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0 미국 시황 정리
#Daily #미국주식시황 #주식시황 #경제지표 #관세 #고용
증시 주요 캘린더
[월간 일정]
[주간 일정]
2025년 8월 20일 주식시장 신호등
Macro: BAD IS BAD
시장 느낌(시장 상황, 나스닥 기준): 투매
- ▒ 시장 센티먼트 : [개장 전] 중립 → [개장 후] 투매


- ★ 내가 느끼는 무의식(내 상황에 기초한 느낌) : 부정(▲▲▲)
- ▒ 시장 센티먼트 : [개장 전] 중립 → [개장 후] 투매
특별한 이슈는 없었음. 그냥 시장이 밀고 싶은데 밀 명분을 [금리인하 기대감 악화 + 샘알트먼의 버블 발언 + 파월의 매파적인 기자회견 우려]라고 잡았을 뿐. 장전 섹터 로테이션 및 일부 기술주의 반등으로 중립적이던 시장은 한국 시간 11시 무렵 팔란티어가 -7%로 떨어지는 등 그간 상승 폭 컸던 테마주중심으로 급격하게 매물이 출회하는 모습을 보면서 로테이션은 맞아 보이지만 시장이 발작하는 상황에서 굳이 소나기를 같이 맞을 필욘 없을 것 같다고 판단해서 헬스케어 전량 매도.
현재까지 시장의 방향성은 [금리 인하 수혜 + 그간 많이 오르지 못한 섹터] 로의 전환 과정이라고 생각하고 있는데 물론 시장이 다시 진정되면 낙폭 과대 기술주 부터 오르겠지만 금리 인하가 본격화되는 하반기부턴 해당 섹터의 엣지도 분명히 있다고 생각되므로, 추후 포지션은 헬스케어 쪽 비중을 늘려서 다시 담으려고 생각
1. 경제지표 및 거시경제, 주요 뉴스 및 이슈 동향
🏠 7월 주택 데이터 - 혼조 신호
주주택 착공(Housing Starts):
- 주택착공승인건수, 7월 주택 착공: 연율화 142만8천 호 (+5.2%, 예상치 상회)
- 단독주택 착공: 93만9천 호 (+2.8%)
- 아파트/콘도 착공 주도로 전체 지표 상승
- 연간 기준으로는 12.9% 증가하며 5개월래 최고치
건축 허가(Building Permits):
- 7월 건축 허가: 135만4천 호 (-2.8%, 예상치 139만호 하회)
- 2020년 6월 이후 최저 수준으로 하락
- 단독주택 허가는 87만 호로 0.5% 소폭 증가
- 4개월 연속 감소세 마침표
시장 평가:
- 주택시장 회복세 지속되나 건축업체 신뢰도는 여전히 취약
- 금리 인하 기대감으로 향후 개선 가능성 존재
🇺🇦 트럼프-젤렌스키 정상회담 - 안보 보장 논의
핵심 내용:
- 미 대통령 트럼프와 우크라이나 젤렌스키 대통령 백악관 회담 진행
- 우크라이나 안보 보장 차원에서 900억 달러 규모 미국 무기 구매 계획 발표
- 향후 10일 내 평화 협상 최종화 가능성 언급
- 트럼프-푸틴-젤렌스키 3자 회담 제안
시장 영향:
- 지정학적 리스크 완화 기대감으로 금 가격 안정화
- 에너지 가격 하락 압력 (평화 기대심리)
- 방산주에는 긍정적 영향 예상
2. 오늘의 주식 시황
📈 주요 지수 등락
-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44,911.82 (보합권, 장중 사상 최고치 터치)
- S&P 500: 6,411.37 (-37.78p, -0.59%) - 8월 1일 이후 최대 하락
- 나스닥: -1.4% (4월 관세 쇼크 이후 두 번째로 큰 하락)
- 러셀 2000: -0.78%
- VIX: 15.19 (+0.2, +1.33%)
거래 특징:
- 다우는 장중 사상 최고치 터치 후 보합 마감
- 대형 기술주 중심의 매물 출회로 나스닥 부진

- 거래량은 평균 수준 유지
- 변동성 지수 상승으로 불안감 증가
3. 섹터별 등락 및 이슈

💻 기술 섹터 (-2.1%)
- 대형 기술주 전면 하락으로 섹터 전체 부진
- AI 관련주들이 특히 큰 타격
- 밸류에이션 부담과 수익 실현 매물 동반 출현
🛒 소매 섹터 (+1.2%)
- 홈디포 실적 발표 이후 소폭 상승
- 리테일 실적 시즌에 대한 기대감 지속
⚡ 에너지 섹터 (-0.8%)
- 우크라이나 평화 기대감으로 유가 하락
- 지정학적 프리미엄 축소
4. 주요 종목 등락 및 이슈

🏢 산업용 부동산 및 REIT 관련
[🚀급등] Plymouth Industrial REIT (PLYM +47.06%) 산업용 부동산 투자신탁 Plymouth Industrial이 47.06% 급등했습니다. Sixth Street로부터 비구속적 인수 제안을 받았다고 발표하면서 M&A 테마가 부각되었습니다. 산업용 부동산 시장에서의 투자 가치가 재평가받고 있습니다.
