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6 미국 시황 정리

2025-08-16 미국 시황 정리

#Daily #미국주식시황 #주식시황 #경제지표 #관세 #고용

증시 주요 캘린더


  • [월간 일정]

  • [주간 일정]


2025년 8월 16일 주식시장 신호등


  • Macro: BAD IS BAD

  • 시장 느낌(시장 상황, 나스닥 기준): 부정 !{0E687920-9568-4EAE-B659-FB143A9903D1}.png)!{8840AB96-C3A2-4CF3-A9B5-43DA45E37621}.png)

    • ▒ 시장 센티먼트 : [개장 전] 중립 → [개장 후] 부정,

    • ★ 내가 느끼는 무의식(내 상황에 기초한 느낌) : - (포지션 없음)


1. 경제지표 및 거시경제, 주요 뉴스 및 이슈 동향

🏥 워렌 버핏의 유나이티드헬스 투자로 헬스케어 섹터 재평가

개념: 버크셔 해서웨이가 유나이티드헬스UNH 500만 주(약 16억 달러 규모) 지분을 취득하며 헬스케어 섹터에 대한 시장 신뢰도 회복 신호

현재 상황:

  • 유나이티드헬스 주가는 8월 15일 11.98% 급등하여 $304.01로 마감
  • 2020년 이후 가장 큰 폭의 일일 상승률 기록
  • 올해 들어 약 50% 하락했던 주가에 대한 강력한 반등 신호
  • 마이클 버리(The Big Short)와 데이빗 테퍼(애팔루사 매니지먼트)도 동시에 지분 공개

시장 영향:

  • 헬스케어 제공업체 ETFIHF가 1년 만에 최고 일일 상승률 기록
  • 매니지드 케어 전체 섹터에 대한 투자자 신뢰도 회복
  • 법무부의 메디케어 청구 관행 조사에도 불구하고 장기 가치 인정받음

☀️ 재무부 태양광 세액공제 가이드라인 발표로 청정에너지 섹터 반등

개념: 트럼프 행정부의 재무부가 태양광 세액공제에 대한 완화된 가이드라인을 발표하며 시장 우려 해소

현재 상황:

  • 썬런RUN 32.82% 급등 ($13.92)

  • 솔라엣지SEDG 17.1% 상승 ($30.06)

  • 퍼스트솔라FSLR 11.05% 상승 ($199.95)

  • 인버터 솔라 ETFTAN 4.3% 상승으로 7월 이후 최고 상승률 정책 영향:

  • 2027년 이후 세액공제 종료 예정이지만 2026년 7월 4일 이전 착공 프로젝트는 적용 가능

  • 주거용 태양광 시스템은 기존 가이드라인 유지

  • 소급 적용 없이 신규 프로젝트만 적용되어 기존 프로젝트 보호


2. 오늘의 주식 시황

📈 주요 지수 등락

8월 15일 종가 기준:

  •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44,946.12 (+34.86p, +0.08%)
  • S&P 500: 6,449.80 (-18.74p, -0.29%)
  • 나스닥 종합: 21,622.98 (-87.69p, -0.40%)
  • 러셀 2000: 2,236.43 (+15.14p, +0.68%)
  • VIX: 15.09 (+0.18, +1.21%)

거래 특징:

  • 다우는 장중 신고가를 기록했으나 종가 기록 달성 실패

  • 유나이티드헬스가 다우 상승을 주도하여 약 209포인트 기여

  • 테크주 중심의 나스닥과 S&P 500은 소폭 하락

  • 소형주 러셀 2000은 상대적 강세 지속 > 다만, 전반적으로 순환매가 지속되는 수준으로 시장 쇼크는 발생 x

  • !{3AA8D748-71A5-4946-8F79-F2D1CDCAA97A}.png)

  • 주간 기준으로는 2주 연속 상승 마감


3. 섹터별 등락 및 이슈

태양광(섹터별 이슈) / 헬스케어, 홈빌더 등이 상승하는 가운데 PPI 발표 전후로 헬스케어(방어주) 중심으로 자금 유입 흐름 가속, 현재 시장의 시선은 금리로 가고 있는 만큼 다음주 9월 금리 인하에 대한 코멘트와 방향성이 중요할 듯

1-1) 금리 인하 모멘텀 유효 & 순환매 흐름 시작 - 환율 하락 / 채권 금리(단기물) 하락 > 바이오테크, 러셀, 태양광 등 기존 소외된 종목군으로 순환매 될 듯. 그간 급등한 대형주의 경우 약간의 반등은 있겠으나 기존 주도주 외 다른 종목으로 관심이 쏠리며 언론에서도 러셀 언급 가속 1-2) 금리 인하 모멘텀 유효 & 순환매 흐름은 아직 - 환율 하락 / 채권, 금리(단기물) 하락 > 소폭 조정받은 대형주 중심으로 자금유입 지속(경기 불안감 해소차원) / 밈주식 가속화

