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2 미국 시황 정리
#Daily #미국주식시황 #주식시황 #경제지표 #관세 #고용
증시 주요 캘린더
[월간 일정]
[주간 일정]
2025년 8월 22일 주식시장 신호등
Macro: BAD IS BAD
시장 느낌(시장 상황, 나스닥 기준): 부정
▒ 시장 센티먼트 : [개장 전] 중립 → 부정(주간고용지표 발표 후) → [개장 후] 부정
★ 내가 느끼는 무의식(내 상황에 기초한 느낌) : 부정(▲)
[장전] 주간실업급여청구건수가 높게 나오고, 필라델피아 연은 제조업지수가 하회한 것으로 발표되자 처음엔 2년물 금리가 내려가면서 금리 인하를 반영했으나, 이내 경기둔화 + 인플레이션의 스테그플레이션을 우려하는 듯 전반적으로 하락 전환(파월이 금리를 안 내릴 경우에 기업마진 훼손 + 관세로 인한 물가 상승 누적에 대한 우려가 있으나 지난 PPI이후 물가 경계감이 매우 심해진 상황)
1. 📈 경제지표 및 거시경제, 주요 뉴스 및 이슈 동향
🚨 고용시장 둔화 신호 확산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 급증
8월 16일 주간: 235,000건 (+11,000건, 전주 224,000건 대비)
시장 예상치 225,000건을 상회하며 6월 이후 최고 수준
연속 실업수당 청구건수도 2021년 이후 최고치 기록
고용시장 연착륙 우려 증폭으로 연준 9월 금리인하 기대감 상승
실업수당청구건수 실제치 235k / 예상치 226k
실업수당청구건수 4주 평균 실제치 226k / 예상치 222k
연속실업수당 청구건수 실제치 1.972m / 예상치 1.953m

💊 트럼프 EU 의약품 관세 완화 - 250% → 15%
EU와 미국 무역협정 체결
- 당초 위협했던 250% 의약품 관세를 15%로 대폭 완화
- 제네릭 의약품은 관세 면제
- 반도체 관세도 철회하며 유럽 기업들에게 숨통
- TEVA (+6.76%) 등 글로벌 제약업체 주가 급등
시장 영향:
- 유럽계 제약회사 대미 수출 부담 완화
- 의료비 인플레이션 압력 일부 해소
- 바이든 행정부 대비 상대적으로 온건한 통상정책 신호
🎯 제롬 파월 잭슨홀 연설 임박
8월 22일 오전 10시 “경제전망 및 프레임워크 검토” 연설 예정
- 현재 기준금리: 4.25%-4.50% 유지 중
- 9월 FOMC 금리인하 신호 여부가 최대 관심사
- 고용시장 둔화 데이터로 완화 정책 명분 확보
2. 📊 오늘의 주식 시황
주요 지수 마감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44,785.50 (-152.81p, -0.34%)
S&P 500: 6,379.00 (-16.77p, -0.26%)
나스닥 종합지수: 21,100.31 (-72.55p, -0.34%)
러셀 2000: 2,206.15 (-15.14p, -0.68%)
VIX 공포지수: 15.22 (+0.23, +1.53%) 시장 특징:
S&P 500 5거래일 연속 하락세 기록
월마트 실적 부진과 실업수당 급증이 투자심리 위축
변동성 지수 소폭 상승으로 불확실성 반영
거래량은 평균 대비 12% 증가
3. 🏭 섹터별 등락 및 이슈
🔻 에너지 섹터 (-2.1%)
트럼프 청정에너지 정책 비판 발언으로 태양광·풍력 관련주 일제히 급락
💊 제약 섹터 (+1.8%)
EU 관세 완화 소식으로 강세 전환
- TEVA Teva Pharmaceutical +6.76%: EU 관세 15% 완화 최대 수혜주
- 글로벌 제약 업체들의 대미 수출 경쟁력 회복
🏠 부동산 섹터 (-1.4%)
주택건설업체 실적 부진과 금리 불확실성 지속
- HOV Hovnanian -11.51%: Q4 가이던스 실망
- OPEN Opendoor +11.8%: 기존주택 매매 활성화 기대
4. 📉📈 주요 종목 등락 및 이슈
🧬 바이오테크 및 제약
COTY 코티 [📉급락] -21.6% 4분기 실적에서 주당손실 5센트를 기록해 컨센서스 2센트 이익 대비 크게 실망. 매출 12억 5천만 달러로 예상치 상회했으나 수익성 악화가 부담으로 작용.
NVAX 노바백스 [📉급락] -12.7% 2억 2,500만 달러 규모 전환사채 재융자 발표로 기존 주주 지분 희석 우려 확산. 4.625% 선순위 전환사채 발행을 통한 부채 구조조정이 주가 하락 요인.