[🚀급등] Global Medical REIT (GMRE +5.86%) 의료용 부동산 투자신탁 Global Medical REIT가 5.86% 상승했습니다. 의료 인프라에 대한 안정적인 수요와 함께 리츠 섹터 전반의 관심 증가가 주가 상승을 견인했습니다.
🧬 바이오테크 및 제약 관련
[🚀급등] Contineum Therapeutics (CTNM +14.81%)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제 개발업체 Contineum이 14.81% 상승했습니다. 2분기 실적 발표 이후 파이프라인 진전에 대한 기대감이 확산되면서 주가 상승을 견인했습니다.
[🚀급등] Precigen (PGEN +9.15%) 합성생물학 전문업체 Precigen이 9.15% 급등했습니다. FDA로부터 Papzimeos 승인을 받았다는 소식과 함께 1억4,381만 주 규모의 주식 매각 신고서를 제출했습니다.
[🚀급등] Dianthus Therapeutics (DNTH +8.30%) 보체 항체 치료제 전문업체 Dianthus가 8.30% 상승했습니다. 차세대 보체 항체 치료제 개발에서 최고 수준의 잠재력을 보여주며 높은 미충족 의료 수요 해결 기대감이 주가 상승을 견인했습니다.
[🚀급등] Pharvaris (PHVS +4.96%) 유전성 혈관부종 치료제 개발업체 Pharvaris가 4.96% 상승했습니다. 1억7,500만 달러 규모의 공모를 통해 혈관부종 프로그램 자금을 조달한다고 발표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었습니다.
[🚀급등] Alumis (ALMU +4.29%) 면역학 치료제 개발업체 Alumis가 4.29% 상승했습니다. 2분기 실적 발표 이후 분석가들의 평균 목표주가가 $19.80으로 설정되며 강한 매수 추천을 받고 있습니다.
🏗️ 3D 프린팅 및 제조업
[🚀급등] Stratasys (SSYS +13.84%) 3D 프린팅 솔루션 업체 Stratasys가 13.84% 급등했습니다. 2분기 실적이 시장 예상을 상회했으며,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의 3D 프린팅 수요 증가가 긍정적으로 평가받았습니다.
🏨 접객 및 서비스업
[🚀급등] Venu Holding Corporation (VENU +7.08%) 라이브 음악 공연장 운영업체 Venu가 7.08% 상승했습니다. Ryan LLC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개발 수요 기대치를 상회했다고 발표하며, 2분기 실적 발표를 앞두고 긍정적인 전망이 제기되었습니다.
[🚀급등] Target Hospitality (TH +6.83%) 전문 임시숙박 서비스 업체 Target Hospitality가 6.83% 급등했습니다. Stifel이 투자등급을 Hold에서 Buy로 상향 조정했으며, 4,300만 달러 규모의 데이터센터 계약 체결로 다각화 전략이 성공적으로 진행되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 기술 및 소프트웨어
[🚀급등] Digi International (DGII +4.39%) IoT 연결성 솔루션 업체 Digi가 4.39% 상승했습니다. 8월 18일 Jolt Software를 1억4,550만 달러에 인수했다고 발표하며, ARR 성장 가속화와 통합 솔루션 강화가 기대된다고 밝혔습니다.
[🚀급등] Fastly (FSLY +4.66%) 엣지 클라우드 플랫폼 업체 Fastly가 4.66% 상승했습니다.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CDN) 서비스에 대한 수요 증가와 함께 기업의 디지털 전환 가속화가 긍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 산업재 및 에너지
[🚀급등] Array Technologies (ARRY +5.82%) 태양광 추적 시스템 제조업체 Array가 5.82% 상승했습니다. 재생에너지 투자 확대와 함께 태양광 프로젝트 수주 증가가 주가 상승을 견인했습니다.