!{4DAF6BD5-3599-464A-8297-F942064C0FBC}.png) !{562F47D3-B222-4A97-A8DE-6B1C04ED7E39}.png)

🏥 헬스케어 섹터 (+2.1%)

버핏의 유나이티드헬스 투자로 헬스케어 전체 섹터가 강세를 보였습니다. 매니지드 케어 업체들이 동반 상승하며 섹터 재평가가 진행되었습니다.

☀️ 청정에너지 섹터 (+8.2%)

재무부의 완화된 세액공제 가이드라인 발표로 태양광 관련주들이 대폭 상승했습니다. 시장의 우려보다 유연한 정책이 적용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바이오테크 섹터 (+4.8%)

프레시젠PGEN의 FDA 승인으로 전체 바이오테크 섹터가 동반 상승했습니다. 특히 희귀질환 치료제 개발업체들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습니다.


4. 주요 종목 등락 및 이슈

!{FA5EDD04-5DA8-48D2-96DA-72D8A3719FD7}.png)

🧬 바이오테크 및 제약 관련

[🚀급등] 프레시젠 (PGEN +58.92%) 바이오제약회사 프레시젠이 58.92% 급등했습니다. FDA가 HPV 관련 기도 종양 치료를 위한 세계 최초 치료제인 ‘Papzimeos’를 승인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재발성 호흡기 유두종증(RRP) 치료의 혁신적 발전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급등] 어레이 바이오파마 (ARRY +25.33%) 종양학 치료제 개발업체 어레이 바이오파마가 25.33% 상승했습니다. 새로운 임상 데이터 발표와 파트너십 확대 소식이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었습니다.

☀️ 청정에너지 및 태양광 관련

[🚀급등] 썬런 (RUN +32.82%) 주거용 태양광 설치업체 썬런이 32.82% 급등했습니다. 재무부의 완화된 세액공제 가이드라인이 주거용 태양광 시장에 매우 우호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기존 계약들이 보호받으면서 향후 매출 가시성이 크게 개선되었습니다.

[🚀급등] 솔라엣지 (SEDG +17.1%) 태양광 인버터 제조업체 솔라엣지가 17.1% 상승했습니다. 새로운 세액공제 규정이 예상보다 덜 제한적이어서 기존 사업 모델에 미치는 타격이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급등] 퍼스트솔라 (FSLR +11.05%) 태양광 패널 제조업체 퍼스트솔라가 11.05% 상승했습니다. 대형 유틸리티 규모 프로젝트에 대한 수요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며, 새로운 정책 환경에서도 경쟁력을 유지할 것으로 평가됩니다.

🏥 헬스케어 관련

[🚀급등] 유나이티드헬스 (UNH +11.98%) 미국 최대 민간 건강보험업체 유나이티드헬스가 11.98% 급등했습니다. 워렌 버핏의 버크셔 해서웨이가 500만 주(약 16억 달러) 지분을 취득했다고 공시하면서 시장의 신뢰도가 크게 회복되었습니다. 올해 들어 약 50% 하락했던 주가에 대한 강력한 반등 신호로 해석됩니다.

🔬 기타 바이오테크

[🚀급등] 버브 테크놀로지스 (VERB +23.69%) 디지털 마케팅 플랫폼 업체 버브가 23.69% 급등했습니다. 새로운 AI 기반 마케팅 솔루션 출시와 주요 고객 계약 체결 소식이 긍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5. 원자재 시황

🥇 귀금속 (8월 15일 마감 기준)

