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6 미국 시황 정리
#Daily #미국주식시황 #주식시황 #경제지표 #관세 #고용
증시 주요 캘린더
[월간 일정]
[주간 일정]
2025년 8월 26일 주식시장 신호등
Macro: BAD IS BAD
시장 느낌(시장 상황, 나스닥 기준): 부정
- ▒ 시장 센티먼트 : [개장 전] 긍정 → [개장 후] 부정


- ★ 내가 느끼는 무의식(내 상황에 기초한 느낌) : 긍정(▲)
- ▒ 시장 센티먼트 : [개장 전] 긍정 → [개장 후] 부정
1. 경제지표 및 거시경제, 주요 뉴스 및 이슈 동향
🎯 연준 파월 의장 금리인하 신호 재해석
Jackson Hole 연설 후 시장 반응: 파월 의장이 8월 22일 Jackson Hole 연설에서 금리인하 가능성을 시사하며 시장에 강력한 부양 효과를 제공했지만, 금리 경로에 대한 불안감이 여전한 상황. 현재 시장은 9월 25bp 금리인하 확률을 84%로 평가하고 있으며, 고용시장의 “이상한” 행태와 인플레이션 둔화 신호가 정책 변화의 근거로 제시되었습니다.

이에 환율(달러인덱스)도 장중 +1% 가까이 상승하며 지난 잭슨 홀 미팅 당시 낙폭 대부분 만회 → 금리 인하 기대감 약화

📈 AI 반도체 섹터 기대감 고조
Nvidia 실적 발표 임박: 8월 27일 예정된 Nvidia 2분기 실적 발표를 앞두고 AI 칩 생태계 전반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CNBC 분석에 따르면 분석가들은 매출 460억 달러, EPS $1.01을 예상하고 있으며, 중국향 H20 칩 포함시 20-30억 달러 추가 매출 가능성이 있습니다.
🚨한미 정상회담 시간대별 순서로 총정리
📌1. 무역과 조선 협력 트럼프 대통령은 무역 관계 강화 의지를 밝히며 한국이 무역 재협상을 원한다는 점을 언급.
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국이 하루에 한 척씩 배를 만들던 역사를 상기하며, 현재는 조선 능력을 잃었다고 지적.
한국이 미국 내 조선소를 운영하며 미국 인력을 활용해 조선 산업을 부흥시킬 것이라 설명.
한국이 미국산 군사 장비의 주요 구매자임을 강조하며, B-2 폭격기 성과로 군사 기술 우수성을 부각.
📌2. 이재명 대통령 발언 – 미국의 역할과 한반도 기대 트럼프의 경제·외교 성과를 높이 평가, 미국을 ‘평화 수호자’가 아닌 ‘평화 창조자’로 규정.
다우지수 상승을 미국 재도약의 상징으로 언급.
한국도 제조·조선 산업 협력에 참여하길 희망.
한반도 평화 달성을 트럼프에게 요청하며 농담조로 “북한에 트럼프 타워와 골프장”을 언급.
📌3. 김정은과의 관계 회상 초기에 ‘리틀 로켓맨’이라 부르며 갈등했으나, 올림픽을 계기로 대화가 시작됨.
북한이 올림픽에 참여하면서 분위기가 전환되었고, 평창올림픽 흥행에도 크게 기여했다고 설명.
📌4. 북한 핵 문제와 평화 중재자 역할 이 대통령은 트럼프 집권기에 한반도가 안정됐지만, 이후 북한이 핵·미사일 능력을 강화했다고 지적.
트럼프는 자신이 대통령이었다면 이런 일은 없었을 것이라 주장.
이 대통령은 트럼프만이 진전을 이룰 수 있다고 강조하며, 평화 중재자 역할을 요청.
📌5.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논의 트럼프는 전쟁이 자신 집권 시기에는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라 주장.
NATO 분담금 인상 성과를 강조하며, 바이든 정부의 무분별한 지원을 비판.
이번 전쟁은 2차 세계대전 이후 최대 규모이며, 새로운 양상인 ‘드론 전쟁’이라고 설명.
필요하다면 본인이 직접 개입해 전쟁을 끝낼 수 있다고 언급.
📌6. 김정은과의 향후 만남 및 비핵화 트럼프는 김정은과 향후 회담 의지를 밝힘.
주한미군 4만 명 주둔 비용 문제를 언급하며, 한국이 부담을 약속했으나 바이든 정부에서 철회했다고 지적.
러시아·중국과 협력해 핵확산을 막는 것이 목표임을 강조.
📌7. 에너지와 무역 협력 한·일과의 에너지 협력을 주요 협상 과제로 제시.
미국이 세계 최대 석유·가스·석탄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고 강조.
풍력·태양광은 비효율적이고 대부분 중국산이라며 비판.
