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4 미국 시황 정리

2025-08-14 미국 시황 정리

#Daily #미국주식시황 #주식시황 #경제지표

증시 주요 캘린더


  • [월간 일정]

  • [주간 일정]


2025년 8월 14일 주식시장 신호등


  • Macro: -

  • 시장 느낌(시장 상황, 나스닥 기준): 중립 !{B42567E5-FFCF-462C-ADDB-745FFF3CBCA0}.png)!{40E4A50D-E976-4783-B626-F7D4D7F6969D}.png)

    • ▒ 시장 센티먼트 : [개장 전] 긍정 → [개장 후] 부정 → 중립

    • ★ 내가 느끼는 무의식(내 상황에 기초한 느낌) : 중립


1. 경제지표 및 거시경제, 주요 뉴스 및 이슈 동향

🎯 연준 금리인하 기대감 고조 - 9월 25bp 인하 확실시

현재 상황:

  • CME FedWatch 툴에 따르면 트레이더들이 9월 연준 회의에서 25bp 금리 인하를 100% 확신하고 있음

  • 재무장관 스콧 베센트, 최근 고용지표 약화를 근거로 공격적인 50bp 인하도 가능하다고 언급

  • 시카고 연준 총재 오스틴 굴스비, 관세가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이 일시적인지 지속적인지 파악하는 것이 금리 결정에 중요하다고 발언 시장 영향:

  • 10년물 국채 수익률 4.24%로 전일 대비 5bp 하락

  • 달러지수(DXY) 97.78로 0.3% 하락, 2주 최저치 기록

  • 금리민감 소형주(러셀2000) 2% 급등하며 6개월 최고치 달성

📈 관세 정책 불확실성 속 기술주 차별화

트럼프 관세 정책:

  • 인도에 대해 러시아산 원유 수입 대응으로 21일 후 25% 추가 관세 부과 행정명령 서명
  • 반도체 수입품에 100% 관세 부과 계획 발표로 글로벌 공급망 재편 가속화 예상
  • 스위스와의 관세 협상 결렬로 의료기기, 제약, 시계 등 품목에 부담 예상

시장 평가:

  • 7월 소비자물가지수가 2.7%로 관세 영향이 아직 완전히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해석
  • 기술주 밸류에이션 부담에도 불구하고 실적 전달력이 핵심 변수로 부상

2. 오늘의 주식 시황

📊 주요 지수 등락 (미국동부시간 8월 13일 종가 기준)

!{AE26C188-FC8C-4340-A464-CC94AA5678D2}.png)

  •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44,922.27 (+463.66p, +1.04%)
  • S&P 500: 6,466.58 (+20.82p, +0.32%) ⭐신고가
  • 나스닥 종합: 21,713.14 (+31.24p, +0.14%) ⭐신고가
  • 러셀 2000: 2,228.06 (+45.28p, +2.04%) ⭐6개월 최고치

거래 특징:

  • S&P 500과 나스닥이 연속 2일째 신고가 경신

  • 다우지수는 12월 이후 첫 기록 갱신까지 0.2% 차이

  • 거래량 169억 주로 20일 평균 183억 주 대비 소폭 감소

  • 상승 종목 대 하락 종목 비율 NYSE 4.05:1, 나스닥 2.53:1로 강세

  • 중소형주 상승 속 기존 대형 기술주는 보합이거나 하락하는 순환매 ▶ 이미 많이 올라버린 시장이 금리 인하로 초점이 옮겨가며 추가적인 상승 동력원을 찾는 모습

    !{6CF9AF74-6662-425D-9812-AB833F8741B7}.png)

    추가적인 엣지는 중소형(러셀, 헬스케어, 홈빌더)쪽에서 나올것으로 보면 이는 짧으면 잭슨홀, 단기적으론 9월 FOMC전까지 유지될 것으로 추정


3. 섹터별 등락 및 이슈

!{07F9DF11-D85D-463D-B0AC-731E835322C1} 1.png)

🏥 헬스케어 섹터 (+1.6%)

헬스케어가 연중 대부분 부진했던 상황에서 반등세를 보이며 11개 S&P 500 섹터 중 상위권 성과를 기록했습니다. 연준 금리인하 기대감과 함께 방어주로서의 매력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 기술 섹터 (혼조)

대형 기술주들이 전일 강세 이후 차별화 양상을 보였습니다. AAPL +1.6% 상승한 반면, NVDA, GOOGL, MSFT 등 매그니피센트 7 일부 종목들은 하락했습니다. 밸류에이션 부담과 수익 다각화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4. 주요 종목 등락 및 이슈

중소형주 !{6CF9AF74-6662-425D-9812-AB833F8741B7}.png)

🚀 급등 종목

[🚀급등] 웹툰 엔터테인먼트 (WBTN +81.20%)
$16.96로 마감하며 일일 최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한국 웹툰 플랫폼 기업으로 나스닥 상장 후 첫 대규모 급등을 보였습니다. 거래량이 1,500만 주를 넘어서며 기관 매수세가 유입된 것으로 분석됩니다.

[🚀급등] 사피엔스 인터내셔널 (SPNS +44.27%)
$42.56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어드벤트가 25억 달러에 인수하기로 발표하면서 M&A 프리미엄이 반영되었습니다. 보험 소프트웨어 시장에서의 경쟁 재편이 예상됩니다.

[🚀급등] 파라마운트 스카이댄스 (PSKY +36.74%)
$15.00으로 마감했습니다. UFC 독점 중계권 7년 계약(77억 달러 규모) 체결 발표 이후 짐 크레이머가 “소액 유통주식으로 인한 밈 스톡"이라고 언급하면서 추가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거래량이 1억 3천만 주를 돌파했습니다.

