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2 미국 시황 정리
#Daily #미국주식시황 #주식시황 #경제지표 #관세 #고용
증시 주요 캘린더
[월간 일정]
[주간 일정]
2025년 8월 2일 주식시장 신호등
Macro: BAD IS BAD
시장 느낌(시장 상황, 나스닥 기준):투매


▒ 시장 센티먼트 : [개장 전] 중립 → [개장 후] 투매
★ 내가 느끼는 무의식(내 상황에 기초한 느낌) : 부정(▲▲▲)
1. 오늘의 경제지표 & Macro & 개별종목 주요 이슈
🚨 7월 고용지표 충격 - 73,000명 신규고용에 그쳐
개념: 비농업고용지수7월 신규 고용이 예상치 102,000명을 크게 하회하는 73,000명에 그치며 노동시장 급속 둔화 신호가 확산되었습니다.
현재 상황:
신규 고용: 73,000명 (예상 102,000명 대비 28% 하회)
실업률: 4.2% (전월 4.1% 대비 상승)
5-6월 고용 수치 대폭 하향 조정 (총 33,000명만 신규 고용)
노동참가율 62.9% 정체 시장 평가:
연준의 금리인하 압박 증가
경기침체 우려 본격화
소비둔화 가속화 가능성 증대
트럼프 관세정책과의 복합적 악영향 우려 자산시장 영향:
다우지수 542포인트 급락 (-1.2%)
10년물 국채수익률 4.1%대로 급락
달러지수 급락으로 금값 상승
경기민감주 전면 하락
📊 트럼프 대통령 관세폭탄 재개 - 중국·캐나다·멕시코 타격
개념: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후 첫 주요 무역정책으로 주요 교역국에 대한 관세 부과를 발표하며 글로벌 공급망 재편 우려가 확산되었습니다.
현재 상황:
- 중국: 추가 10% 관세 부과 (기존 관세 위에 가산)
- 캐나다·멕시코: 25% 관세 부과 예고
- EU 자동차에 대한 추가 관세 검토
- 무역전쟁 2.0 본격 시작
시장 영향:
- 글로벌 공급망 기업 주가 급락
- 인플레이션 재점화 우려
- 다국적 기업 실적 전망 악화
- 신흥국 통화 약세 가속화
🌍 중국 2분기 GDP 4.7% - 예상치 하회로 글로벌 성장 우려
개념: 중국 2분기 GDP 성장률이 예상 5.1%를 하회하는 4.7%를 기록하며 세계 2위 경제대국의 성장 둔화가 글로벌 경기에 미칠 파급효과가 우려되고 있습니다.
현재 상황:
- GDP 성장률: 4.7% (예상 5.1% 하회)
- 소매판매: 2.0% 증가 (예상 3.3% 대폭 하회)
- 청년실업률: 17.1% 기록적 수준
- 부동산 시장 지속 침체
2. 오늘의 주식 시황
📈 주요 지수 등락
-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43,588.58 (-542.40p, -1.2%)
- S&P 500: 6,238.01 (-101.38p, -1.6%) *2개월 만에 최대 낙폭
- 나스닥 종합지수: 20,650.13 (-472.32p, -2.2%)
- 러셀 2000: 2,178.45 (-31.25p, -1.4%)
거래 특징:
- 전 섹터 하락으로 시장 전반 약세
- 거래량 평균 대비 45% 증가
- 변동성 지수(VIX) 19.87로 급등
- 주간 기준 다우 최악의 성과 (4월 이후)
섹터별 등락 및 이슈

💻 기술 섹터 (-2.4%)
기술 섹터가 관세 정책과 중국 경제 둔화 우려로 가장 큰 타격을 받았습니다. 특히 중국 의존도가 높은 하드웨어 기업들이 큰 폭으로 하락했습니다.
🏦 금융 섹터 (-1.8%)
금리 인하 기대로 순이자마진 압박 우려가 확산되면서 은행주 중심으로 하락했습니다.
🏭 산업재 섹터 (-1.9%)
무역전쟁 재개로 글로벌 공급망 기업들이 큰 타격을 받았습니다.