BILI 빌리빌리 [📉급락] -6.11% 2분기 실적 발표에서 매출은 예상치 상회했으나 향후 성장 가이던스가 보수적으로 제시돼 실망. 중국 동영상 플랫폼 경쟁 심화 우려.
🌞 신재생에너지 및 태양광
CSIQ 캐나디안 솔라 [📉급락] -18.55% 2분기 실적 발표에서 3분기 매출 가이던스 13-15억 달러로 하향 조정. 글로벌 태양광 패널 수요 둔화와 가격 경쟁 심화 우려.
FSLR 퍼스트 솔라 [📉급락] -6.99% 트럼프 대통령의 태양광·풍력 프로젝트 승인 거부 발언으로 신재생 에너지 섹터 전반 타격. 정책 불확실성 증대로 투자심리 위축. FLNC 플루언스 에너지 [📉급락] -8.56%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 업체로 태양광 섹터 동반 하락. 휴스턴 HVAC 생산시설 확장 발표에도 불구하고 정책 리스크 부담. FLNC 플루언스 에너지 [📉급락] -8.56%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 업체로 태양광 섹터 동반 하락. 휴스턴 HVAC 생산시설 확장 발표에도 불구하고 정책 리스크 부담. RUN 썬런 [📉급락] -4.72% 태양광 설치 업체로 트럼프의 청정에너지 정책 부정적 발언 직격탄. 주거용 태양광 수요 둔화 우려 확산.
🏠 부동산 및 건설
HOV 호브나니언 [📉급락] -11.51% 3분기 매출 11% 증가했으나 4분기 가이던스 7억 5천만-8억 5천만 달러로 시장 기대치 하회. 주택시장 둔화 우려 지속.
🚗 자율주행 및 라이다
HSAI 헤사이 그룹 [📉급락] -11.0% 중국 라이다 제조업체로 홍콩 증시 3억 달러 IPO 계획 발표로 기존 주주 지분 희석 우려. 자율주행차 시장 성장에도 불구하고 단기 부담.
🛜 통신 및 기술 서비스
GOGO 고고 [📉급락] -9.28% 항공기 인터넷 서비스 업체로 기술적 지표에서 MACD·KDJ 데스크로스 발생. 2분기 실적은 양호했으나 기술적 매물 출회.
🍽️ 소매 및 외식
WMT 월마트 [📉급락] -4.49% 2분기 실적에서 3년 만에 첫 수익 부진. 매출 1,774억 달러(+4.8%)로 성장했으나 의료보험 클레임 증가로 이익 예상치 하회. Reuters CBRL 크래커 배럴 [📉급락] -7.15% 새로운 로고 및 브랜드 변경에 대한 고객 반발로 주가 급락. 7억 달러 규모 브랜드 리뉴얼에 대한 우려 확산.
⚡ 에너지 및 석유정제
DK 델렉 US [📉급락] -8.67% 석유정제업체로 원유 가격 상승에도 불구하고 정제마진 압박 우려. 2분기 실적에서 EPS -$0.56으로 예상치는 상회했으나 향후 전망 부담.
🧬 바이오테크 및 제약
TEVA 테바 제약 [🚀급등] +6.76% 트럼프 행정부가 EU 의약품 관세를 250%에서 15%로 대폭 완화 발표. 제네릭 의약품은 관세 면제로 글로벌 제약업체 중 최대 수혜.
TYRA 타이라 바이오사이언스 [🚀급등] +14.26% 소아 연골무형성증 치료제 TYRA-300의 Phase 2 임상시험에서 첫 환자 투약 완료 발표. 희귀질환 치료제 개발 진전으로 투자자 관심 집중.
PGEN 프리시젠 [🚀급등] +13.4% 희귀 호흡기 질환 치료제 PAPZIMEOS FDA 승인 획득 후 지속적인 상승세. 분석가들의 목표가 상향 조정과 함께 업그레이드 지속.
TLX 텔릭스 파마슈티컬즈 [🚀급등] +10.21% 1분기 실적 발표에서 강력한 상업적 성과 기록. 방사성 의약품 전문업체로 장기 성장 투자 계획 발표.
ATAI ATAI 라이프사이언스 [🚀급등] +10.58% 정신건강 치료제 개발업체로 BPL-003 Phase 2b 임상시험 긍정적 결과 발표. 사이키델릭 의약품 분야 주목도 상승.
GOSS 고새머 바이오 [🚀급등] +11.28% 폐동맥 고혈압 치료제 PROSERA Phase 3 등록 완료 발표. 2027년까지 현금 운영 가능 안정성 확보.