[🚀급등] Permian Basin Royalty Trust (PBT +4.27%) 석유 로열티 신탁 PBT가 4.27% 상승했습니다. Blackbeard와의 소송을 900만 달러에 합의했다고 발표하며, 8월 배당금 $0.0164/주를 선언했습니다. 로열티 계산의 투명성 확보와 즉각적인 현금 유입이 긍정적으로 평가받았습니다.
💊 헬스케어 및 미용 관련
[🚀급등] WW International (Weight Watchers) (WW +10.50%) 체중 관리 서비스 업체 WW가 10.50% 상승했습니다. GLP-1 시대에 맞춰 커뮤니티 중심의 새로운 성장 전략을 발표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었습니다.
[🚀급등] Evolus (EOLS +6.58%) 보톡스 경쟁 업체 Evolus가 6.58% 상승했습니다. JAMA 연구에서 Jeuveau가 보톡스 대비 더 빠른 효과와 강한 피크 효과를 보였다는 독립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급등] Herbalife (HLF +4.58%) 건강식품 업체 Herbalife가 4.58% 상승했습니다. 주가가 연초 대비 43.1% 상승했으며, 분석가들은 주가 반등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급등] Integra LifeSciences (IART +4.56%) 의료기기 업체 Integra가 4.56% 상승했습니다. 2분기 매출이 4억1,560만 달러로 예상치를 5.2% 상회하며 강한 실적을 보였습니다.
💰 금융 및 투자업
[🚀급등] Daily Journal (DJCO +6.18%) 찰리 멍거 사후 Daily Journal이 6.18% 상승했습니다. 현재 공정가치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컨설팅 수익 일시적 감소에도 불구하고 반등 가능성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급등] UWM Holdings (UWMC +4.28%) 주택담보대출 업체 UWM Holdings가 4.28% 상승했습니다. CEO의 대규모 자사주 매각 이후에도 주가가 상승하며, 주택담보대출 시장 회복 기대감이 반영되었습니다.
🧬 바이오테크 대폭 하락
[📉급락] Viking Therapeutics (VKTX -42.12%) 비만 치료제 개발업체 Viking이 42.12% 급락했습니다. 경구용 비만 치료제 임상시험에서 “혼재된” 결과를 발표하면서 투자자들이 실망했습니다. 특히 높은 중도 탈락률이 우려로 작용했으며, 공매도 세력이 5억1,400만 달러의 수익을 올린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VK2735 투여군이 위약군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체중 감소를 보여, 1차 및 2차 평가변수 모두 달성
그러나, VK2735 최고 용량 투여군의 약 38%가 약물 복용 조기 중단. 모든 용량에서 참여자의 28%가 중단 vs 위약군 18% 중단.
체중 감소율은 괜찮았지만, 안전성 문제로 인한 장기 순응도에 대한 의문 제기되며 하락
📍1. 주요 결과
체중감량 효과
• 13주간 최대 12.2% (약 12.1kg, 26.6파운드) 체중 감소 → 위약군 -1.3%와 큰 차이.
• 위약 대비 최대 10.9% 차이.
• 60mg, 90mg, 120mg에서 강력한 체중 감소 효과.
• 고용량일수록 체중 감량 효과가 뚜렷했고, 13주 시점에서도 plateau 없이 진행 중 → 장기 투여 시 추가 감량 기대.
📍반응률
• ≥5% 감량: 최대 97% 달성 (위약 10%)
• ≥10% 감량: 최대 80% 달성 (위약 5%)
• 저용량 유지군 탐색 결과
• 초기 90mg(4주) → 30mg(7주)로 전환 후에도 체중 감량 유지.
• 13주 시점 평균 -9.2% 체중 감소 유지.
• → 고용량으로 시작 후 저용량 유지 전략 가능성 확인.
📍2. 안전성 및 내약성
전반적으로 안전성 양호
• 부작용 대부분 경증~중등도.
• 위약군 중단율 18%, VK2735 투여군 28%
📍주요 부작용 (GI 관련)
• 오심: VK2735군 58% vs 위약 48% (대부분 경증).
• 구토: VK2735군 26% vs 위약 10%.
• 변비: 최대 43% 보고.
• GI 이상반응은 주로 초기 발생 → 반복 투여 시 감소.
