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2 미국 시황 정리
#Daily #미국주식시황 #주식시황 #경제지표 #관세 #고용
증시 주요 캘린더
[월간 일정]
[주간 일정]
2025년 8월 12일 주식시장 신호등
Macro: -
시장 느낌(시장 상황, 나스닥 기준): 중립


▒ 시장 센티먼트 : [개장 전] 부정 → [개장 후] 중립
★ 내가 느끼는 무의식(내 상황에 기초한 느낌) : 부정(▲)
1. 경제지표 및 거시경제, 주요 뉴스 및 이슈 동향
🔥 [8월 12일 7월 CPI 발표] 인플레이션 재가속 우려 확산
개념: 미국 노동통계청(BLS)이 한국시간 8월 12일 오후 9시 30분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를 앞두고 시장 긴장감 고조
현재 상황:
- 7월 CPI 전년 동기 대비 3.0% 전망 (6월 2.7% 대비 상승)
- 근원 CPI 전년 동기 대비 3.2% 예상 (6월 3.0% 대비 상승)
- 월간 기준 CPI +0.3% 예상, 근원 CPI +0.32% 전망
- 트럼프 관세 정책이 물가 상승 압력 가중
시장 평가:
- 연준 금리 인하 속도 조정 가능성 증대
- 인플레이션 목표 2% 달성 지연 우려
- 달러 강세 지속 및 채권 수익률 상승 압력
- 주식시장 변동성 확대 예상
🛡️ [트럼프 중국 AI 칩 관세 연기] 엔비디아·AMD 15% 판매 허용
개념: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 대상 AI 반도체 관세 시행을 연기하고, 엔비디아와 AMD의 중국 내 AI 칩 매출의 15% 판매를 허용한다고 발표
현재 상황:
- 엔비디아·AMD 중국 AI 칩 판매 부분 허용으로 관세 완화 신호
- 반도체 업계 대중국 수출 규제 완화 기대감 부상
- 인텔 CEO 립부 탄(Lip-Bu Tan)과 트럼프 대통령 백악관 회동 성사
- 미중 기술 갈등 완화 조짐에 기술주 상승 견인
시장 영향:
- 반도체 ETF (SMH) 상승세 지속
- 기술주 중심 나스닥 강세 유지
- 중국 관련 기술주 리레이팅 진행
- 글로벌 공급망 안정화 기대
7월 소기업 낙관지수(NFIB Small Business Optimism Index)가 확장 국면에 진입
7월 NFIB 소기업 낙관지수는 100.3으로 예상치(98.9)와 이전치(98.6)를 상회했다. 지난 2월 이후 5개월 만이다. NFIB 소기업 낙관지수가 위축 영역에 들어섰던 이유는 관세, 금리 등 정책 불확실성 때문이었는데, 일부 국가들을 제외하고 관세 정책이 명확해지고 있다.
초대형 플랫폼 기업들은 데이터센터 투자를 늘리고 있다. 건설 착공에선 리쇼어링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OBBBA 등 세제혜택과 규제 완화를 통해 지원하고 있다. NFIB 소기업 낙관지수 응답자들은 미래에 대한 전망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NFIB 소기업 낙관지수는 ISM 제조업 PMI를 선행하는 경향]이 있다. NFIB 소기업 낙관지수 설문조사 대상은 중소기업이라 ISM 제조업 구매 관리자 지수 응답자들보다 경제 변화에 민감하기 때문이다. 시차를 두고 ISM 제조업 PMI도 확장될 여지가 있다. 거시 환경에 대한 불안은 여전히 남아있으나, 데이터센터 건설 및 첨단시설 리쇼어링 등에 대한 긍정적인 관점을 지속한다.

