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9 미국 시황 정리
#Daily #미국주식시황 #주식시황 #경제지표 #관세 #고용
증시 주요 캘린더
[월간 일정]
[주간 일정]
2025년 8월 19일 주식시장 신호등
Macro: -
시장 느낌(시장 상황, 나스닥 기준): 중립


▒ 시장 센티먼트 : [개장 전]중립 → [개장 후] 중립
★ 내가 느끼는 무의식(내 상황에 기초한 느낌) : 중립
시장을 보면 너무 오른 기술주와 증시가 부담이라고 생각하는 것 같지만, 팔란티어 같이 너무 많이 오른 종목 중심으로 하락 폭이 클 뿐 같은 기술주라서 떨어지는 종목들도 보면 대형주는 -1
2%수준. 더불어 아직도 GREED인 상태라는 것은 시장 매수자들의 센티먼트는 약해지지 않으며 모두가 혹시 기술주가 떨어지면 더 사야지 같은 생각을 여전히 가지고 있는 것 같음. 다만, 이번 잭슨홀 미팅을 앞두고 불안감이 있기 때문에 헬스케어 중심으로 방어주로의 로테이션이 도는지 확인하고자 30%비중으로 헬스케어 인입. 실제로 헬스케어는 +12%수준으로 크게 오르지도 않고 등락 중현재 시장을 버티고 있는게 일부 대형 종목, 급등으로 시가총액이 커진 특정 기술주들의 강세로 판단되므로 [해당 종목들 하락 ▶ 지수 하락 ▶CTA Flow 하락 ▶ 리테일 자금 유출로 인한 연쇄 하락]을 에서 미리 살아 남기 위해선 미리 피하는 자세가 필요해보임
아울러, 만약 이번이 방어적 태도로 인한 섹터 로테이션이 아닐 경우(시장 급락)에는 헬스케어 포지션도 모두 정리 할 것
1. 경제지표 및 거시경제, 주요 뉴스 및 이슈 동향
🎯 잭슨홀 연준 경제 심포지움 - 파월 의장 연설 주목
현재 상황:
- 8월 22일 금요일 파월 연준 의장 잭슨홀 연설 예정
- 9월 금리 인하에 대한 시장 기대감 지속
- 연준의 금리 정책 방향성에 대한 시장의 불확실성 증가
- 월가는 연준의 9월 금리 인하를 압도적으로 예상하고 있으나, 인하 폭에 대한 의견 분분
시장 평가:
- 경제학자들은 9월과 연말까지 한 번 더 금리 인하 예상
- 현재 연방기금금리는 4.25%-4.50% 범위 유지
- 파월 의장의 발언이 향후 금리 정책 방향에 결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
-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은 차기 연준 회의에서 0.5%포인트 금리 인하를 촉구
📈 주요 리테일 기업 실적 발표 주간
현재 상황:
- 이번 주 월마트(WMT), 홈디포(HD), 타겟, 로우즈 등 주요 리테일 기업 실적 발표 예정
- S&P 500 기업 중 92% 이상이 실적 발표 완료
- 분석가들은 S&P 500 기업들이 11% 수익 증가를 보고할 것으로 예상
2. 오늘의 주식 시황
📈 주요 지수 등락

-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44,911.82 (-34.30p, -0.08%)
- S&P 500: 6,449.15 (-0.65p, -0.01%)
- 나스닥 종합: 21,622.98 (+6.79p, +0.03%)
- 러셀 2000: 2,221.29 (+0.83p +0.37%)
거래 특징:
- 주요 지수들이 보합권에서 마감되며 방향성 부재
- 거래량은 평균 수준을 유지하며 관망세 지속
- 변동성 지수(VIX) 상승으로 시장 불안감 다소 증가
- 잭슨홀 심포지움과 리테일 실적 발표를 앞두고 신중한 투자 심리
3. 섹터별 등락 및 이슈

💼 금융 섹터
- 금리 인하 기대감에도 불구하고 소폭 상승
- 대형 은행주들이 이번 주 실적 발표를 앞두고 관망세
🛒 소매/리테일 섹터
- 이번 주 주요 리테일 기업 실적 발표를 앞두고 주목받는 섹터
- 소비자 지출 패턴 변화와 인플레이션 영향 분석 예정
⚡ 에너지 섹터
- 원유가 상승으로 에너지주 강세 지속
- WTI 원유 $63.31/배럴 (+0.80%), 브렌트유 $66.46/배럴 (+0.92%)
4. 주요 종목 등락 및 이슈

🧬 바이오테크 및 제약 관련
[🚀급등] Xencor (XNET +37.56%) 항체-약물 결합체(ADC) 전문업체 Xencor가 37.56% 급등했습니다. 새로운 항암 치료제에 대한 임상 데이터가 예상보다 긍정적으로 발표되면서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었습니다.