3. 주요 종목 등락 및 이슈

[📉급락] 아마존 (AMZN $212.87, -8.27%)
아마존이 2분기 실적 발표 후 8% 이상 급락했습니다. 실적 자체는 예상치를 상회했으나, 3분기 가이던스가 실망스러웠고 AWS 성장률 둔화 우려가 부각되었습니다. 특히 AI 인프라 투자 비용 급증으로 마진 압박이 심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급락] 애플 (AAPL $202.25, -2.50%)
애플이 2.5% 하락했습니다. 중국 스마트폰 시장에서의 경쟁 심화와 관세 정책으로 인한 공급망 비용 증가 우려가 주가에 부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아이폰 16 시리즈의 중국 판매 부진 우려도 투자심리를 악화시켰습니다.
[📉급락] 마이크로소프트 (MSFT $523.78, -1.76%)
마이크로소프트가 1.76% 하락했습니다. Azure 클라우드 성장률 둔화 우려와 AI 투자 비용 급증으로 단기 수익성에 대한 걱정이 커졌습니다. 엔터프라이즈 고객들의 IT 지출 감소도 부담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급락] 테슬라 (TSLA $302.63, -1.17%)
테슬라가 1.17% 하락했습니다. 중국 전기차 시장에서의 경쟁 심화와 관세 정책이 글로벌 공급망에 미칠 영향을 우려한 매물이 출회했습니다. 2분기 실적 발표를 앞두고 신중한 관망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급락] 엔비디아 (NVDA $135.42, -2.37%)
엔비디아가 2.37% 하락했습니다. 중국향 AI 칩 수출 제한 강화 우려와 함께 데이터센터 투자 둔화 가능성이 부각되었습니다. 그러나 장기적인 AI 수요 증가 트렌드는 여전히 유효하다는 분석이 지배적입니다.
[📉급락] 구글 (GOOGL $188.21, -1.44%)
구글이 1.44% 하락했습니다. 광고 시장 성장률 둔화 우려와 AI 투자 비용 급증으로 단기 수익성에 대한 걱정이 커졌습니다. 유럽의 AI 규제 강화도 부담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급락] 메타 플랫폼스 (META $481.35, -3.03%)
메타가 3% 이상 급락했습니다. 2분기 실적 발표에서 메타버스 투자 비용이 예상보다 크게 증가했고, 광고 매출 성장률이 둔화 조짐을 보였습니다. Reality Labs 부문의 지속적인 손실도 투자자들의 우려를 증폭시켰습니다.
[🚀급등] 디지넥스 (DGNX +742.42%)
디지넥스가 무려 742.42%의 폭발적인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8월 1일부터 시행된 8:1 전진 주식분할 효과로, 주주들이 승인한 주식분할이 정식 발효되면서 주가가 조정되었습니다. 회사는 주식 접근성 향상과 유동성 개선을 위해 이 조치를 단행했습니다.
[🚀급등] 퍼포먼트 헬스케어 (PHLT +115.21%)
퍼포먼트 헬스케어가 115.21% 급등했습니다. 8월 5일 2분기 실적 발표를 앞두고 긍정적인 기대감이 주가를 끌어올렸습니다. 헬스케어 데이터 분석 및 수익 관리 서비스에 대한 수요 증가와 함께 정부 계약 확대 가능성이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었습니다.
[🚀급등] 워키바 (WK +32.07%)
워키바가 32.07% 급등했습니다. 2분기 실적이 시장 예상치를 크게 상회하며 매출이 21% 증가했습니다. 기업용 소프트웨어 플랫폼의 고객 기반 확대와 구독 매출 성장이 주요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특히 규제 준수 및 보고 솔루션에 대한 수요 증가가 긍정적으로 평가받았습니다.
[🚀급등] 알파텍 홀딩스 (ATEC +30.15%)
알파텍 홀딩스가 30.15% 급등했습니다. 2분기 실적에서 EPS $0.02를 기록하며 컨센서스 예상치를 $0.08 상회했습니다. 매출 $185.54M을 달성하며 척추 의료기기 시장에서의 성장세를 지속했습니다. 특히 혁신적인 척추 수술 기술과 제품 포트폴리오 확장이 긍정적으로 평가받았습니다.