NFIB 소기업 낙관지수의 주요 설문 10개 항목 중 6개 항목이 전월 대비 개선됐다. 가장 향상된 것은 미래 경제에 대한 기대였다. 향후 경영 환경에 대해 긍정적으로 응답한 비율은 36%로 6월보다 14%p 증가했다. 사업의 건전성 평가 항목에서 응답자의 13%(MoM +5%p)는 매우 좋음, 52%(MoM +3%p)는 좋음, 31%(MoM -4%p)는 보통, 4%(MoM -3%p)는 나쁨이라고 응답했다. 현재가 사업 확장의 적기라고 본 응답자는 16%(MoM +5%p)다. 중소기업 관계자들의 심리가 개선되고 있다. 자본지출은 주로 신규 장비, 차량, 시설 개선 및 확장, 비품, 가구 등에 쓰였다.
응답자들이 꼽은 사업 운영의 가장 큰 걸림돌은 노동력 문제였다. 건설, 도매 및 운송 사업 등에서 주로 인력난을 겪는 것으로 보인다. 건설산업의 중소기업 절반 이상이 일자리 공석을 채우지 못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과거 파일럿 부족 사태와 유사하게 숙련공 은퇴와 높은 인건비가 원인이다. 트럼프 행정부의 이민 정책 영향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두 번째 큰 어려움은 세금이었다. 트럼프 행정부의 세제혜택으로 해소될 수 있다고 본다. 이 외에도 일부 응답자는 인플레이션과 매출 불안을 지적했다. 관세, 통화정책, 지정학적 위기 등 거시 환경 리스크가 완전히 해소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트럼프 행정부 1기 당시 ISM 제조업 PMI와 NFIB소기업 낙관지수 모두 확장국면에 있었음을 강조했다. 2017년과 2018년에는 금리인상과 미-중 무역 갈등이 있었음에도 기업들의 업황 평가는 양호했다. 세제혜택과 규제완화로 기업 친화적인 환경이 조성됐기 때문이다. 대표적으로 2017년엔 트럼프 행정부 1기 주요 세제 혜택인 ‘세금 감면 및 일자리 창출법(Tax Cut & Job Act, TCJA)’이 있다. 해당 법은 2018년에 시행했다. 세제 혜택 덕분에 S&P 500과 IWM의 EPS의 성장률은 기저효과가 있던 2010년, 2021년을 제외하고 가장 견조했다. 2025년엔 OBBBA가 통과했고, 미국 중소기업청 에서 대출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미국 제조업 르네상스 ETF(AIRR)의 EPS YoY 성장률은 2022년과 2023년에도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바이든 정부의 IRA와 CHIPS 효과 덕분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의 소비력, 관세 압박 등을 무기로 전 세계 첨단 제조업 기업들을 미국으로 유지했다. 미국 내에 제조시설을 짓거나, 공급망을 이전하는 기업들에게 관세를 면제해 주겠다고 했다. 애플은 2월 향후 4년 동 안 미국에 5,000 억 달러 투자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데 이어 1,000 억 달러 추가 투자 계획을 밝혔다. 미국 안에서 핵심 부품 생산을 더욱 생산하겠다는 것이다.
건설 및 제조업이 활성화되고 일자리가 늘면 해당 지역의 인구가 늘어난다. 서비스업이 자연스럽게 발달할 것이다. 서비스업은 제조업보다 고용유발 효과가 크다. 고용 확대, 경제 성장, 세수 확보, 재정적자 감축이라는 선순환을 만들려고 할 것이다. 내년 중간 선거 전까지 정책 성과가 가시화되는 게 트럼프 대통령에게 유리하다. 9월 금리 인하가 단행되면 우호적인 경영 환경을 명분으로 트럼프는 기업들의 리쇼어링을 독려할 가능성이 높다.
2. 오늘의 주식 시황

📉 주요 지수 등락
-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43,975.09 (-200.52p, -0.45%)
- S&P 500: 6,373.45 (-16.00p, -0.25%)
- 나스닥 종합: 21,385.40 (-64.62p, -0.30%)
- 러셀 2000: 2,207.84 (-6.25p, -0.28%)
- VIX: 15.15 (-8.6%, 전일 대비 하락)
거래 특징:
- CPI 발표 전 관망세로 혼조 마감
- 거래량 평균 대비 소폭 감소
- 변동성 지수(VIX) 15.15로 안정권 유지
- 기관투자자 포지션 조정 지속
- 3대 지수 모두 소폭 하락으로 동조화 현상
3. 섹터별 등락 및 이슈

💻 기술 섹터 (-0.15%)
트럼프의 중국 AI 칩 관세 연기 발표에도 불구하고 CPI 발표 전 관망세로 소폭 하락했습니다. 다만 반도체 업종은 상대적 강세를 보이며 섹터 내 차별화가 진행되었습니다.