[🚀급등] GoodRx Holdings (GDRX +37.27%) 디지털 헬스케어 플랫폼 GoodRx가 37.27% 급등했습니다. 처방약 할인 서비스 확대와 함께 새로운 파트너십 체결 소식이 주가 상승을 견인했습니다.
[🚀급등] Zepp Health (ZEPP +28.41%) 웨어러블 헬스케어 기기 제조업체 Zepp Health가 28.41% 상승했습니다. AI 기반 건강 모니터링 기능 강화와 글로벌 시장 확장 계획이 긍정적으로 평가받았습니다.
🏠 부동산 및 건설 관련
[🚀급등] Zhihu (ZH +17.22%) 중국 지식공유 플랫폼 Zhihu가 17.22% 상승했습니다. 광고 수익 증가와 유료 구독 서비스 성장이 실적 개선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급등] Actelis Networks (AENT +17.10%) 네트워크 솔루션 업체 Actelis가 17.10% 급등했습니다. 5G 인프라 구축 관련 대형 계약 수주 소식이 전해지면서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었습니다.
🔬 기술 및 반도체 관련
[🚀급등] Applied Optoelectronics (AAOI +16.83%) 광섬유 통신 장비 제조업체 Applied Optoelectronics가 16.83% 상승했습니다. 데이터센터 확장과 5G 네트워크 구축 수요 증가가 긍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급등] Shoals Technologies Group (SHLS +16.38%) 태양광 시스템 솔루션 업체 Shoals가 16.38% 급등했습니다. 재생에너지 투자 확대와 함께 태양광 프로젝트 수주 증가가 주가 상승을 견인했습니다.
인텔 (INTC -3.7%) 트럼프 정부가 인텔 지분의 약 10% 인수를 논의하고 있다는 보도가 업데이트됨.
정부가 인텔에 제공했던 CHIPS Act의 109억 달러 규모 보조금의 일부 또는 전부를 지분으로 전환하는 방식이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인텔의 현재 시가총액을 기준으로 볼 때, 10% 지분은 약 105억 달러 규모로 보조금 규모와 거의 일치. 즉, 새롭게 추가되는 투자 금액은 없고, 보조금을 ‘무상 지원’이 아닌 정부가 인텔의 주주로 참여하는 ‘투자 자산’으로 전환하겠다는 취지. 시장이 트럼프 정부의 지분 인수가 갖는 정치적 의미와 영향에 대해 재평가하면서, 월요일 인텔 주가 하락
🎮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
[🚀급등] HubSpot (HUBS 데이터 확인 중) CRM 소프트웨어 업체 HubSpot의 정확한 수익률은 확인 중이나, AI 기반 마케팅 자동화 솔루션 수요 증가로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의료기기 및 헬스케어
노보 노디스크 (NVO): 전일 3.7% 상승. 비만 치료제 시장의 강한 경쟁이 지속되는 가운데, 노보노디스크 약물에 대한 수요를 높일 수 있는 소식이 연이어 나옴. 노보의 비만 치료제 위고비가 심각한 형태의 간 질환 치료제로 FDA의 승인을 받음. 경쟁사 일라이 릴리보다 간 질환 치료제로 먼저 시장에 진출하게 된 것.
또한 노보는 당뇨병 치료제 오젬픽의 현금 결제 가격을 인하하기로 결정. 노보의 현금 결제 전용 약국인 ‘노보케어’를 통해 월 499달러에 구매할 수 있는데, 이는 미국 내 정가의 절반 수준.
노보는 약국 플랫폼 기업 굿알엑스 (GDRX)와 유통 파트너십을 체결해, 미국 전역의 약국에서 오젬픽과 위고비를 동일한 가격으로 판매하겠다는 계획. 노보의 가격 인하 결정은, 트럼프 대통령의 약가 인하 압박뿐 아니라 비만치료제 복제약에 대응해 시장 점유율을 유지하기 위한 전략으로 해석되고 있음. 경쟁사 일라이 릴리(LLY)는 소폭 하락 (-0.5%)
🚗 전기차 및 에너지 관련
[🚀급등] Village Farms International (VFF +12.84%) 수직농장 운영업체 Village Farms가 12.84% 상승했습니다. 지속가능한 농업 기술에 대한 관심 증가와 함께 새로운 시설 확장 계획이 발표되었습니다.
[🚀급등] Tilray Brands (TLRY +10.68%) 대마초 관련 기업 Tilray가 10.68% 상승했습니다. 의료용 대마초 시장 확대와 함께 규제 완화에 대한 기대감이 주가 상승을 견인했습니다.
