와 지정학적 리스크로 상승 추세가 유지될 전망입니다.
🔶 구리 ($5.51/lb, -0.24%)
구리 가격이 소폭 하락했습니다. 중국의 경제 성장 둔화 우려가 산업용 금속 수요에 부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그러나 전기차 및 재생에너지 부문의 꾸준한 수요와 공급 차질 우려로 하락폭은 제한적이었습니다.
🥈 팔라듐 ($1,298.40/온스, +4.82%)
팔라듐이 4.82% 상승했습니다. 남아프리카공화국 광산 파업 장기화와 자동차 산업 회복으로 인한 수요 증가가 동시에 작용했습니다. 특히 하이브리드 자동차 생산량 증가로 촉매 변환기 수요가 급증하면서 공급 부족 우려가 심화되었습니다.
🥈 백금 ($1,067.80/온스, +3.45%)
백금이 3.45% 상승했습니다. 수소 경제 확산으로 연료전지 수요가 증가하면서 장기적 수요 증가 기대감이 부각되었습니다. 특히 유럽의 수소 인프라 투자 확대가 긍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 리튬 ($13.45/kg, +4.28%)
리튬 가격이 4.28% 상승했습니다. 전기차 배터리 수요 지속 증가와 에너지 저장 시스템 시장 확대가 긍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특히 중국의 리튬 정제 능력 확대 투자가 가격 상승을 견인했습니다.
4. 가상화폐 시황
💰 비트코인 ($118,140.10, -1.34%)
비트코인이 소폭 하락했습니다. 최근 급등 이후 이익실현 매물이 출회되었으나, 비트코인 ETF 자금 유입은 지속되었습니다. 7월 28일 기준 비트코인 ETF는 1억 3,080만 달러의 순유입을 기록했습니다. 전반적인 강세 모멘텀은 유지되고 있으나, 단기 과매수 신호가 관찰되어 조정 가능성도 있습니다.
💎 이더리움 ($3,915.51, +3.77%)
이더리움이 3.77% 상승하며 $3,900선을 넘어섰습니다. 최근 한 달간 61.19%의 놀라운 상승률을 기록하며 비트코인보다 강한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이더리움 ETF는 4억 5,280만 달러의 순유입을 기록했으며, 7개월 만에 최고가인 $3,937을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디파이 생태계 확장과 ETF 수요 증가가 주요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5. 주요 IB 투자의견 발표
🏦 JP모건 (JPMorgan)
대상: 엔비디아 (NVDA) - 목표주가 $165 → $180 상향 조정 등급: Overweight 유지 근거: 중국 AI 칩 수출 재개로 매출 상승 기대, 데이터센터 수요 지속 증가
📊 골드만삭스 (Goldman Sachs)
대상: 테슬라 (TSLA) - 목표주가 $275 → $240 하향 조정 등급: Neutral 유지 근거: 중국 전기차 시장 경쟁 심화, 글로벌 판매량 증가율 둔화
🏛️ 모건스탠리 (Morgan Stanley)
대상: 아마존 (AMZN) - 목표주가 $200 → $210 상향 조정 등급: Overweight 유지 근거: AWS 클라우드 성장 가속화, AI 서비스 수요 급증
6. 다음 주 주요 경제지표, Macro, 종목별, 실적발표 등 주식관련 일정
📅 주요 경제지표 발표 일정
7월 29일 (화)
- 미국 소비자신뢰지수 (7월)
- 미국 JOLTS 구인건수 (6월)
- 미국 소매/도매 재고 (6월)
- 미국 무역수지
- 케이스-실러 주택가격지수 (5월)
7월 30일 (수)
- FOMC 기준금리 결정 발표
- 미국 ADP 비농업 고용지수 (7월)
- 미국 GDP 성장률 (2분기, 1차 발표)
7월 31일 (목)
- 미국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 (6월)
- 미국 시카고 PMI (7월)
- 유로존 GDP 성장률 (2분기, 속보치)
- 유로존 소비자물가지수 (7월, 속보치)
8월 1일 (금)
- 미국 비농업 고용지수 (7월)
- 미국 실업률 (7월)
- 미국 ISM 제조업 지수 (7월) 8월 2일 (토)
- 중국 차이신 제조업 PMI (7월)
🏢 주요 기업 실적 발표 일정
7월 30일 (화)
- 보잉 (BA)
- 프록터앤갬블 (PG)
- 머크 (MRK)
- 유나이티드헬스 (UNH)
- 페이팔 (PYPL)
- UPS (UPS)
7월 30일 (화) 장 마감 후
- 스타벅스 (SBUX)
- 비자 (V)
7월 31일 (수)
- 마이크로소프트 (MSFT)
- 메타플랫폼스 (META)
8월 1일 (목)
- 애플 (AAPL)
- 아마존 (AMZN)
💹 특별 이벤트
- FOMC 회의 (7월 29-30일)
- 미국-일본 무역 협상 후속 조치 (7월 29일)
- 미국-EU 무역 합의 세부사항 발표 (7월 31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