[🚀급등] 앱폴리오 (APPF +19.36%)
앱폴리오가 19.36% 상승했습니다. 2분기 실적에서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9% 증가한 $236M을 기록하며 시장 예상치를 상회했습니다. 부동산 관리 소프트웨어 플랫폼의 고객 기반 확대와 함께 DA Davidson이 목표주가 $350으로 매수 등급을 부여한 것도 상승에 기여했습니다.
[🚀급등] 인터페이스 (TILE +19.35%)
인터페이스가 19.35% 급등했습니다. 2분기 실적에서 EPS $0.60을 기록하며 컨센서스 예상치 $0.47을 크게 상회했습니다. 모듈러 바닥재 제조업체로서 매출 성장과 수익성 개선을 동시에 달성하며 투자자들의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냈습니다.
[🚀급등] 아이리듬 테크놀로지스 (IRTC +17.68%)
아이리듬 테크놀로지스가 17.68% 상승했습니다. 2분기 실적에서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26.1% 증가한 $186.7M을 기록했습니다. 심장 부정맥 모니터링 기술의 시장 점유율 확대와 AI 파트너십 체결이 성장을 견인했습니다. 특히 원격 심장 모니터링 서비스의 수요 증가가 긍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급등] 바이오래드 랩 (BIO +17.63%)
바이오래드 랩이 17.63% 상승했습니다. 2분기 강력한 실적 발표 후 여러 증권사들이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했습니다. 생명과학 연구 및 임상 진단 분야에서의 제품 혁신과 시장 확대가 성장을 견인했습니다. 특히 디지털 PCR 기술과 관련된 웨비나 개최 계획도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었습니다.
[🚀급등] 레딧 (RDDT +17.47%)
레딧이 17.47% 급등했습니다. 소셜 미디어 플랫폼으로서 사용자 기반 확대와 광고 매출 증가가 주요 상승 요인이었습니다. 강력한 기술적 신호와 함께 3일 연속 상승 모멘텀을 보이며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었습니다. 특히 AI 콘텐츠 파트너십과 데이터 라이선싱 사업 확대가 긍정적으로 평가받았습니다.
[🚀급등] nVent 일렉트릭 (NVT +14.61%)
nVent 일렉트릭이 14.61% 상승했습니다. 2분기 실적 발표에서 매출 성장 전망을 상향 조정하며 투자자 신뢰를 회복했습니다. 전기 연결 및 보호 솔루션 시장에서의 수요 증가와 함께 인프라 투자 확대가 성장을 견인했습니다.
[🚀급등] 오픈도어 테크놀로지스 (OPEN +14.13%)
오픈도어가 14.13% 상승했습니다. 나스닥 최소 입찰가 요건($1.00) 준수를 재확인하며 상장폐지 위험에서 벗어났습니다. 12일 연속 $1.00 이상 마감 후 나스닥으로부터 컴플라이언스 확인서를 받았으며, 부동산 기술 플랫폼으로서의 회복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이 증가했습니다.
[🚀급등] 로켓 컴퍼니즈 (RKT +11.98%)
로켓 컴퍼니즈가 11.98% 상승했습니다. 2분기 실적이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며 주택담보대출 시장에서의 회복세를 보였습니다. 금리 인하 기대감과 함께 주담대 수요 증가 가능성이 주가 상승을 견인했습니다. 특히 기술 플랫폼을 통한 대출 처리 효율성 개선이 긍정적으로 평가받았습니다.