태양광
[🚀급등] 퍼스트솔라 (FSLR +9.7%), 썬런(RUN +11.35%) 전일 발표된 재무부 청정에너지 세액공제 자격 프로젝트 새로운 가이드 라인에 따른 수혜 예상으로 오늘도 상승. 재무부는 9월 2일 이후 건설되는 태양광의 경우 소규모 (집 지붕 등) 프로젝트는 5%만 지출해도 공제 해주는 것으로 (대규모 프로젝트는 예외, 착공까지 진행되어야 함) 발표. 4년내 완공 요건이 없는점. 투자액 10% 인상도 없다는 점을 고려해 예상보다 매우 양호한 가이드라인으로 판단됨에 따라 주거용 태양광에 대한 선호가 올라가며 급등
[🚀급등] Tilray Brands (TLRY +10.68%) 대마초 관련 기업 Tilray가 10.68% 상승했습니다. 의료용 대마초 시장 확대와 함께 규제 완화에 대한 기대감이 주가 상승을 견인했습니다.
5. 원자재 시황
🥇 귀금속
- 금(GOLD): $3,380.30 (-$1.60, -0.05%) - 달러 강세와 금리 정책 불확실성으로 소폭 하락
- 은(SILVER): $38.09 (+$0.12, +0.30%) - 산업 수요 회복 기대감으로 소폭 상승
⚡ 에너지
- WTI 원유: $63.31/배럴 (+$0.51, +0.80%) - 지정학적 리스크와 수급 개선 기대감
- 브렌트유: $66.46/배럴 (+$0.61, +0.92%) - 중동 지역 긴장 고조와 OPEC+ 감산 연장 가능성
- 천연가스: $2.88/MMBtu (-$0.03, -1.11%) - 계절적 수요 둔화로 소폭 하락
🏭 산업 금속
- 구리: 데이터 확인 중 - 중국 경기부양책 기대감과 전기차 수요 증가
- 알루미늄: 데이터 확인 중 - 항공우주 산업 수요 회복
🌾 농산물
- 옥수수: 405.00¢/부셸 - 남미 작황 우려와 바이오연료 수요 증가
- 대두: 데이터 확인 중 - 중국 수입 증가 기대감
6. 가상화폐 시황
₿ 주요 암호화폐 (2025년 8월 18일)
비트코인(BTC): $115,000 (-$9,000, -7.26%)
- 최근 최고점 $124,000에서 급락 후 조정 국면
- 거시경제 우려와 청산 압박으로 하락 압력 지속
- 기관투자자들의 관망세 증가
이더리움(ETH): $4,200 근처에서 거래 (-5.4%)
- $4,200 이하로 하락 시 대규모 롱 청산 우려
- 거래자들은 추가 하락에 주의 필요
- DeFi 생태계 확장에도 불구하고 단기 조정 압력
기타 주요 코인:
- XRP: $3.00 이하로 하락 - 규제 불확실성 지속
- 전반적으로 암호화폐 시장은 거시경제 우려와 금리 정책 불확실성으로 조정 국면
7. 주요 IB 투자의견 발표
📈 목표가 상향 조정
- 아직 확인된 새로운 투자의견 없음 - 잭슨홀 심포지움 이후 투자의견 업데이트 예상
📊 신규 커버리지
- 주요 투자은행들은 파월 연준 의장 발언 이후 투자 전략 재검토 예정
8. 외환시장
💱 외환시황 (2025년 8월 18일 뉴욕 마감 기준)
달러지수(DXY): 97.84 (-0.25, -0.25%)
- 금리 인하 기대감으로 달러 약세 지속
- 잭슨홀 심포지움을 앞두고 조정 움직임
주요 통화쌍:
- EUR/USD: 데이터 확인 중 - ECB 통화정책과 상대적 비교
- USD/JPY: 데이터 확인 중 - 엔캐리 트레이드 청산 압력
- USD/KRW: 데이터 확인 중 - 한국 수출 동향과 연동
9. 기관투자자 흐름
🏛️ ETF 자금 흐름
- 주식형 ETF: 관망세 지속으로 소폭 유입
- 섹터별 ETF: 리테일 섹터 ETF에 관심 집중
- 채권형 ETF: 금리 인하 기대감으로 유입 지속
📊 헤지펀드 포지션
- S&P 500 선물: 롱 포지션 유지하되 신중한 접근
- VIX 선물: 변동성 헷징 수요 증가
10. 다음 주 주요 경제지표 및 일정
📅 주요 일정 (2025년 8월 19일~23일)
8월 19일(화):
- 주택 건설 허가 및 착공 건수 발표
- 리테일 실적 발표 시작
8월 20일(수):
- ⭐ 연준 FOMC 의사록 발표 (7월 회의)
- 월마트(WMT) 실적 발표 예정
8월 21일(목):
- 홈디포(HD) 실적 발표
-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
8월 22일(금):
- ⭐⭐⭐ 파월 연준 의장 잭슨홀 연설 (가장 중요한 이벤트)
- PMI 제조업/서비스업 예비치 발표
8월 23일(토):
- 잭슨홀 심포지움 마무리
주요 위험 요소:
- 파월 연준 의장 발언의 매파적/비둘기파적 톤 변화
- 리테일 실적이 소비자 지출 트렌드에 미치는 영향
- 지정학적 리스크 모니터링 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