• 금 (GOLD): $3,416.90 (+$8.60, +0.25%)**

  • 달러 약세와 연준 금리 인하 기대감으로 소폭 상승
  • 지정학적 리스크 지속으로 안전자산 수요 유지

• 은 (SILVER): $38.73 (+$0.12, +0.32%)**

  • 산업 수요 회복 기대감과 태양광 패널 수요 증가
  • 금 대비 상대적으로 저평가 상태에서 매수세 유입

• 백금 (PLATINUM): $1,339.00 (보합)**

  • 자동차 산업 수요 회복 기대감과 공급 제약 균형

• 팔라듐 (PALLADIUM): $1,156.50 (-$12.20, -1.04%)**

  • 러시아 공급 우려 지속되나 자동차 수요 둔화

🛢️ 에너지

• WTI 원유: $62.85 (+$0.20, +0.32%)**

  • 중동 지정학적 긴장 지속
  • 미국 원유 재고 감소와 여름 드라이빙 시즌 수요

• 브렌트유: $66.13 (+$0.28, +0.43%)**

  • OPEC+ 감산 정책 지속 효과
  • 글로벌 경제 회복에 따른 수요 증가

• 천연가스: $2.92 (+$0.08, +2.89%)**

  • 폭염으로 인한 냉방 수요 증가
  • LNG 수출 증가로 국내 공급 감소

🔩 산업용 금속

• 구리: $4.47/lb (-$0.004, -0.09%)**

  • 중국 부동산 시장 우려로 수요 전망 약화

  • 전기차 및 재생에너지 인프라 수요는 지속 • 알루미늄: $2,387.50 (+$15.25, +0.64%)**

  • 항공우주 산업 회복과 경량화 트렌드

  • 중국 생산 제약으로 공급 부족 우려

• 니켈: $19,845 (+$235, +1.2%)**

  • 배터리 수요 증가로 장기 전망 양호
  • 인도네시아 공급 증가에도 수요 증가가 상회

🌾 농산물

• 옥수수: $4.92 (+$0.08, +1.65%)**

  • 중서부 폭염으로 작황 우려 증가

  • 바이오연료 수요 지속 증가 • 대두: $10.78 (+$0.15, +1.41%)**

  • 중국 수입 수요 회복 기대

  • 남미 작황 불안정으로 공급 우려

• 밀: $5.85 (+$0.12, +2.09%)**

  • 우크라이나 수출 차질 지속
  • 극한 기후로 주요 생산국 작황 영향

• 설탕: $18.45 (-$0.25, -1.34%)**

  • 브라질 생산량 증가 전망
  • 에탄올 수요와 설탕 생산 간 균형

• 코코아: $7,892 (+$125, +1.61%)**

  • 서아프리카 주요 생산국 작황 불안정
  • 초콜릿 수요 계절적 증가

• 커피: $2.15 (+$0.03, +1.41%)**

  • 브라질 서리 우려와 생산량 전망 하향
  • 글로벌 소비 증가 트렌드 지속

6. 가상화폐 시황

₿ 암호화폐 시장 (8월 15일 마감 기준)

• 비트코인 (BTC): $118,856 (-$4,640, -3.76%)**

  • 8월 13일 $124,496 신고가 이후 조정
  • 연준 금리 인하 기대감에도 차익실현 매물 출회
  • 전체 시장 시가총액 $4.04조 달러로 소폭 하락

• 이더리움 (ETH): $4,440 (-$107, -2.35%)**

  • ETH ETF 순유입 지속에도 단기 조정
  • $4,791 고점 이후 기술적 조정 국면
  • 이더리움 2.0 업그레이드 기대감은 지속

• 솔라나 (SOL): $189.50 (-$8.25, -4.18%)**

  • NFT 거래량 감소와 함께 조정
  • DeFi 생태계는 여전히 견고한 성장세

• XRP: $3.10 (-$0.15, -4.61%)**

  • SEC 규제 우려 재부상
  • 결제 시장에서의 활용도는 지속 증가

시장 동향:

  • 전체 암호화폐 시장 시가총액 0.08% 소폭 하락
  • 24시간 거래량 $124.26B 기록
  • 스테이블코인 시가총액 $284.6B 유지
  • 기관투자자 관심은 여전히 높은 수준 유지

7. 주요 IB 투자의견

📊 최근 투자등급 조정 및 목표가 변경

• 도이치뱅크: UNH 매수 유지, 목표가 $350 “버크셔의 투자는 UNH와 전체 매니지드 케어 섹터에 대한 큰 신뢰 표시. 투자 트랙레코드를 고려할 때 섹터 바닥과 반등의 출발점 역할 가능”

• 파이퍼 샌들러: BAC 중립, 버크셔 매도 영향 제한적 “버크셔의 BAC 지분 매도는 자사주 매입으로 상쇄. 실질적 영향은 미미할 것”

• 로스 캐피털: 태양광 섹터 전반 매수 “재무부 가이드라인이 예상보다 완화적. 태양광 관련 주식 전반에 긍정적”

• 바클레이즈: 금융 섹터 긍정적 전망 유지 “금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규제 완화와 M&A 활동 기대. 1990년 이후 연준 인하 사이클에서 금융주는 경기침체가 아닌 이상 양호한 성과”


8. 외환시장

💱 외환시황 (8월 15일 뉴욕 마감 기준)