🏦 금융 섹터 (-0.35%)
금리 인하 속도 조정 우려와 CPI 상승 전망으로 은행주 중심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지역은행들의 순이자마진 압박 우려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 에너지 섹터 (+0.25%)
원유 가격 상승과 지정학적 긴장 지속으로 소폭 상승했습니다. 정제업체들의 마진 개선 기대감이 긍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4. 주요 종목 등락 및 이슈

🌿 대마초 및 캐나비스 관련
[🚀급등] 틸레이 (TLRY) +41.82%
캐나비스 기업 틸레이가 41.82% 급등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의 대마초 재분류 고려 소식이 규제 완화 기대감을 불러일으키며 산업 전반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습니다. 거래량이 크게 증가한 가운데, 다른 대마초 관련주들도 동반 상승했습니다.
[🚀급등] 선달 (SNDL) +19.64%
대마초 생산 및 유통 기업 선달이 19.64% 상승했습니다. 연방 차원의 대마초 규제 완화 보도가 산업 수요 증가 기대를 자극했습니다.
[🚀급등] 크로노스 (CRON) +16.09%
캐나비스 제조사 크로노스가 16.09% 올랐습니다. 대마초 재분류 검토 뉴스가 시장 심리를 자극하며, 업계 전반의 규제 완화 가능성을 반영했습니다.
🔋 리튬 및 배터리 소재 관련
[🚀급등] LAR +30.6%
리튬 관련 기업 LAR이 30.6% 상승했습니다. 글로벌 리튬 공급 부족 우려가 가격을 밀어올렸습니다.
[🚀급등] 시그마 리튬 (SGML) +22.79%
리튬 생산 기업 시그마 리튬이 22.79% 상승했습니다. 중국 CATL의 광산 생산 중단 소식이 글로벌 리튬 공급 부족 우려를 불러, 리튬 가격 상승 기대가 주가를 견인했습니다.
[상승] 리튬 아메리카스 (LAC) +9.32%
리튬 개발사 리튬 아메리카스가 9.32% 올랐습니다. 아르헨티나 Cauchari-Olaroz 프로젝트에서 생산량이 18% 증가하고 비용이 절감된 실적 발표가 긍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상승] 소시에다드 퀴미카 (SQM) +8.72%
칠레 리튬 생산 기업 소시에다드 퀴미카가 8.72% 상승했습니다. CATL 광산 중단으로 인한 리튬 공급 타이트니스 우려가 가격 상승을 촉진했습니다.
📺 미디어 및 방송 관련
[🚀급등] 테그나 (TGNA) +29.78%
방송사 테그나가 29.78% 급등했습니다. 넥스타 미디어의 인수 협상 막바지 소식과 규제 완화 기대가 주가를 밀어올렸으며, 주당 19.67달러로 52주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급등] 그레이 텔레비전 (GTN) +22.52%
방송 기업 그레이 텔레비전이 22.52% 상승했습니다. 테그나와의 잠재적 인수 관련 뉴스와 미국 방송업 구조 재편 흐름이 긍정적 영향을 미쳤습니다.
[🚀급등] TKO +10.23%
UFC 모회사 TKO가 10.23% 상승했습니다. Paramount와의 77억 달러 UFC 미디어 권리 계약 체결이 주가를 견인했습니다.
🧬 헬스케어 및 바이오테크 관련
[🚀급등] 젭 헬스 (ZEPP) +27.97%
헬스케어 웨어러블 기업 젭 헬스가 27.97% 올랐습니다. 2024년 4분기 매출이 전분기 대비 40% 증가한 실적 발표와 새로운 AI 기술 집중이 투자자 관심을 끌었습니다.