• 3주 이후 nausea·vomiting 주간 발생률 5% 이하로 낮아짐.릴리가 매우 이례적으로 40년 만기 채권 발행으로 큰일을 준비하고 있다는 의구심으로 바이킹 테라퓨틱스 인수 고려한다는 소문도 같이 발생
[비만 경구제 단기 감량률 비교] 바이킹 VK2735 -12.2% (13주차) ▶️ 오늘 발표 릴리 올포글리프론 -12.3% (26주차) 노보 아미크레틴(Oral amycretin) -10.4% (12주차) 멧세라 MET-097i -11.3% (12주차)
[비만 경구제 치료중단 비율] 바이킹 VK2735 28% ▶️ 오늘 발표 릴리 올포글리프론 10~15% 노보 위고비(경구) 6.9% 화이자 다누글리프론(실패 및 중단) 50% 이상
⚛️ 우라늄 섹터 전반 하락
[📉급락] Energy Fuels (UUUU -17.93%) 우라늄 생산업체 Energy Fuels가 17.93% 급락했습니다. 카자흐스탄의 우라늄 생산 증가 소식으로 우라늄 관련주들이 전반적으로 매도세를 보였습니다. 회사 자체의 악재는 없었으나 섹터 전체의 하락 압력에 휩쓸렸습니다.
🏦 핀테크 및 금융서비스
[📉급락] Mill City Ventures III (MCVT -17.18%) 특수금융회사 Mill City Ventures가 17.18% 하락했습니다. SUI 토큰 8,180만 개를 국고에 추가 매입했다고 발표했으나, 암호화폐 시장 불안정성에 대한 우려로 주가가 급락했습니다.
🤖 AI 및 기술주 조정
[📉급락] Palantir Technologies (PLTR -9.35%) 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 업체 Palantir이 9.35% 하락하며 5거래일 연속 하락했습니다. 연초 대비 110% 상승했던 주가의 조정이 진행되고 있으며, 2025년 기준 P/E 비율이 268.35배에 달하는 밸류에이션 부담이 작용했습니다.
[📉급락] Ginkgo Bioworks (DNA -13.48%) 합성생물학 플랫폼 업체 Ginkgo가 13.48% 하락했습니다. 2분기 실적 발표 이후 바이오테크 섹터 전반의 조정과 함께 주가가 압박받았습니다.
[📉급락] QuantumScape (QS -10.11%) 고체 배터리 개발업체 QuantumScape가 10.11% 하락했습니다. 내부자 매도와 섹터 전반의 혼란이 변동성을 증가시키며 주가 하락을 야기했습니다.
🔊 AI 음성기술
[📉급락] SoundHound AI (SOUN -10.26%) AI 음성인식 업체 SoundHound가 10.26% 하락했습니다. 강한 2분기 실적에도 불구하고 시장 전반의 매도세에 휩쓸렸습니다. 연간 매출 가이던스를 1억6,000만-1억7,800만 달러로 상향 조정했음에도 기술주 조정 압력을 받았습니다.
📱 광학 및 통신
[📉급락] Applied Optoelectronics (AAOI -12.86%) 광섬유 통신 장비 제조업체 Applied Optoelectronics가 12.86% 하락했습니다. 2분기 실적이 예상보다 약했고 운영비용 증가와 현금 유출이 기록적 수준에 달했다는 분석이 나오면서 주가가 압박받았습니다.
[📉급락] Xencor (XNET -10.24%) 항체-약물 결합체 전문업체 Xencor가 10.24% 하락했습니다. 전날 37% 급등 이후 수익 실현 매물이 출현하면서 조정을 받았습니다.
💊 디지털 헬스케어
[📉급락] GoodRx Holdings (GDRX -8.79%) 디지털 헬스케어 플랫폼 GoodRx가 8.79% 하락했습니다. 전날 Novo Nordisk와의 파트너십 발표로 30% 급등한 이후 수익 실현과 Raymond James의 등급 하향 조정이 영향을 미쳤습니다.