🌿 바이오테크 및 제약 관련

[🚀급등] 틸레이 브랜드 (TLRY +31.51%)
대마초 합법화 테마주로 정책 변화 기대감이 반영되었습니다. 최근 한 달간 44% 상승하며 강세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급등] 아크투러스 테라퓨틱스 (ARCT +29.01%)
RNA 치료제 개발 업체로 노바티스의 아비디티 바이오사이언스 인수 제안 소식이 바이오테크 M&A 테마를 부각시키면서 동반 상승했습니다.

🏠 부동산 및 건설 관련

[🚀급등] 체민 그룹 (CC +17.95%)
화학 소재 업체로 건설경기 회복 기대감과 함께 원자재 가격 상승이 반영되었습니다. [🚀급등] Dream Finders Homes Inc (DFH +13.02%)
주택건설업체로 금리인하 기대감이 주택 구매력 개선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주가 상승을 견인했습니다.

💊 대형 제약주 성과

유나이티드헬스 그룹 (UNH +3.91%)
$271.81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이사회가 배당 지급을 승인하면서 다우지수 상승을 견인했습니다.

일라이 릴리 (LLY +3.29%)
$650.40으로 마감했습니다. 체중감량 치료제 수요가 여전히 견조하다는 분석이 나오면서 상승했습니다. 노보 노디스크 (NVO +2.25%)
당뇨병 치료제와 GLP-1 계열 약물의 글로벌 수요 확대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 주요 하락 종목

로켓랩 USA (RKLB -0.99%)
소폭 하락했지만 우주항공 테마주 중에서는 상대적으로 양호한 성과를 보였습니다.

코어웨이브 (CRWV -21%)
AI 데이터센터 운영업체로 2분기 실적에서 예상보다 큰 손실을 기록하면서 급락했습니다. 매출은 207% 증가했으나 운영비용이 276% 급증했습니다.

5. 원자재 시황

🥇 귀금속

  • 금 선물: $3,410/oz (+0.3%) - 달러 약세와 금리인하 기대감으로 상승
  • : 산업 수요 회복 기대감으로 강세 지속

⛽ 에너지

  • WTI 원유: $62.75/bbl (-0.7%) - 2주 연속 하락세로 6월 초 이후 최저치
  • 천연가스: 겨울철 난방 수요 증가 기대감으로 상승

🔩 산업금속

  • 구리: 중국 경기부양책 기대감과 전기차 배터리 수요로 상승세
  • 알루미늄: 공급 부족 우려와 항공우주 산업 수요 회복으로 강세

6. 암화폐 시황

₿ 암호화폐 시장

  • 비트코인(BTC): $122,900 - 사상 최고치인 $123,200 근처에서 거래
  • 이더리움(ETH): $4,700 이상 - 2025년 약 50% 상승
  • 트럼프 행정부의 암호화폐 친화적 규제 환경 조성 기대감 지속

7. 외환시장

💱 주요 통화쌍

  • 달러지수(DXY): 97.78 (-0.3%) - 연준 금리인하 기대감으로 2주 최저치
  • EUR/USD: 유럽 경제지표 개선으로 달러 대비 강세
  • USD/JPY: 일본 정부 개입 경계감으로 엔화 강세

8. 기관투자자 흐름

🏛️ ETF 자금 흐름

  • 주식형 ETF: 주간 85억 달러 순유입 (3주 연속)
  • SPY: +21억 달러, QQQ: +18억 달러 순유입
  • 섹터별 ETF: 헬스케어(+8억 달러), 금융(+7억 달러) 순유입

🏦 헤지펀드 포지션

  • S&P 500 선물 롱 포지션 15% 증가
  • 소형주 롱 포지션 확대 지속
  • 변동성(VIX) 베팅 축소로 안정성 추구

9. 다음 주 주요 일정 (2025년 8월 18일~22일)

📅 경제지표 발표

8월 18일(월):

  • 🏠 미국 7월 주택착공: 전월대비 +2.1% 예상
  • 🏗️ 건축허가: +1.5% 예상

8월 19일(화):

  • ⭐ 미국 7월 소매판매: +0.4% MoM 예상 (핵심 지표)
  • 🏭 산업생산: +0.3% MoM 예상

8월 20일(수):

  • ⭐ 연준 7월 FOMC 의사록 발표 (오후 2시)
  • 🏠 기존주택판매: +1.2% 예상

8월 21일(목):

  • 💼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 23만 건 예상
  • 🏗️ 필라델피아 연준 제조업지수: 개선 기대

8월 22일(금):

  • ⭐ 미시간대 8월 소비자심리지수 예비치: 67.8 예상
  • 🏡 신규주택판매: +2.0% 예상

💼 주요 실적발표

  • 8월 19일: WMT 월마트, HD 홈디포
  • 8월 20일: CSCO 시스코, NVDA 엔비디아 (2분기)
  • 8월 21일: INTC 인텔, AAPL 애플 서비스 부문 업데이트

🎤 연준 인사 발언

  • 8월 20일: 제롬 파월 연준 의장 잭슨홀 심포지움 기조연설
  • 8월 21일: 라파엘 보스틱 애틀랜타 연준 총재 연설

⚠️ 주요 리스크 이벤트

  • 트럼프 추가 관세 정책 발표 가능성
  • 중국 부동산 섹터 추가 부실 우려
  • 중동 지정학적 리스크 모니터링

📊 옵션 만료

  • 8월 16일: 주간 옵션 만료
  • 8월 23일: 월간 옵션 만료 (대량 거래 예상)
마지막 수정 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