[🚀급등] 누 스킨 (NUS) +18.48%
헬스케어 및 뷰티 제품 기업 누 스킨이 18.48% 상승했습니다. 분기 실적 호조와 비용 절감 효과가 반영되었습니다.
[🚀급등] 바우쉬 헬스 (BHC) +15.83%
제약사 바우쉬 헬스가 15.83% 올랐습니다. 실적 발표에서 순손실 축소와 파이프라인 확대가 긍정적으로 평가되었습니다.
[🚀급등] 암포스 (AMPH) +14.91%
제약 기업 암포스가 14.91% 상승했습니다. 임상 데이터 개선과 시장 수요 증가가 주가를 지지했습니다.
[🚀급등] 버스팀 (VSTM) +14.24%
바이오테크 기업 버스팀이 14.24% 올랐습니다. 신약 개발 진척 소식이 투자 심리를 자극했습니다.
[🚀급등] 클로버 헬스 (CLOV) +13.3%
헬스케어 보험사 클로버 헬스가 13.3% 상승했습니다. 회원 증가와 비용 관리 개선이 실적에 반영되었습니다.
[🚀급등] 클로버 헬스 (CLOV) +13.3%
헬스케어 보험사 클로버 헬스가 13.3% 상승했습니다. 회원 증가와 비용 관리 개선이 실적에 반영되었습니다.
[🚀급등] 렌즈 테라퓨틱스 (LENZ) +11.79%
안과 바이오 기업 렌즈 테라퓨틱스가 11.79% 올랐습니다. 임상 시험 결과 발표가 긍정적 반응을 이끌었습니다.
[🚀급등] 아테나 (ATNF) +11.33%
바이오테크 기업 아테나가 11.33% 상승했습니다. 연구 개발 진척과 파트너십 소식이 주가를 밀어올렸습니다.
[🚀급등] 아바 (AVAH) +11.24%
홈 헬스케어 기업 아바가 11.24% 올랐습니다. 수요 증가와 운영 효율화가 실적을 뒷받침했습니다.
[🚀급등] 트랜스메딕스 (TMDX) +11.14%
의료 기기 기업 트랜스메딕스가 11.14% 상승했습니다. 제품 판매 호조와 시장 확대가 영향을 미쳤습니다.
[상승] HCI +9.98%
헬스케어 기업 HCI가 9.98% 올랐습니다. 실적 호조가 반영되었습니다.
[상승] 미름 (MIRM) +9.84%
바이오제약 기업 미름이 9.84% 올랐습니다. 임상 데이터 업데이트가 투자자 신뢰를 높였습니다.
[상승] 일라이 릴리 (LLY) +1.53%
제약 대형주 일라이 릴리가 1.53% 상승했습니다. 비만 치료제 Zepbound 판매액 33억 8천만 달러 달성과 연간 가이던스 상향이 긍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하락] CVS -1.01%
헬스케어 기업 CVS가 1.01% 하락했습니다. 시장 변동성 속 실적 압력이 영향을 미쳤습니다.
💻 테크놀로지 및 소프트웨어 관련
[🚀급등] 머리디언링크 (MLNK) +24.56%
금융 소프트웨어 기업 머리디언링크가 24.56% 급등했습니다. Q2 실적이 예상치를 상회하며, 주가가 19.76달러로 상승했습니다.
[🚀급등] 사운드하운드 (SOUN) +17.34%
AI 음성 기술 기업 사운드하운드가 17.34% 올랐습니다. 기술 채택 확대와 파트너십 소식이 주가를 견인했습니다.
[🚀급등] RDNT +16.19%
의료 이미징 소프트웨어 기업 RDNT가 16.19% 상승했습니다. 실적 호조와 시장 확대가 긍정적 영향을 미쳤습니다.
[🚀급등] AIOT +13.44%
IoT 기술 기업 AIOT가 13.44% 상승했습니다. 시장 수요 증가와 제품 업데이트가 긍정적 영향을 미쳤습니다.
[🚀급등] SION +13.36%
소프트웨어 기업 SION이 13.36% 상승했습니다. 기술 섹터 회복이 주가를 지지했습니다.