⚛️ 양자컴퓨팅
[📉급락] IonQ (IONQ -8.53%) 양자컴퓨팅 업체 IonQ가 8.53% 하락했습니다. 8월 들어 급격한 하락을 보이며 기술적 조정 국면에 진입했습니다. 연초 대비 457.9% 상승했던 주가의 변동성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 광고기술
[📉급락] Magnite (MGNI -10.20%) 프로그래매틱 광고 플랫폼 Magnite가 10.20% 하락했습니다. 섹터 전반의 혼란 속에서 내부자 매도가 이어지며 투자심리가 악화되었습니다. CFO의 대규모 주식 매각이 부정적 신호로 해석되었습니다
로봇
중국증시 로봇 테마주가 오후 들어 일제히 급등, 디아오웨이(帝奥微), 이안테크(宜安科技), 톈룬인더스트리(天润工业), 투프그룹(拓普集团), 링이즈차오(领益智造) 등 30여 종목이 상한가를 기록하거나 10% 이상 급등했음. 폭스콘(工业富联)도 장 막판 대규모 매수로 상한가까지 끌어올려지며 시가총액이 1조 위안에 근접
•당일 1)엔비디아(NVDA)와 폭스콘이 공동 개발 중인 휴머노이드 로봇이 11월에 공개될 예정이라는 소식과 2)상하이시 로봇 응용 지원 정책 등이 로봇 섹터 강세의 주요 촉매로 작용
5. 주요 기업 실적 발표
🏠 홈디포(Home Depot) HD 실적
2분기 실적:
- 주당순이익(EPS): $4.68 (예상치 $4.71 소폭 하회)
- 매출: $452.8억 달러 (예상치와 거의 부합)
- 순이익: $46억 달러 (예상치 소폭 하회)
- 동일매장 매출 성장률: 거의 5% 증가
가이던스 및 전망:
- 연간 가이던스 유지
- 관세 정책으로 인한 가격 변동 가능성 경고
- 주가 +4% 상승으로 시장 반응 양호
6. 기술주 급락 요인
📉 대형 기술주 하락
Nvidia (NVDA -3.5%):
- 21일 이동평균선($178.49) 하회
- AI 열풍에 대한 수익 실현 매물 출현
- 밸류에이션 부담 지속
Palantir Technologies (PLTR -9.4%):
연초 대비 2배 이상 상승했던 주가의 조정
AI 테마주 전반적인 조정 국면 기타 주요 하락주:
AMD -5%
Broadcom -3.5%
Meta Platforms -2%
Tesla -2%
7. 주요 기업 뉴스
💻 Intel (INTC +7%) - SoftBank 20억 달러 투자
투자 내용:
- 일본 SoftBank Group이 Intel에 20억 달러 지분 투자
- SoftBank의 2025년 대규모 투자 발표 시리즈 중 하나
- 300억 달러 규모 투자 계획의 일환
시장 의미:
- 고전하던 Intel에 대한 구원 투자
- 미국 정부의 지분 참여 검토설과 함께 긍정적
- 반도체 제조업 회생에 대한 기대감 증가
8. 원자재 시황
🥇 귀금속
- 금: $3,380.70 (+$2.70, +0.08%) - 트럼프-젤렌스키 회담으로 지정학적 리스크 완화
- 은: $38.02 (-$0.01, -0.02%) - 산업 수요와 안전자산 수요 균형
⚡ 에너지
- WTI 원유: 소폭 하락 - 우크라이나 평화 기대감으로 지정학적 프리미엄 축소
- 천연가스: 계절적 수요 둔화로 약세 지속
🏭 산업 금속
- 구리: $4.4455 (-0.0255, -0.57%) - 중국 경기 둔화 우려와 공급 증가
9. 가상화폐 시황
₿ 주요 암호화폐 (2025년 8월 19일)
비트코인(BTC): $115,430 (-0.8%)
- $114,366-$116,980 박스권 거래
- 잭슨홀 심포지움 앞두고 관망세
- 8년 저항선이 지지선으로 전환 여부 주목
이더리움(ETH): $4,237 (-1.2%)
$4,200 지지선 근처에서 버티기
27번째 글로벌 자산 등극 후 조정 기타:
전반적으로 연준 정책 발표 대기로 소폭 하락
10. 외환시장
💱 외환시황 (2025년 8월 19일)
달러지수(DXY): 98.19 (+0.05, +0.05%)
- 혼재된 경제 지표로 방향성 부재
- 잭슨홀 심포지움 앞두고 보합권 유지
변동성 지수:
- VIX: 15.19 (+1.33%) - 기술주 하락으로 불안감 증가
11. 다음 주 주요 경제지표 및 일정
📅 주요 일정 (2025년 8월 20일~23일)
8월 20일(수):
- 연준 FOMC 의사록 발표 (7월 회의)
- 월마트(WMT) 실적 발표
8월 21일(목):
잭슨홀 심포지움 시작
팔로알토 네트웍스(PANW) 실적 발표
타겟(TGT) 실적 발표 8월 22일(금) - ⭐⭐⭐ 최대 주목:
파월 연준 의장 잭슨홀 연설 (동부시간 오전 10시)
제목: “Economic Outlook and Framework Review”
9월 금리 인하에 대한 중요한 힌트 예상
8월 23일(토):
- 잭슨홀 심포지움 종료
주요 위험 요소:
- 파월 연준 의장의 매파적 발언 가능성
- 리테일 실적이 소비자 지출에 미치는 영향
- 트럼프-푸틴-젤렌스키 3자 회담 성사 여부
- 대형 기술주 조정 지속 가능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