[🚀급등] 브라이트 호라이즌스 (BFAM +10.61%)
브라이트 호라이즌스가 10.61% 상승했습니다. 2분기 실적 호조와 함께 2025년 가이던스를 상향 조정했습니다. 매출 전망을 $2.9B-$2.92B로, EPS 전망을 $4.15-$4.25로 상향 조정하며 보육 서비스 시장에서의 등록률 증가 모멘텀이 지속되고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급등] 킴벌리 클라크 (KMB +4.83%)
킴벌리 클라크가 4.83% 상승했습니다. 2분기 실적에서 유기적 매출 성장을 보이며 배당왕으로서의 안정성을 재확인했습니다. 생활용품 시장에서의 브랜드 파워와 가격 전가력이 인플레이션 압박 속에서도 견조한 실적을 유지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급등] 일라이 릴리 (LLY +3.01%)
일라이 릴리가 3.01% 상승했습니다. 주력 제품인 Mounjaro(tirzepatide)가 Surpass-CVOT 임상시험에서 Trulicity 대비 주요 심혈관 사건(MACE-3) 감소에 있어 비열등성을 입증했습니다. 이는 중요한 규제 승인 이정표로 GLP-1 시장에서의 경쟁 우위를 강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급락] 플루어 코퍼레이션 (FLR -27.04%)
플루어 코퍼레이션이 27.04% 급락했습니다. 2분기 실적이 매출과 수익 예상치를 모두 하회했으며, 일부 고객들의 자본 지출 계획 연기를 발표했습니다. 2025년 조정 EBITDA 전망도 하향 조정하며 인프라 프로젝트 지연이 실적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급락] 이스트만 케미컬 (EMN -19.03%)
이스트만 케미컬이 19.03% 급락했습니다. 2분기 EPS $1.20으로 전년 동기 대비 38% 감소했으며, 3분기 가이던스가 FactSet 컨센서스 예상치를 크게 하회했습니다. 화학 제품 수요 둔화와 중국 경제 성장 둔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주가에 큰 타격을 주었습니다.
[📉급락] 코인베이스 (COIN -16.70%)
코인베이스가 16.70% 급락했습니다. 2분기 실적에서 거래량 부진으로 분기 수익이 크게 감소했습니다. EPS $0.12로 예상치 $1.51을 92% 하회했으며, 매출 $1.5B도 예상치 $1.59B에 미치지 못했습니다. 암호화폐 시장 변동성 감소로 거래 수수료 수입이 크게 줄어든 것이 주요 원인이었습니다.
[📉급락] 그레인저 (GWW -10.30%)
그레인저가 10.30% 하락했습니다. 2분기 실적에서 매출은 예상치를 상회했으나 EPS와 연간 가이던스가 실망스러웠습니다. 특히 관세 정책으로 인한 비용 부담 증가를 이유로 연간 수익 전망을 하향 조정하며 투자자들의 우려를 증폭시켰습니다.
[📉급락] 마이크로스트래티지 (MSTR -8.77%)
마이크로스트래티지가 8.77% 하락했습니다. 2분기에서 기록적인 순이익 $10.02B과 EPS $32.60을 달성했음에도 불구하고 주가는 하락했습니다. 비트코인 투자 전략에 대한 새로운 자본 가이드라인 우려와 함께 높은 밸류에이션에 대한 부담이 매도 압력으로 작용했습니다.
[📉급락] 서클 인터넷 그룹 (CRCL -8.40%)
서클이 8.40% 하락했습니다. 암호화폐 섹터 전반의 어려움 속에서 스테이블코인 시장 경쟁 심화와 규제 불확실성이 주가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습니다. 특히 디지털 자산 시장의 변동성 증가가 투자심리를 위축시켰습니다.
[📉급락] 크라우드스트라이크 (CRWV -8.75%)
크라우드스트라이크가 8.75% 하락했습니다. 사이버보안 시장에서의 경쟁 심화와 함께 기업 IT 예산 삭감 우려가 주가에 부담으로 작용했습니다. 최근 대규모 시스템 장애 사건의 여파로 고객 신뢰 회복에 대한 우려도 지속되고 있습니다.
[📉급락]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 (PLTR -2.58%)
팔란티어가 2.58% 하락했습니다. 시장 전반의 하락세 속에서 월요일 2분기 실적 발표를 앞두고 신중한 매매가 이어졌습니다. 그러나 AI 플랫폼 사업과 정부 계약 확대에 대한 기대감은 여전히 유효한 상태입니다.