알래스카를 활용한 한·미·일 에너지 협력 방안을 설명.
📌8. DMZ 회상과 중국 관계 DMZ에서 김정은과 만났을 때 군사적 긴장 속에서도 신뢰 관계 덕분에 안전하다고 느꼈다고 발언.
중국과의 무역에서 미국이 관세 등 훨씬 더 강력한 카드를 쥐고 있다고 강조.
그러나 관계 개선을 원하며 대중 협력 의지를 표명.
📌9. 미국 내 치안·이민 문제 무보석 제도를 강하게 비판, 범죄 재발 가능성을 높인다고 지적.
집권 후 워싱턴 D.C. 살인율이 크게 줄었다고 강조.
불법 이민을 차단한 성과를 언급하며 미국을 “가장 안전한 국가”로 만들고 있다고 주장. 📌10. 가자 지구 문제 10월 7일 테러를 결코 잊어서는 안 된다고 발언.
미국이 식량 지원을 하고 있음을 언급. 수주 내 가자 전쟁이 결론을 맞을 것으로 전망했으나, 역사적으로 복잡한 지역임도 인정.
📌11. 한·일 관계와 3자 협력 과거사 문제(위안부) 때문에 한·일 관계 개선이 어려웠지만, 본인 임기 중 장벽을 제거했다고 강조.
일본이 한국과 협력하려는 의지가 강하며, 북한 문제 해결을 위해 한·미·일 공조가 중요하다고 강조.
📌12. 기타 발언들 존 볼턴 관련 수사, 마라라고 압수수색 경험, 이스라엘-가자 분쟁, 국방부 명칭을 ‘전쟁부’로 바꾸는 검토, 한반도의 역사적 맥락 등 다양한 주제를 언급하며 회담을 마무리.
출처 :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테슬라, xAI가 원래 채택했던 네바다 주 ‘공익추구 법인’ 지위 포기
xAI의 지위 철회 의미
순수 영리 전환
Benefit Corporation 지위를 포기함으로써 xAI는 더 이상 공익 보고·투명성 의무 없이 순수 영리기업으로 운영된다.전략적 배경
- 오픈AI와의 경쟁이 격화되는 상황에서 자본 조달 및 운영의 유연성을 확보
- 공익 미션 관련 규제·보고 부담 완화
투자 관점
- 머스크는 xAI의 가치를 재평가하고 대규모 자금 조달을 준비 중이라는 보도가 있다.
- 순수 영리 전환으로 투자자 대상의 회수 전략(exit) 및 수익 배분 구조가 명확해짐
xAI의 Benefit Corporation 지위 철회는 단순한 명칭 변경이 아니라, 사회적 책임 의무를 덜고 경쟁력 강화를 위해 자본 유치와 사업 운영 방식을 전환하려는 의도로 해석할 수 있다.
프랑스 정치불안 확대
프랑스는 반대통령제를 채택하고 있는데 대통령은 외교, 국방권한을, 총리는 내각을 이끌며 법안 제출과 행정 집행을 담당. 총리와 내각은 국민의회의 과반 지지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대통령 권한이 강하더라도 의회 구성과 야당 동향에 따라 정부 안정성이 크게 달라질 수 있음. 최근 바이루 총리는 강도 높은 재정 긴축 정책과 예산안을 추진하며 9월 8일 신임 투표를 요청했으나, 야당이 불신임 의사를 표명하면서 정부 붕괴 가능성이 확대.
정부 붕괴 가능성은 금융시장에도 즉각적인 영향. 프랑스 국채 수익률이 급등하며 투자자들은 안전자산인 달러로 자금을 이동시켰고, 유로화는 약세. 프랑스-독일 10년물 국채 스프레드가 확대되면서 유럽 재정 안정성에 대한 우려가 커졌고, 이는 유로화의 달러 대비 추가 약세 압력으로 작용. 동시에 불확실성 확대는 프랑스 까끄지수가 1.59% 하락하는 등 조정이 진행. 이러한 흐름은 미국 국채 금리상승과 달러 강세에도 연쇄적으로 영향. 파월 의장의 발언의 재해석과 프랑스 이슈가 부각되자 달러 강세, 국채 금리 상승으로 작용.
2. 오늘의 주식 시황
📉 주요 지수 등락
-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45,282.47 (-349.27p, -0.77%)
- S&P 500: 6,439.32 (-27.64p, -0.43%)
- 나스닥 종합: 21,449.29 (-47.25p, -0.22%)
- 러셀 2000: 234.14 (-0.16p, -0.07%)
- VIX: 14.22 (+0.45, +3.27%)

거래 특징: Jackson Hole 회의 후 금요일 대폭 상승의 여파로 차익실현 매물이 출회하며 조정 받았습니다. 특히 대형주 중심으로 매물이 나왔으나 Nvidia 관련 종목들과 AI 반도체주들은 실적 발표를 앞두고 선별적 매수세가 유입되었습니다.