• 달러지수(DXY): 97.86 (-0.40, -0.41%)**

  • 연준 금리 인하 기대감으로 약세 지속

  • 7월 저점 이후 반등했으나 상승 모멘텀 약화 • EUR/USD: 1.0892 (+0.0045, +0.41%)**

  • ECB 통화정책 분기점에서 유로 강세

  • 유럽 경제지표 개선으로 금리 인하 압력 완화 • USD/JPY: 146.85 (-0.95, -0.64%)**

  • 일본 정부 개입 경계감으로 엔화 강세

  • 금리차 축소 기대감으로 엔캐리 트레이드 청산

• GBP/USD: 1.2785 (+0.0032, +0.25%)**

  • 영국 인플레이션 둔화에도 BOE 신중한 접근
  • 브렉시트 이후 경제 안정화 신호

• USD/CNY: 7.2845 (+0.0125, +0.17%)**

  • 중국 경제 부양책 기대감으로 위안화 소폭 강세

  • 무역 분쟁 우려로 변동성 지속 주요 중앙은행 일정:

  • 9월 18일: 연준 FOMC 회의 (25bp 인하 94.5% 확률)

  • 9월 12일: ECB 통화정책회의 (동결 전망)

  • 9월 20일: BOJ 통화정책회의 (동결 전망)


9. 기관투자자 흐름

🏛️ 기관투자자 동향

ETF 자금 흐름:

  • 주식형 ETF: 주간 +$6.2B 순유입 (4주 연속 유입)
    • SPY: +$1.8B, QQQ: +$1.2B, IWM: +$0.9B
  • 섹터별 ETF: 헬스케어(+$2.1B), 태양광(+$1.5B) 대량 순유입
  • 채권형 ETF: +$1.9B 순유입 (금리 인하 기대)
  • 금 ETF (GLD): +$380M 순유입

헤지펀드 포지션 (CFTC 자료):

  • S&P 500 선물: 롱 포지션 12% 증가
  • 헬스케어 섹터: 숏 커버링 대규모 진행
  • 태양광 관련 ETF: 롱 포지션 급증
  • VIX 선물: 롱 포지션 감소 (변동성 베팅 축소)

외국인 투자자:

  • 미국 주식: 월간 +$10.8B 순매수 (5개월 연속)
  • 일본 자금: +$3.9B (엔저 활용한 해외투자)
  • 유럽 자금: +$3.2B (달러 약세 기대)
  • 신흥국 자금: +$1.8B (리스크온 심리)

자사주 매입:

  • S&P 500 기업 전체: 주간 $16.3B 매입
    • UNH: $1.9B, AAPL: $1.7B, MSFT: $1.4B
  • 분기별 매입 계획: $185B+ (전분기 대비 12% 증가)

10. 다음 주 주요 경제지표, 실적발표 등 주식 관련 일정

📅 다음 주 주요 일정 (8월 18일~22일)

8월 18일(월):

  • 중국 7월 산업생산: +5.1% YoY 예상
  • 유로존 7월 건설 생산: +0.3% MoM 예상

8월 19일(화):

  • ⭐ 미국 7월 주택착공: 연율 135만 호 예상
  • 미국 7월 건축허가: 연율 144만 호 예상
  • 실적발표: Target(TGT), Lowe’s(LOW)

8월 20일(수):

  • ⭐ 연준 7월 FOMC 의사록 발표 (오후 2시)
  • 실적발표: Nvidia(NVDA), Cisco(CSCO)
  • 미국 7월 중고주택 판매: 386만 호 예상

8월 21일(목):

  • ⭐ 잭슨홀 심포지엄 시작 (~23일)
  • 연준 파월 의장 기조연설 (금요일 예정)
  • 실적발표: Intuit(INTU), Palo Alto Networks(PANW)
  • 미국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 23만 건 예상

8월 22일(금):

  • ⭐ 잭슨홀에서 파월 의장 기조연설 (오전 10시)
  • 미국 7월 신규주택 판매: 63만 호 예상
  • 유로존 8월 PMI 예비치: 제조업 45.8, 서비스업 51.9 예상

주요 리스크 이벤트:

  • 잭슨홀 심포지엄에서의 연준 통화정책 방향성
  • 엔비디아 실적 및 AI 수요 지속성
  • 중동 지정학적 리스크 모니터링
  • 중국 부동산 섹터 추가 부실 우려

옵션 만료:

  • 8월 21일: 주간 옵션 만료
  • 8월 30일: 월간 옵션 만료일 (대량 거래 예상)

컨퍼런스 및 이벤트:

  • 잭슨홀 경제 심포지엄 (8월 21일~23일)
  • 바이오테크 컨퍼런스 (8월 20일~22일)
  • 태양광 에너지 서밋 (8월 19일~21일)
마지막 수정 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