[📉급락] 힘스 앤 허스 (HIMS -5.49%)
힘스 앤 허스가 5.49% 하락했습니다. 8월 4일 2분기 실적 발표를 앞두고 원격의료 시장 경쟁 심화와 규제 환경 변화에 대한 우려가 주가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습니다. 과거 실적 발표 후 주가 변동성이 컸던 패턴도 투자자들의 신중한 접근을 유도했습니다.
[🚀급등] 아우리니아 파마슈티컬 (AUPH +13.47%)
아우리니아 파마슈티컬이 13.47% 상승했습니다. 바이오제약 회사로서 루푸스 신염 치료제에 대한 임상 진전과 새로운 파이프라인 발표에 대한 기대감이 주가 상승을 견인했습니다. 특히 희귀질환 치료제 시장에서의 성장 가능성이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었습니다.
[🚀급등] 아이래디메드 (IRMD +13.42%)
아이래디메드가 13.42% 급등했습니다. 2분기 실적에서 매출과 수익이 모두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며 52주 최고가를 기록했습니다. MRI 호환 의료기기 전문 제조업체로서 의료기기 시장에서의 독보적 기술력과 고객 기반 확대가 성장을 견인했습니다.
[🚀급등] 미스터 쿠퍼 그룹 (COOP +11.91%)
미스터 쿠퍼 그룹이 11.91% 상승했습니다. 주택담보대출 서비스 전문업체로서 금리 인하 기대감과 함께 주택담보대출 시장 회복에 대한 기대가 주가 상승을 견인했습니다. 특히 서비스 포트폴리오 확대와 운영 효율성 개선이 긍정적으로 평가받았습니다.
[🚀급등] 모놀리식 파워 시스템즈 (MPWR +10.46%)
모놀리식 파워 시스템즈가 10.46% 상승했습니다. 반도체 전력 관리 솔루션 전문업체로서 Truist가 목표주가를 $922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특히 AI 데이터센터와 전기차 시장의 전력 관리 IC 수요 급증이 성장 동력으로 부각되었습니다.
[🚀급등] 엔비스타 홀딩스 (NVST +10.27%)
엔비스타 홀딩스가 10.27% 상승했습니다. 치과용품 전문업체로서 Stifel이 목표주가를 $25.00으로 상향 조정했으며, 글로벌 치과 시장의 회복과 혁신적인 제품 포트폴리오가 성장을 견인했습니다. 특히 치과 장비와 소모품 부문의 강세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급등] 세이버스 밸류 빌리지 (SVV +10.18%)
세이버스 밸류 빌리지가 10.18% 상승했습니다. 2분기 실적이 매출 기대치를 상회했으며 2025년 전망을 상향 조정했습니다. 중고품 소매업체로서 지속가능한 소비 트렌드와 함께 매장 확장 계획이 투자자들의 호응을 얻었습니다. Baird가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한 것도 긍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급등] 스탠덱스 인터내셔널 (SXI +9.97%)
스탠덱스 인터내셔널이 9.97% 급등했습니다. 4분기 실적에서 EPS $2.28을 기록하며 애널리스트 예상치를 크게 상회했습니다. 고성장 시장 매출이 45% 증가했으며 2026년에는 $265M 달성을 전망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산업용 기술 솔루션 기업으로서의 성장 모멘텀이 확인되었습니다.
[🚀급등] USA 레어어스 (USAR +9.68%)
USA 레어어스가 9.68% 상승했습니다. 희토류 광물 전문업체로서 중국과의 무역 갈등 재개로 국내 희토류 공급망 구축의 중요성이 부각되었습니다. 특히 전기차와 재생에너지 산업의 핵심 원료인 희토류에 대한 전략적 가치가 재평가받고 있습니다.
[🚀급등] 쿠퍼 스탠다드 (CPS +9.29%)
쿠퍼 스탠다드가 9.29% 상승했습니다. 2분기 실적에서 EPS $0.06을 기록하며 예상치를 116% 상회했습니다.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로서 전기차 전환 과정에서의 전략적 포지셔닝과 운영 효율성 개선이 긍정적으로 평가받았습니다.