3. 섹터별 등락 및 이슈


💻 기술 섹터 (-0.3%)
AI 관련주는 Nvidia 실적 기대감으로 강세를 보였으나, 메가테크 주식들의 차익실현으로 섹터 전체는 소폭 하락했습니다.
🏥 헬스케어 섹터 (-1.2%)
백신주 Valneva의 FDA 라이선스 정지 충격이 바이오테크 전반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습니다.
⚡ 에너지 섹터 (+0.8%)
원유가 상승과 중동 지정학적 리스크 지속으로 에너지주들이 강세를 보였습니다.
4. 주요 종목 등락 및 이슈
🔬 반도체 테스트 장비

[🚀급등] Aehr Test Systems (AEHR +35.86%) AI 프로세서 테스트 장비 전문업체 Aehr가 35.86% 급등했습니다. Yahoo Finance 보도에 따르면 주요 하이퍼스케일러로부터 AI 칩 테스트 관련 후속 주문을 받았다고 발표하며 52주 최고가를 경신했습니다. AI 칩 수요 증가와 함께 테스트 장비 시장의 성장성이 부각되었습니다.
[🚀급등] SuperCom (SUPX +35.85%) 전자 모니터링 및 보안 솔루션 업체 SuperCom이 35.85% 급등했습니다. 새로운 정부 계약 체결과 전자발찌 시장의 확대가 성장 동력으로 작용했습니다.
📱 기술 하드웨어
[🚀급등] High-Trend International Group (HTCO +28.31%) 중국계 기술 하드웨어 업체 HTCO가 28.31% 상승했습니다. 스마트폰 부품 및 전자 제품 수요 회복과 함께 실적 개선 기대감이 작용했습니다.
전기차
!IMG_7491.jpeg 시장지수 하락 속 미국 자동차주들은 전기차 위주로 상승. 전기차 보조금이 9월 종료되는 가운데, 기존 9월말까지 판매에서 9월말까지 예약으로 시행규칙이 개정되면서 9월말까지 예약이 늘어나 4분기 실적에 긍정적일 것이란 기대감 때문
🌿 대마초 관련
[🚀급등] Tilray Brands (TLRY +20.87%) 대마초 및 음료 업체 Tilray가 20.87% 급등했습니다. Jefferies가 목표가를 상향 조정하며 브랜드 파워와 시장 지위를 긍정적으로 평가했습니다.
⚡ 에너지
[🚀급등] Vital Energy (VTLE +14.50%) 독립계 석유가스 업체 Vital Energy가 14.50% 상승했습니다. 원유가 상승과 함께 셰일 생산 효율성 개선이 수익성 향상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급등] Anpac Bio-Medical Science (ANPA +13.32%) 암 조기 진단 기술 개발업체 Anpac이 13.32% 상승했습니다. 혈액 기반 암 진단 기술의 상용화 진전과 중국 시장 확대가 긍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급등] UXIN Limited (UXIN +13.01%) 중국 중고차 온라인 플랫폼 UXIN이 13.01% 상승했습니다. 중국 자동차 시장 회복과 온라인 중고차 거래 증가가 실적 개선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급등] Sasol Limited (SSL +10.97%) 남아프리카 화학 및 에너지 기업 Sasol이 10.97% 상승했습니다. 원유가 상승과 화학 제품 수요 회복이 수익성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급등] Wheels Up Experience (UP +10.14%) 프리미엄 항공 서비스 업체 Wheels Up이 10.14% 상승했습니다. 기업용 항공 서비스 수요 증가와 운영 효율성 개선이 긍정적으로 평가되었습니다.
[🚀급등] Olaround (OLPX +10.00%) 메타버스 및 게임 개발업체 Olaround가 10.00% 상승했습니다. VR/AR 콘텐츠 개발 진전과 게임 수익화 모델 개선이 주가 상승을 견인했습니다.
💉 백신/제약
[📉급락] Valneva SE (VALN -18.99%) 치쿤구니야 백신 개발업체 Valneva가 18.99% 급락했습니다. FDA가 Ixchiq 백신의 미국내 라이선스를 정지했다고 발표했습니다. 뇌염으로 인한 1건의 사망과 20건 이상의 심각한 부작용이 보고되면서 안전성 우려가 제기되었습니다.
[📉급락] Venus Concept (VENU -18.35%) 의료 미용 장비 업체 Venus Concept이 18.35% 하락했습니다. 실적 부진과 함께 경쟁이 치열한 미용 의료기기 시장에서의 점유율 하락 우려가 제기되었습니다.