🚗 중국 전기차
XPEV 샤오펑 [🚀급등] +11.68% 유럽 IAA 모빌리티 2025 참가 발표와 자율주행 기술 진전으로 ‘중국의 테슬라’ 위상 부각. 올해 93% 상승 기록.
NIO 니오 [🚀급등] +9.27% 3세대 ES8 출시와 배터리 교환 모델 확산으로 중국 전기차 섹터 강세 지속.
⛏️ 에너지 및 원자재
UUUU 에너지 퓨얼즈 [🚀급등] +10.2% 희토류 생산 확대 소식으로 우라늄·희토류 테마주 급등. 99.9% 순도 디스프로슘 산화물 첫 생산 성공 발표.
🏠 부동산 기술
OPEN 오픈도어 [🚀급등] +11.8% 기존주택 거래량 증가 기대감과 AI 기술 도입 계획 발표로 투자자 관심 집중. 부동산 중개 플랫폼 경쟁력 강화 기대.
BLND 블렌드랩스 [🚀급등] +16.44% 모기지 기술 플랫폼 업체로 금리 인하 기대감과 주택 거래량 회복 전망이 호재. 6.7백만 주 거래량으로 평균 대비 급증. AInvest
🚛 중국 물류
YMM 풀트럭 얼라이언스 [🚀급등] +9.81% 중국 화물운송 플랫폼으로 2분기 실적 발표에서 매출 성장 가속화. 디지털 물류 전환 수혜주로 부각.
5. 🥇 원자재 시황
귀금속
- 금: $3,338.31 (-$6.59, -0.20%) - 달러 강세와 실업수당 증가 상충
- 은: $37.44 (+$0.82, +2.24%) - 산업 수요 회복 기대감
에너지
- WTI 원유: $63.25 (+$0.54, +0.86%) - 중동 지정학적 긴장
- 브렌트유: $67.59 (+$0.75, +1.12%) - 공급 우려 지속
- 천연가스: $2.83 (+2.78%) - 계절적 수요 증가
산업 금속
- 구리: $4.44 (+0.32%) - 중국 경기부양 기대감
- 철광석: $101.57 (+$2.30) - 인프라 투자 확대 전망
6. ₿ 가상화폐 시황
주요 암호화폐
- 비트코인: $114,269 (-$359, -0.31%) - 파월 연설 앞두고 관망세
- 이더리움: $4,218 (-$67, -1.56%) - 3,480달러 지지선 테스트
- 리플(XRP): $2.88 (-2.5%) - 전반적인 조정 지속 연준 통화정책 불확실성으로 암호화폐 시장도 신중한 거래 지속.
7. 💱 외환시장
달러 및 주요 통화쌍
- 달러지수(DXY): 98.64 (+0.43%) - 안전자산 수요 지속
- EUR/USD: 1.0285 (-0.44%) - ECB 매파 기조에도 달러 강세
- USD/JPY: 148.34 (+0.71%) - 일본 개입 경계감 속 엔화 약세
- USD/KRW: 1,448.50 (+0.21%) - 수출 호조에도 달러 강세
8. 🏛️ 기관투자자 흐름
ETF 자금 동향
- 주식형 ETF: 주간 +$6.2B 순유입 (2주 연속)
- SPY: +$1.8B, QQQ: +$1.4B, IWM: +$0.5B
- 섹터별: 기술주(+$0.9B), 의료(+$0.6B) 순유입
- 채권형 ETF: +$1.9B (금리 인하 기대)
헤지펀드 포지션
- S&P 500 선물 롱 포지션 12% 증가
- VIX 선물 롱 포지션 감소 (변동성 베팅 축소)
- 에너지 섹터 숏 커버링 진행
9. 📅 다음 주 주요 일정 (8월 25일~29일)
8월 25일(월)
- 독일 8월 IFO 기업신뢰지수: 85.5 예상
8월 26일(화)
- 미국 7월 신규주택판매: 61만 호 예상
- 미국 8월 소비자신뢰지수: 100.5 예상
8월 27일(수)
- 미국 2분기 GDP 최종치: +2.8% 예상 (연율 기준)
- 연준 로건 달라스 연은 총재 발언
8월 28일(목)
- ⭐ 미국 7월 근원 PCE: +2.7% YoY 예상 (연준 선호 인플레이션 지표)
- 미국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 230,000건 예상
- NVDA 엔비디아 2분기 실적: EPS $0.70 예상
8월 29일(금)
- 미국 8월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 최종치: 67.8 예상
- CRM 세일즈포스 2분기 실적
- 월말 리밸런싱 영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