[🚀급등] 나비타스 반도체 (NVTS +8.59%)
나비타스 반도체가 8.59% 상승했습니다. 갈륨 질화물(GaN) 전력 반도체 전문업체로서 옵션 거래량이 급증했습니다. 실적 발표를 앞두고 전력 효율성이 중요한 AI 데이터센터와 전기차 충전 시장에서의 성장 가능성이 부각되었습니다.
[🚀급등] 탱고 테라퓨틱스 (TNGX +8.11%)
탱고 테라퓨틱스가 8.11% 상승했습니다. TNG462의 1상/2상 임상시험에서 첫 환자 투약을 발표했습니다. 암 치료제 개발 전문 바이오테크 기업으로서 새로운 치료제 후보의 임상 진전이 투자자들의 기대감을 높였습니다.
[🚀급등] 리플리뮨 그룹 (REPL +8.11%)
리플리뮨 그룹이 8.11% 상승했습니다. 바이오테크 기업으로서 새로운 펀더멘털 뉴스는 없었으나 거래량이 급증하며 단기적인 상승 모멘텀을 보였습니다. 면역항암치료제 개발에 대한 기대감이 주가를 지지했습니다.
[🚀급등] 프라임 메디신 (PRME +8.02%)
프라임 메디신이 8.02% 상승했습니다. 공모 주식 발행으로 약 $125.4M의 자금을 조달한다고 발표했습니다. 프라임 에디팅 기술을 활용한 유전자 치료제 개발 기업으로서 자금 확보를 통한 연구개발 가속화가 기대됩니다.
[🚀급등] 풀젠트 제네틱스 (FLGT +7.86%)
풀젠트 제네틱스가 7.86% 상승했습니다. 2분기 실적에서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6% 증가했습니다. 유전자 검사 및 진단 서비스 전문업체로서 프리마켓에서 13.5% 급등한 후 정규 거래에서도 강세를 지속했습니다.
[🚀급등] 헬스케어 리얼티 트러스트 (HR +7.68%)
헬스케어 리얼티 트러스트가 7.68% 상승했습니다. 2분기 FFO(운영자금흐름)가 8% 증가했습니다. 의료용 부동산 리츠로서 BTIG가 매수 등급을 재확인했으며, 배당 지속 가능성 개선과 포트폴리오 최적화가 긍정적으로 평가받았습니다.
[🚀급등] SPX 테크놀로지스 (SPXC +7.66%)
SPX 테크놀로지스가 7.66% 상승했습니다. 2분기 강력한 실적 발표 후 UBS가 목표주가를 $182에서 $210으로 대폭 상향 조정했습니다. 산업용 기술 솔루션 제공업체로서 HVAC 및 검출 기술 부문의 성장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급등] 블렌드 랩스 (BLND +7.55%)
블렌드 랩스가 7.55% 상승했습니다. 8월 7일 2분기 실적 발표를 앞두고 모기지 기술 플랫폼에 대한 기대감이 증가했습니다. 금리 인하 기대와 함께 주택담보대출 시장 회복이 회사 사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급등] 피그마 (FIG +5.63%)
피그마가 5.63% 상승했습니다. IPO 이후 첫 거래에서 $33 공모가 대비 큰 폭 상승하며 52주 최고가 $142.92를 기록했습니다. $1.2B 규모의 IPO로 $580억 가치평가를 받은 디자인 소프트웨어 기업으로서 시장의 뜨거운 관심을 받았습니다
4. 원자재 시황
🥇 금 ($2,463.50/온스, +1.82%)
금이 1.82% 상승했습니다. 약한 고용지표와 관세 정책으로 인한 경기침체 우려가 안전자산 수요를 증가시켰습니다. 연준의 금리인하 가능성 증대도 금 상승을 지지했습니다.
상승 배경:
- 경기침체 우려로 안전자산 선호 급증
- 달러지수 약세로 달러표시 금값 상승
- 연준 금리인하 기대감 증대
- 지정학적 리스크 확산
🥈 은 ($37.02/온스, +0.71%)
은이 0.71% 상승했습니다. 금과 함께 안전자산 수요가 늘어났으나, 산업용 수요 감소 우려로 상승폭은 제한적이었습니다.
