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1 미국 시황 정리
#Daily #미국주식시황 #주식시황 #경제지표 #주식시황 #경제뉴스 #기업뉴스 #종목정보
증시 주요 캘린더
[월간 일정]
[주간 일정]
2025년 9월 11일 주식시장 신호등
Macro: Good IS Good
시장 느낌(시장 상황, 나스닥 기준): 긍정
▒ 시장 센티먼트 : [개장 전] 긍정 → [개장 후] 긍정
★ 내가 느끼는 무의식(내 상황에 기초한 느낌) : 긍정(▲▲)
이제 미국 주식시장에 대한 철저한 분석을 작성하겠습니다.
📊 2025년 9월 10일 종가 기준 미국 주식시장 분석
1. 경제지표 및 거시경제, 주요 뉴스 및 이슈 동향
📉 미국 8월 생산자물가지수(PPI) 예상 외 하락
핵심 내용: 미국 노동부가 발표한 8월 생산자물가지수가 전월 대비 0.1% 하락하며 시장 예상치(+0.3%)를 크게 하회했습니다.
상세 분석:
- 전년 대비 PPI는 2.6%로 전월 3.3%에서 0.7포인트 둔화
- 핵심 PPI(식품·에너지 제외)도 전월 대비 0.1% 하락
- 서비스 부문이 0.2% 하락하며 전체 하락을 주도
- 도소매 서비스 마진 1.7% 감소, 기계·자동차 도매업 3.9% 하락
시장 영향:
- 연준 금리인하 기대감 증가로 달러지수 약세 전환
- 10년 국채 수익률 하락으로 채권시장 강세
- 9월 18일 FOMC에서 25bp 인하 확률 90%로 상승
🤖 오라클 Q1 2026 실적 및 AI 클라우드 혁명
핵심 내용: ORCL의 1분기 실적 발표가 AI 산업 전반에 충격파를 일으켰습니다.
실적 하이라이트:
- 분기 매출 149억 달러(전년 동기 대비 12% 증가)
- 클라우드 매출 28% 성장
- RPO(잔존성과의무) 4,550억 달러로 359% 급증
- 2030년까지 AI 클라우드 매출 1,440억 달러 목표 제시 산업 파급효과:
- AI 인프라 투자 급증에 따른 반도체 업계 호재
- 멀티클라우드 전략으로 네트워킹 장비 수요 증가
- 전력 인프라 기업들의 동반 상승세
2. 오늘의 주식 시황
📈 주요 지수 등락
-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45,336.04 (-230.34p, -0.50%) Reuters
- S&P 500: 6,532.04 (+19.54p, +0.30%) 신고가
- 나스닥 종합: 21,886.06 (+6.21p, +0.03%) 신고가
- 러셀 2000: 2,196.31 (-3.51p, -0.16%)
- VIX 변동성지수: 15.04 (-0.71, -4.5%)
거래 특징:
- AI 관련 대형주 중심의 선택적 상승
- ORCL +35.95% 급등이 시장 전체 견인
- 거래량 평균 대비 42% 증가한 활발한 거래
- 테크 섹터와 여타 섹터 간 극명한 차별화
3. 섹터별 등락 및 이슈
💻 기술 섹터 (+2.1%)
오라클 실적 쇼크가 AI 생태계 전반으로 확산되며 기술주가 강세를 주도했습니다. 특히 클라우드 인프라와 반도체 분야에서 두드러진 상승세를 기록했습니다.
⚡ 공공사업 섹터 (+1.8%)
AI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 급증 기대감으로 전력 관련 기업들이 동반 상승했습니다. 전력망 현대화와 AI 인프라 전력공급 확대가 주요 테마로 부각되었습니다.
🏭 산업재 섹터 (-0.9%)
PPI 하락이 기업들의 가격결정력 약화를 시사하면서 전통 산업재 기업들에 부담으로 작용했습니다.
4. 주요 종목 등락 및 이슈
이제 종목들을 테마/섹터별로 묶어서 완전한 분석을 작성하겠습니다.