[상승] 로켓 랩 (RKLB) +0.74%
우주 기술 기업 로켓 랩이 0.74% 상승했습니다. 계약 체결 소식이 긍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상승] 퀄컴 (QCOM) +0.28%
반도체 기업 퀄컴이 0.28% 상승했습니다. 모바일 칩 수요 안정화가 긍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상승] 테슬라 (TSLA) +2.85%
전기차 기업 테슬라가 2.85% 상승했습니다. Dojo 슈퍼컴퓨터 프로젝트 중단에도 불구하고, AI 칩 전략 전환과 영국 전기 공급 라이선스 신청이 시장 심리를 지지했습니다.
[하락] AMD -0.28%
반도체 기업 AMD가 0.28% 하락했습니다. 경쟁 환경 변화와 시장 조정이 원인으로 지목됩니다.
[하락] 엔비디아 (NVDA) -0.35%
반도체 대형주 엔비디아가 0.35% 소폭 하락했습니다. AI 칩 수요 기대에도 불구하고, 광범위한 테크 섹터 약세가 반영되었습니다.
[하락] 팔란티어 (PLTR) -2.29%
데이터 분석 기업 파란타가 2.29% 하락했습니다. 시장 변동성 속에서 기술주 조정이 영향을 주었습니다.
[하락] IBM -2.46%
IT 서비스 기업 IBM이 2.46% 하락했습니다. 클라우드 부문 경쟁 심화가 주가에 부담을 주었습니다.
[하락] 큐르보 (QRVO) -1.26%
RF 반도체 기업 큐르보가 1.26% 하락했습니다. 공급망 이슈와 섹터 약세가 영향을 미쳤습니다.
🚀 기타 산업 및 에너지 관련
[🚀급등] GPRE +19.39%
바이오 연료 기업 그린 퓨어 에너지가 19.39% 올랐습니다. 에너지 섹터 회복과 원자재 가격 상승이 영향을 미쳤습니다.
[🚀급등] OPEN +18.46%
부동산 플랫폼 OPEN이 18.46% 상승했습니다. 시장 수요 증가가 주가를 견인했습니다.
[🚀급등] ZIM +14.9%
해운 기업 ZIM이 14.9% 상승했습니다. 글로벌 무역 회복이 긍정적 영향을 미쳤습니다.
[🚀급등] JMIA +11.42%
e커머스 기업 JMIA가 11.42% 상승했습니다. 아프리카 시장 확대가 긍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상승] KSS +9.8%
소매 기업 KSS가 9.8% 올랐습니다. 실적 개선이 주가를 밀어올렸습니다.
[상승] ELF +9.73%
뷰티 기업 ELF가 9.73% 상승했습니다. 판매 호조가 반영되었습니다.
[상승] FORTY +9.39%
산업 기업 FORTY가 9.39% 올랐습니다. 시장 회복이 영향을 미쳤습니다.
[상승] MENS +9.33%
소매 기업 MENS가 9.33% 상승했습니다. 수요 증가가 긍정적입니다.
[상승] DEFT +9.2%
기술 기업 DEFT가 9.2% 올랐습니다. 파트너십 소식이 주가를 지지했습니다.
[상승] POWL +8.6%
에너지 기업 POWL이 8.6% 상승했습니다. 프로젝트 수주가 긍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상승] SPNS +8.48%
소프트웨어 기업 SPNS가 8.48% 올랐습니다. 실적 호조가 반영되었습니다.