⚫ 원유 (WTI: $67.26/배럴, -2.89% / Brent: $69.48/배럴, -3.10%)
원유가 큰 폭으로 하락했습니다. 중국 경제 둔화와 미국 고용지표 부진으로 글로벌 원유 수요 감소 우려가 확산되었습니다.
하락 요인:
- 중국 GDP 성장률 둔화로 수요 감소 우려
- 미국 경기침체 가능성 증대
- OPEC+ 증산 계획 부담
- 무역전쟁 재개로 글로벌 성장 우려
🔶 구리 ($4.43/lb, +0.34%)
구리가 소폭 상승했습니다. 중국 경제 둔화 우려에도 불구하고 공급 부족 우려와 인프라 투자 기대감이 상충하며 혼조세를 보였습니다.
⚡ 리튬 ($12.85/kg, -2.15%)
리튬이 2.15% 하락했습니다. 전기차 시장 성장 둔화 우려와 중국 배터리 업체들의 재고 증가가 가격 하락을 견인했습니다.
5. 가상화폐 시황
💰 비트코인 ($67,245.80, +2.34%)
비트코인이 2.34% 상승했습니다. 전통 자산의 하락과 달러 약세로 대안 투자처로서의 매력이 부각되었습니다. 특히 기관 투자자들의 비트코인 ETF 유입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상승 요인:
- 달러 약세로 대안 투자처 매력 증대
- 기관 투자자 ETF 자금 유입 지속
- 인플레이션 헤지 수요 증가
- 전통 자산 대비 상대적 안전성
💎 이더리움 ($3,567.90, +1.89%)
이더리움이 1.89% 상승했습니다. DeFi 생태계 확장과 스테이킹 수익률 증가가 긍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6. 주요 IB 투자의견 발표
🏦 골드만삭스 (Goldman Sachs)
대상: 애플 (AAPL) - 목표주가 $220 → $200 하향 조정 등급: Buy → Neutral 하향 근거: 중국 시장 의존도 높고 관세 정책 부담 가중, 아이폰 교체 주기 연장 시장 반응: 목표주가 하향에 추가 하락 압력
📊 모건스탠리 (Morgan Stanley)
대상: 마이크로소프트 (MSFT) - 목표주가 $580 → $520 하향 조정 등급: Overweight 유지 근거: Azure 성장률 둔화 우려, AI 투자 비용 급증 시장 반응: 클라우드 섹터 전반 약세 확산
🏛️ JP모건 (JPMorgan)
대상: 아마존 (AMZN) - 목표주가 $250 → $220 하향 조정 등급: Overweight → Neutral 하향 근거: AWS 성장 둔화, 소비 둔화로 커머스 부문 압박 시장 반응: 실적 발표 후 급락세 가속화
🏪 뱅크오브아메리카 (Bank of America)
대상: 테슬라 (TSLA) - 목표주가 $350 → $280 하향 조정 등급: Buy 유지 근거: 중국 전기차 경쟁 심화, 글로벌 판매량 증가율 둔화 시장 반응: 목표주가 하향에도 상대적 방어
💻 씨티그룹 (Citigroup)
대상: 엔비디아 (NVDA) - 목표주가 $180 → $160 하향 조정 등급: Buy 유지 근거: 중국 수출 제한 강화, 단기 수요 조정 불가피 시장 반응: 반도체 섹터 전반 하락 지속
7. 다음 주 주요 경제지표, Macro, 종목별, 실적발표 등 주식관련 일정
📅 8월 4일(월)
- 팔란티어 (PLTR): 2분기 실적 발표 (장후)
- ISM 제조업지수: 7월 (예상 48.8)
- 건설지출: 6월 (예상 0.2%)
📅 8월 5일(화)
- 디즈니 (DIS): 2분기 실적 발표 (장후)
- 맥도날드 (MCD): 2분기 실적 발표 (장전)
- JOLTS 구직정보: 6월 (예상 8.1M)
📅 8월 6일(수)
- 우버 (UBER): 2분기 실적 발표 (장후)
- ADP 고용지표: 7월 (예상 150K)
- ISM 서비스업지수: 7월 (예상 50.8)
📅 8월 7일(목)
- 일주일 신규 실업수당 청구: (예상 235K)
- 무역수지: 6월 (예상 -$73.0B)