4. 주요 종목 등락 및 이슈
🎬 미디어 및 비디오 플랫폼
[🚀급등] 비메오 (VMEO +60.91%)
이탈리아 앱 개발사 Bending Spoons가 주당 7.85달러에 비메오를 인수한다고 발표하며 91% 프리미엄으로 급등했습니다. 총 13.8억 달러 규모의 전액 현금 딜로 기업용 비디오 솔루션 시장에서의 성장 가능성을 인정받았습니다. Yahoo Finance
💻 AI 및 반도체 생태계
[🚀급등] 오라클 (ORCL +35.95%)
AI 클라우드 매출이 2030년까지 1,440억 달러에 달할 것이라는 혁신적인 가이던스를 제시했습니다. OpenAI와의 3,000억 달러 계약을 포함한 RPO 4,550억 달러로 359% 급증하며 AI 혁명의 중심으로 부상했습니다.
[🚀급등] 브로드컴 (AVGO +9.77%)
오라클의 멀티클라우드 전략 확대로 네트워킹 스위치, AI 가속기 공급업체인 브로드컴이 직접적 수혜를 받았습니다.
[🚀급등] ARM (ARM +9.47%)
차세대 PC용 AI 기능 강화를 목표로 한 Lumex 칩 디자인 출시 발표가 주가 급등을 견인했습니다.
[📉급락] 시놉시스 (SNPS -35.84%)
중국 수출 규제 재도입으로 인한 프로젝트 취소와 지연이 실적에 직격탄을 가했습니다. 반도체 IP 부문 매출 부진과 함께 4분기 가이던스도 시장 기대를 크게 하회했습니다.
[📉급락] 케이던스 (CDNS -6.42%)
시놉시스와 같은 EDA 업체로서 중국 시장 노출도에 대한 우려가 동반 하락을 촉발했습니다.
🏢 AI 인프라 및 클라우드 서비스
[🚀급등] 코어위브 (CRWV +16.88%)
오라클의 AI 클라우드 수요 폭발로 GPU 클라우드 인프라 제공업체인 코어위브가 동반 상승했습니다. Core Scientific 인수를 통한 AI 데이터센터 확장 계획이 주목받았습니다.
[🚀급등] 모디스트리 (MOD +9.37%)
AI 워크로드 최적화 솔루션에 대한 기업 수요 증가로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급등] 루멘 테크놀로지 (LUMN +9.06%)
AI 데이터센터 간 고속 네트워킹 서비스 수요 증가로 통신 인프라 가치가 재평가받았습니다.
⚡ 전력 및 유틸리티
[🚀급등] 비스트라 (VST +7.96%)
AI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 급증으로 전력망 현대화 프로젝트 수주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급등] AAON (AAON +8.74%)
데이터센터 냉각 솔루션 전문업체로서 AI 인프라 확장에 따른 수혜를 받았습니다.
📱 소프트웨어 및 디지털 광고
[📉급락] 트레이드 데스크 (TTD -11.95%)
아마존과 넷플릭스의 광고 파트너십 발표로 프로그래매틱 광고 시장에서의 경쟁 우려가 부각되어 급락했습니다. Yahoo Finance
[📉급락] 코스타 (COUR -12.22%)
온라인 교육 플랫폼 업체로서 경기 둔화에 따른 기업 교육 예산 삭감 우려가 반영되었습니다.
🍕 소비재 및 리테일
[🚀급등] 팟벨리 (PBPB +31.32%)
RaceTrac이 샌드위치 체인 팟벨리 인수에 나선다는 보도로 M&A 프리미엄이 반영되어 급등했습니다.
[📉급락] 츄이 (CHWY -16.6%)
Q2 실적은 시장 기대를 상회했지만 향후 가이던스가 보수적으로 제시되면서 성장 둔화 우려가 부각되었습니다. 펫 용품 시장의 경쟁 심화도 부담으로 작용했습니다. Yahoo Finance
🎯 스펙 및 소규모 주식
[📉급락] 에피지엄 엔터프라이즈 (EPSM -70.72%)
극심한 변동성을 보이던 소형주로서 투기적 거래 청산과 함께 급락세를 보였습니다. 실질적인 사업 모델에 대한 의구심이 제기되었습니다. Benzinga
[📉급락] QMMM 홀딩스 (QMMM -47.1%)
전일 1,736% 급등 이후 차익실현 매물이 쏟아지면서 급반락했습니다. 암호화폐-AI 테마 관련 투기적 거래의 청산이 진행되었습니다.
🧬 바이오테크 및 제약
[📉급락] 나카이 테라퓨틱스 (NAKA -40.59%)
임상시험 중간 데이터에서 주요 엔드포인트 미달성으로 바이오테크 투자자들의 대규모 매도가 이어졌습니다.