5. 원자재 시황
🥇 귀금속
- 금 (GOLD): $2,675.20 (+$18.30, +0.69%) - 달러 약세와 인플레이션 헤지 수요 증가
- 은 (SILVER): $30.85 (+$0.62, +2.05%) - 산업 수요 회복 기대와 금 동조 상승
🛢️ 에너지
- WTI 원유: $76.15 (+$0.95, +1.26%) - 중동 지정학적 긴장과 재고 감소
- 천연가스: $2.94 (+$0.08, +2.80%) - 여름철 냉방 수요 증가
🔩 산업 원자재
- 구리: $4.28 (+$0.15, +3.63%) - 중국 경기부양책 기대와 전기차 수요
- 알루미늄: $2,158 (+$42, +1.98%) - 공급 제약 우려 지속
- 철광석: $101.20 (+$3.45, +3.53%) - 중국 건설업 수요 회복 신호
🌾 농산물
- 옥수수: $4.92 (+$0.18, +3.80%) - 날씨 우려와 바이오연료 수요
- 대두: $10.58 (+$0.31, +3.02%) - 중국 수입 증가와 작황 우려
- 밀: $5.74 (+$0.22, +3.98%) - 흑해 지역 수출 불안정
6. 가상화폐 시황
₿ 주요 암호화폐
- 비트코인 (BTC): $107,850 (+$1,285, +1.21%) - 기관 투자 유입과 401(k) 편입 기대
- 이더리움 (ETH): $4,198.48 (-$12.25, -0.29%) - 4,200 달러 저항선 테스트 실패
- 솔라나 (SOL): $245.60 (+$8.90, +3.76%) - NFT 거래량 증가와 생태계 확장
- 카르다노 (ADA): $0.52 (+$0.03, +6.12%) - 스마트컨트랙트 업그레이드 기대
시장 동향:
- 전체 암호화폐 시가총액 3.75조 달러 수준
- 비트코인 도미넌스 52.3%로 유지
- 알트코인 시즌 초기 신호 감지
7. 외환시장
💱 주요 통화
- 달러지수 (DXY): 108.25 (-0.15, -0.14%) - CPI 발표 전 소폭 조정
- EUR/USD: 1.0295 (+0.0012, +0.12%) - ECB 통화정책 대기 모드
- USD/JPY: 156.25 (-0.85, -0.54%) - 일본 개입 경계선 근접
- GBP/USD: 1.2745 (+0.0025, +0.20%) - 영국 고용지표 개선
중앙은행 일정:
- 8월 12일 오후 9시 30분: 미국 7월 CPI 발표
- 8월 27일: 잭슨홀 심포지엄 개최 예정
8. 기관투자자 흐름
🏛️ ETF 자금 흐름
주식형 ETF: 주간 +$6.8B 순유입 (2주 연속 유입)
섹터별 ETF: 기술주(+$0.8B), 헬스케어(+$0.6B) 순유입
채권형 ETF: +$1.9B 순유입 (CPI 발표 대기 자금)
채권형 ETF: +$1.9B 순유입 (CPI 발표 대기 자금)
📊 기관 포지션 변화
- 헤지펀드: S&P 500 선물 롱 포지션 12% 증가
- 연기금: 대형주 비중 확대, 소형주 비중 축소
- 외국인: 주간 +$8.5B 순매수 (3주 연속)
9. 다음 주 주요 일정 (2025년 8월 12일~16일)
📅 8월 12일(화)
- ⭐ 미국 7월 CPI: 전년 동기 대비 3.0% 예상 (한국시간 오후 9시 30분)
- ⭐ 미국 7월 근원 CPI: 전년 동기 대비 3.2% 예상
- 중국 7월 CPI: 전년 동기 대비 1.6% 예상
- 실적발표: Home Depot (HD), Walmart (WMT)
📅 8월 13일(수)
📅 8월 14일(목)
📅 8월 15일(금)
- 미국 7월 소매판매: 전월 대비 0.3% 예상
- 미국 7월 산업생산: 전월 대비 0.1% 예상
- 미시간대 8월 소비자심리지수 예비치: 75.2 예상
📅 위험 이벤트
- 트럼프 추가 관세 정책 발표 가능성
- 중동 지정학적 리스크 모니터링
- 옵션 만료: 8월 16일 월간 옵션 만료일
핵심 포인트:
- CPI 발표 전 관망세로 3대 지수 모두 소폭 하락
- 트럼프 중국 AI 칩 관세 연기로 반도체주 상승
- 바이오테크주 강세: 에퀴리움(+78.88%), 엔테로(+66.46%) 등 급등
- 원자재 전반 상승: 구리(+3.63%), 금(+0.69%) 등
- 내일 CPI 발표가 최대 변수로 작용할 전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