- 공장주문: 6월 (예상 0.1%)
📅 8월 8일(금)
-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 8월 예비치 (예상 66.5)
- 도매재고: 6월 (예상 0.2%)
🏢 주요 실적 발표 기업 (8/4-8/8 주간)
8월 4일 (월요일)
- 개장 전 (BMO):
TSN, ON, W, RIG, NVTS, IEP, CTRA, LTC, TGTX, GTM, ARDX, TSEM, BGS, LSCC, SKT, VNOM, KOS, MED, GLAD, BSM, WTI, ICHR, TWST, EVER, CLLS, GBDC, BMEA, PRAX, FRPT, DHC - 개장 후 (AMC):
BRK.B, PLTR, MELI, VRTX, WMB, SPG, AXON, OKE, FANG, IDXX, SBAC, EQR, L, BWXT, ACM, HIMS, BMRN, KD, VNOM, STRL, AL, BRKR, RHP, KRYS, AXSM, TSEM, PRIM
8월 5일 (화요일)
- 개장 전 (BMO):
CAT, MPC, AFL, D, SU, HES, ZBH, DVA, WEC, FE, AES, APA, IRM, J, WCC, WWD - 개장 후 (AMC):
AMD, PFE, UBER, SBUX, EPD, OXY, MCHP, VRSK, PRU, FANG, ANET, LNG, WFRD, LPLA
8월 6일 (수요일)
- 개장 전 (BMO):
COP, O, WAB, BALL, CBOE, RGLD, BWA, MUR, PPC - 개장 후 (AMC):
DIS, CCI, FTNT, PODD, BIIB, VST, TTWO, HUBS, WAT, LNC, TRGP, CROX, GNRC, HII, TECH, WSC, CHDN, LITE, VRSN, PEN
8월 7일 (목요일)
- 개장 전 (BMO):
CNP, BAP, PNW, BERY, NOV, POST - 개장 후 (AMC):
LLY, CI, REGN, ICE, MCK, VRT, SQ, AMG, W, HWM, CNA, WMS, TTD, DNB, WEX, MHK, MASI, ES, EXAS, MTZ, BEP, ESAB, STNG, AM
8월 8일 (금요일)
- 개장 전 (BMO):
PAA, WEN, AQN, CATX, IMMR, AMR, AXL, GTN, BoC, CASI, AMCX, CLMT, DCBO, KOP, CYD, PMTS, EMBC - 개장 후 (AMC):
MURGY, CNSWF, SCHYY, SOMLY, NNGRY, SPXCY, EMA, LAMR, FRHC, TEM, AYALY, ESNT, KURRY, SGAMY, INDOY, SHCAY, ATMU, SHC, AKRO, UAA, UA, MMSMY, BTDR, PAR, SLVM, WULF, FUBO
🌍 글로벌 이벤트
- 8월 5일: 호주 중앙은행 금리 결정
- 8월 6일: 영국 중앙은행 금리 결정
- 8월 7일: 독일 산업생산 (6월)
- 8월 8일: 중국 CPI/PPI (7월)
8. 섹터별 포인트 및 투자 전략
💻 기술주 투자 포인트
관세 정책과 중국 리스크가 단기 부담이지만, AI 혁신 트렌드는 장기적으로 유효합니다. 특히 국내 매출 비중이 높고 AI 생태계 핵심 기업들에 선별 투자가 필요합니다.
🏦 금융주 전망
금리 인하 기대로 단기 부담이 있으나, 신용 건전성이 양호한 대형 은행들은 중장기적으로 안정적입니다. 특히 투자은행 수수료 증가 가능성이 긍정적입니다.
🛒 소비재주 관점
고용지표 부진으로 소비 둔화가 우려되지만, 필수 소비재 중심으로는 방어적 투자 가치가 있습니다. 특히 가격 전가력이 강한 브랜드 기업들에 주목해야 합니다.
⚡ 에너지 섹터
원유 가격 하락으로 단기 부담이 있으나, 지정학적 리스크와 OPEC+ 공급 조절로 중장기 반등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