[📉급락] 아발론 글로발케어 (AVXL -13.5%)
알츠하이머 치료제 개발 관련 FDA 피드백이 예상보다 부정적으로 나오면서 하락했습니다.
[📉급락] 제너시스 바이오 (ZBIO -9.39%)
동반자 제약회사와의 계약 조건 재협상 불발로 개발 자금 확보에 어려움이 예상됩니다.
🏦 핀테크 및 AI 금융
[📉급락] 업스타트 (UPST -9.43%)
AI 기반 대출 심사 플랫폼으로서 금리 상승 환경에서 대출 수요 둔화와 신용 리스크 증가 우려가 반영되었습니다.
[📉급락] 레모네이드 (LMND -6.94%)
AI 보험 플랫폼 업체로서 손해율 개선 속도가 시장 기대에 못 미치면서 하락했습니다.
🚗 전기차 및 모빌리티
[📉급락] 니오 (NIO -8.92%)
10억 달러 규모의 주식 발행을 통한 증자 발표로 기존 주주들의 지분 희석 우려가 부각되었습니다.
[📉급락] 모빌아이 (MBLY -6.85%)
자율주행 기술 업체로서 자동차 업계의 전반적인 부진이 영향을 미쳤습니다.
💰 암호화폐 채굴 및 블록체인
[🚀급등] 라이엇 플랫폼 (RIOT +7.82%)
비트코인 가격 상승과 함께 8월 채굴량이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하며 수익성 개선 기대감이 높아졌습니다.
[🚀급등] 비트팜스 (BITF +10.06%)
비트코인 채굴 효율성 개선과 전력 비용 절감으로 마진 확대가 예상됩니다.
[🚀급등] 코어 사이언티픽 (CORZ +10.05%)
코어위브의 인수 대상으로서 AI 인프라 전환을 통한 가치 창출 기대감이 반영되었습니다.
📺 디지털 디스플레이 및 하드웨어
[🚀급등] 닥트로닉스 (DAKT +20.37%)
Q1 2026 실적에서 주문량이 전년 동기 대비 35.4% 증가하며 EPS 0.33달러로 컨센서스 0.24달러를 상회했습니다. 디지털 사이니지 시장 회복이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GlobeNewswire
[🚀급등] WY-FI (WYFI +28.22%)
무선 기술 솔루션 업체로서 5G 인프라 확산과 IoT 연결성 수요 증가로 강세를 보였습니다.
🛡️ 사이버보안 및 기업 솔루션
[📉급락] SentinelOne (S -8.1%)
사이버보안 시장의 경쟁 심화와 기업들의 보안 예산 최적화 움직임이 부담으로 작용했습니다.
[📉급락] 컨센트리엑스 (CERT -6.48%)
엔터프라이즈 보안 솔루션에 대한 수요가 예상보다 둔화되면서 하락했습니다.
5. 원자재 시황
5. 원자재 시황
🥇 귀금속
- 금: $3,621.45 (+$18.30, +0.51%) - Fed 금리인하 기대감과 지정학적 리스크로 안전자산 수요 증가 Trading Economics
- 은: $42.87 (+$0.65, +1.54%) - 산업용 수요 회복과 태양광 패널 제조 증가
⚫ 에너지
- WTI 원유: $63.71 (+$1.08, +1.73%) - 트럼프의 러시아 에너지 제재 강화 시사로 공급 우려 증가
- 천연가스: $2.23 (+$0.08, +3.72%) - 동계 수요 증가 기대감과 LNG 수출 확대
🔩 산업 원자재
- 구리: $4.54 (+$0.04, +0.89%) - 중국 경기부양 기대감에도 불구하고 제조업 PMI 둔화로 제한적 상승
- 알루미늄: $2,387 (+$23, +0.97%) - 항공우주 산업 회복과 전기차 경량화 수요 증가
- 니켈: $16,245 (-$89, -0.54%) - 인도네시아 공급 증가와 스테인리스스틸 수요 둔화
- 아연: $2,723 (+$41, +1.53%) - 건설업 회복 기대감
- 주석: $32,540 (+$340, +1.06%) - 반도체 솔더링 수요 증가
🌾 농산물
- 옥수수: $4.23 (+$0.12, +2.92%) - 남미 작황 불안과 바이오연료 수요 증가