🛒 리테일/전자상거래
[📉급락] Newegg Commerce (NEGG -15.63%) IT 제품 온라인 리테일러 Newegg가 15.63% 하락했습니다. PC 및 게이밍 하드웨어 수요 둔화와 경쟁 심화로 마진 압박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 식음료
[📉급락] Keurig Dr Pepper (KDP -11.48%) 음료 제조업체 KDP가 11.48% 급락했습니다. Peet’s Coffee 브랜드 매각 관련 협상이 예상보다 부진하며 성장 전략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었습니다.
🧬 바이오테크
[📉급락] Sarepta Therapeutics (SRPT -10.68%) 유전자 치료제 개발업체 Sarepta가 10.68% 하락했습니다. 듀센 근이영양증 치료제의 임상 데이터가 기대치를 하회하며 FDA 승인 일정에 대한 불확실성이 증가했습니다.
[📉급락] Freshpet (FRPT -10.11%) 프리미엄 반려동물 사료 업체 Freshpet이 10.11% 하락했습니다. 원재료 비용 상승과 소비자 지출 둔화가 마진 압박으로 이어질 것으로 우려됩니다.
[📉급락] Grupo Supervielle (SUPV -10.02%) 아르헨티나 은행 Grupo Supervielle이 10.02% 하락했습니다. 아르헨티나 경제 불안정과 환율 변동성이 은행 수익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됩니다.
[📉급락] GTI Resources (GTI -10.00%) 리튬 광산 개발업체 GTI가 10.00% 하락했습니다. 리튬 가격 하락과 전기차 배터리 수요 증가율 둔화가 광산 개발 프로젝트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급락] Nakamura Group (NAKA -9.48%) 일본계 기술 업체 Nakamura가 9.48% 하락했습니다. 엔화 강세와 함께 수출 경쟁력 약화 우려가 주가 하락을 견인했습니다. [📉급락] GigaCloud Technology (GCT -9.44%) B2B 전자상거래 플랫폼 GigaCloud가 9.44% 하락했습니다. 중국 제조업체들과의 거래량 감소와 글로벌 무역 불확실성이 사업 전망에 부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급락] Opendoor Technologies (OPEN -9.38%) 부동산 iBuying 플랫폼 Opendoor가 9.38% 하락했습니다. 높은 금리 환경과 부동산 시장 침체가 주택 거래량 감소로 이어지며 수익성 악화가 우려됩니다.
5. 원자재 시황
🥇 귀금속
- 금 (GOLD): $3,374.40 (-$8.40, -0.25%) - 달러 강세와 금리인하 기대감 축소로 소폭 하락
- 은 (SILVER): $31.85 (-$0.22, -0.69%) - 산업 수요 둔화 우려로 약세
🛢 에너지
- WTI 원유: $64.87 (+$1.22, +1.91%) - 중동 지정학적 긴장과 공급 우려로 상승
- 천연가스: $2.45 (+$0.08, +3.37%) - 겨울철 수요 대비 재고 확보 움직임
🏭 산업 원자재
- 구리: $4,125 (+$45, +1.10%) - 중국 경기부양 기대감과 AI 인프라 투자 증가
- 알루미늄: $2,168 (+$23, +1.07%) - 전기차 및 항공 산업 수요 회복
6. 주요 IB 투자의견 발표
📊 목표가 상향
- Jefferies: TLRY $1.50 → $1.75, 매수 유지 “대마초 합법화 확산과 음료 사업 시너지”
- KeyBanc: NVDA $200 → $220, 매수 상향 “H20 칩 포함시 추가 매출 20-30억 달러 기대”
📉 목표가 하향
- Jefferies: VALN $18 → $14, 매수 유지 “FDA 라이선스 정지에도 장기 성장성 유지”
7. 다음 주 주요 일정 (2025년 8월 26일~29일)
📅 8월 26일(화)
- 미국 7월 신규주택판매: 675,000채 예상 (전월대비 +2.1%)
- 미국 8월 소비자신뢰지수: 100.5 예상
📅 8월 27일(수) ⭐
- Nvidia (NVDA) 2분기 실적 발표 - EPS $1.01, 매출 460억 달러 예상
- 미국 7월 내구재 주문: +0.3% MoM 예상
- 주요 AI 관련주 실적 영향 모니터링 필요
📅 8월 28일(목)
- 미국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 235,000명 예상
- 미국 2분기 GDP 개정치: +3.0% 예상 (전분기 +2.8%)
📅 8월 29일(금)
- 미국 7월 PCE 디플레이터: +2.7% YoY 예상 - 연준 금리인하 결정에 중요한 지표
- 미국 8월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 확정치: 67.8 예상
⚠️ 위험 요인
- Nvidia 실적이 기대치 하회시 AI 관련주 전반 조정 가능성
- PCE 디플레이터 상승시 9월 금리인하 기대감 후퇴 리스크
- 중동 지정학적 긴장 고조시 에너지가 급등 및 인플레이션 우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