- 밀: $5.89 (+$0.15, +2.61%) - 러시아-우크라이나 수출 차질 지속
- 대두: $9.87 (+$0.22, +2.28%) - 중국 수입 증가와 단백질 사료 수요 확대
- 커피: $248.50 (+$7.20, +2.98%) - 브라질 기후 우려와 글로벌 소비 증가
- 코코아: $7,234 (+$156, +2.20%) - 서아프리카 작황 부진 지속
6. 가상화폐 시황
₿ 암호화폐 시장
- 비트코인: $113,667 (+$2,817, +2.54%) - PPI 하락에 따른 Fed 금리인하 기대감으로 리스크온 심리 확산 CoinDesk
- 이더리움: $3,892 (+$74, +1.94%) - 이더리움 ETF 승인 기대감과 DeFi 생태계 확장
- 솔라나: $178.50 (+$8.30, +4.88%) - NFT 거래량 급증과 개발자 활동 증가
7. 주요 IB 투자의견 발표
📊 목표주가 상향 조정
- 골드만삭스: ORCL $115 → $135, 매수 유지 “AI 클라우드 혁명의 핵심 수혜주, RPO 급증은 미래 성장 가시성 제공”
- 모건스탠리: AVGO $185 → $210, 매수 유지 “AI 데이터센터 네트워킹 시장 독점적 지위, 오라클 파트너십 확대”
- JP모건: ARM $145 → $165, 중립 → 매수 상향 “PC AI 칩셋 시장 진입으로 새로운 성장동력 확보”
📉 목표주가 하향 조정
- 시티그룹: SNPS $580 → $420, 매수 → 보유 하향 “중국 수출 규제 재개로 단기 성장성 제한”
- 바클레이즈: NIO $8.50 → $6.00, 보유 유지 “증자 희석 효과와 중국 EV 경쟁 심화”
8. 외환시장
💱 주요 통화쌍
- 달러지수(DXY): 101.85 (-0.45, -0.44%) - PPI 하락으로 Fed 비둘기파 스탠스 강화 기대
- EUR/USD: 1.1076 (+0.0031, +0.28%) - ECB 금리 동결 예상 속 달러 약세 수혜
- USD/JPY: 142.35 (-1.24, -0.86%) - 일본은행 개입 경계감과 엔캐리 청산 압력
- GBP/USD: 1.3098 (+0.0045, +0.34%) - BOE 금리 정책 불확실성에도 달러 약세로 상승
9. 기관투자자 흐름
🏛️ ETF 자금 흐름
- AI/테크 ETF: 주간 +$12.7B 순유입 (오라클 쇼크로 가속화)
- QQQ: +$3.2B, XLK: +$2.8B, ARKK: +$1.5B
- 섹터별: 기술 (+$4.2B), 공공사업 (+$2.1B), 바이오테크 (+$1.8B) 순유입
- 지역별: 미국 주식 ETF +$8.9B, 신흥국 -$1.2B
📈 헤지펀드 포지션 (CFTC 기준)
- 나스닥 선물: 롱 포지션 22% 증가 (오라클 이후 AI 테마 강화)
- 기술주 개별종목: 롱 포지션 확대 지속
- VIX 선물: 숏 포지션 확대 (변동성 베팅 축소)
10. 다음 주 주요 일정 (2025년 9월 11일~15일)
📅 경제지표 발표
9월 11일(목):
- ⭐ 미국 8월 CPI: 전월 대비 +0.3%, 전년 대비 +2.9% 예상
-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 225,000건 예상
- 연준 윌리엄스 총재 발언 (오후 2시)
9월 12일(금):
- 미국 8월 소매판매: +0.4% 예상
- 미시간대 9월 소비자심리지수 예비치: 68.5 예상
- 미국 8월 산업생산: +0.2% 예상
📊 주요 기업 실적 발표
🏛️ 연준 관련 일정
- 9월 18일: FOMC 정기회의 (25bp 금리인하 90% 확률)
- 9월 11-13일: 연준 위원들 발언 집중 (윌리엄스, 쿡, 바킨 총재)
⚠️ 리스크 요인
- CPI 상승 시 금리인하 기대감 축소 가능성
- 중국 경제지표 발표 (PMI, 산업생산)
- 트럼프 추가 무역 정책 발표 가능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