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2 미국 시황 정리
#Daily #미국주식시황 #주식시황 #경제지표 #주식시황 #경제뉴스 #기업뉴스 #종목정보
증시 주요 캘린더
[월간 일정]
[주간 일정]
2025년 9월 12일 주식시장 신호등
Macro: -
시장 느낌(시장 상황, 나스닥 기준):긍정
▒ 시장 센티먼트 : [개장 전] 긍정 → [개장 후] 긍정
★ 내가 느끼는 무의식(내 상황에 기초한 느낌) : 부정(▲)
유명 대형주 둔화 속 소형주/동전주/하락 폭이 큰 종목을 중심으로 종목별 장세로 보임. 그렇다보니 기준 없으면 쓸려나갈 수 있을 것 같아서 현재 포지션 유지하며, 중소형주 중심으로 포지션 확대 필요할 듯
1. 경제지표 및 거시경제, 주요 뉴스 및 이슈 동향
📈 8월 CPI 인플레이션 지표 발표 - 연준 금리인하 기대감 확산
현재 상황:
- 미국 8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전년동월대비 2.9% 상승으로 예상치와 일치
- 근핵심 CPI는 전년동월대비 3.1%로 7월과 동일하며 예상치 부합
- 전월대비 CPI 0.3%, 근핵심 CPI 0.3% 상승
시장 영향:
- CME FedWatch에 따르면 9월 25bp 금리인하 확률 91%, 50bp 인하 확률 9%
- 12월까지 총 3회 금리인하(75bp) 확률 77.3%로 상승
- 10년물 국채금리 4.0% 하회하며 달러지수 약세
🔴 주간 신규실업수당 청구건수 급증 - 4년 내 최고치
현재 상황:
- 9월 6일 주간 신규실업수당 청구건수 263,000건으로 전주 대비 27,000건 증가
- 2021년 10월 이후 최고 수준 기록
- 노동시장 연화 신호로 해석
경제적 의미:
- 연준의 금리인하 정당성 제공
- 경기둔화 우려와 동시에 통화완화 기대감 확산
2. 오늘의 주식 시황
📊 주요 지수 동향
미국동부시간 9월 11일 종가 기준:
-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46,108.00 (+617.08p, +1.36%) 🔥사상최고치
- S&P 500: 6,587.47 (+55.43p, +0.85%) 🔥신고가
- 나스닥 종합: 22,021.00 (+157.01p, +0.72%)
- 러셀 2000: 2,221.29 (+1.83%) 💪중소형주 강세
- VIX 공포지수: 15.32 (-0.85, -5.26%)
시장 특징:
- 다우지수 사상 처음 46,000선 돌파
- 중소형주(러셀2000) 1.83% 급등으로 금리인하 수혜주 부각
- 거래량 평균 대비 25% 증가한 활발한 매매
3. 섹터별 등락 및 이슈
🏦 금융 섹터 (+1.67%)
금리인하 기대에도 불구하고 경기회복 기대감이 더 크게 작용하며 상승. 대형은행 중심으로 강세를 보였습니다.
🏭 산업재 섹터 (+1.45%)
인프라 투자와 경기회복 기대감으로 건설, 기계장비 업체들이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
💎 소재 섹터 (+1.32%)
원자재 가격 상승과 중국 경기부양 기대감이 철강, 화학 업체들의 주가 상승을 견인했습니다.
4. 주요 종목 등락 및 이슈
🚗 자동차 및 전기차 관련
[🚀급등] 테슬라 (TSLA +6.04%) 네바다주에서 로보택시 시험운행 승인을 획득하며 자율주행 사업화에 한 발 더 다가섰습니다. 최신 FSD(Full Self-Driving)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로 호환성 문제가 해결되었다는 소식도 긍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금리인하 기대감으로 성장주에 대한 밸류에이션 부담이 완화된 점도 상승 요인입니다.
제너럴모터스 (GM +2.39%) 포드 (F +2.98%) CPI 데이터에서 신차 및 중고차 가격 상승이 확인되면서 자동차 업계 전반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습니다.
🧬 반도체 관련
[🚀급등] 마이크론 (MU +7.55%) 시티그룹이 NAND와 DRAM 업황 개선을 근거로 목표주가를 상향조정했습니다. 샌디스크 CEO의 2026년까지 NAND 공급 부족 전망 발언도 메모리 반도체 전반에 호재로 작용했습니다.
[🚀급등] 램리서치 (LRCX +7.66%)
AI와 고성능 컴퓨팅용 차세대 칩 증착 툴 발표로 장비 수요 증가 기대감이 부각되었습니다.
AMD (AMD -2.43%) Erste 그룹의 밸류에이션 부담을 이유로 한 투자의견 하향조정이 부담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브로드컴 (AVGO -2.69%) 전일 급등에 따른 차익실현 매물이 출회되며 조정을 받았습니다.
🤖 AI 및 소프트웨어 관련
[📉급락] 오라클 (ORCL -6.23%) 전일 36% 급등에 따른 차익실현 매물과 잔여 계약 대부분이 OpenAI에 집중되어 있어 향후 변동성 확대 우려가 부각되며 하락했습니다.
[🚀급등] 시놉시스 (SNPS +12.98%) 전일 급락에 대해 미즈호가 과잉반응이며 매수 기회라고 평가하자 큰 폭으로 반등했습니다.
🇨🇳 중국 기업
[🚀급등] 알리바바 (BABA +8.00%) 바이두와 협력하여 엔비디아 AI 칩을 부분적으로 대체하는 자체 칩 사용을 시작했다고 발표하며 급등했습니다. 중국 정부의 10월 새로운 5개년 규획에 대한 기대감도 긍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바이두 (BIDU +3.92%) AI 칩 자체 개발 및 사용 확대 소식으로 동반 상승했습니다.
📱 대형기술주
애플 (AAPL +1.43%) 최근 신제품 발표에 대한 실망감에서 벗어나 되돌림 매수세가 유입되었습니다.
알파벳 (GOOGL +0.51%) 구글 클라우드 사업 기대감이 지속되며 소폭 상승했습니다.
🏦 투자회사 및 금융
[🚀급등] 블랙록 (BLK +2.84%) 기존 ETF를 블록체인 토큰으로 전환해 24시간 거래를 가능하게 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는 소식에 상승했습니다.
블랙스톤 (BX +3.19%)
KKR (KKR +4.11%) 금리인하 기대감과 경기 자신감 회복으로 투자회사들이 강세를 보였습니다.
5. 원자재 시황
🥇 귀금속
- 금: $3,633.88 (-$6.61, -0.18%) - 금리인하 기대에도 달러 강세로 소폭 하락
- 은: $41.55 (+$0.39, +0.95%) - 산업수요 증가 기대감으로 상승
- 백금: $1,390.00 (-$6.80, -0.49%) - 자동차 산업 회복 기대에도 소폭 조정
- 팔라듐: $1,210.00 (+$13.00, +1.09%) - 공급 부족 우려 지속
⚫ 에너지
- WTI 원유: $62.29 (-$1.38, -2.16%) - 중국 수요 둔화 우려와 공급 증가
- 브렌트유: $66.24 (-$1.25, -1.86%) - 글로벌 경기둔화 우려
- 천연가스: $2.92 (-$0.11, -3.64%) - 재고 증가와 온화한 기온
🔩 산업금속
- 구리: $4.60 (+$0.06, +1.29%) - 중국 경기부양 기대감
- 알루미늄: $2,679 (+$51, +1.93%) - 공급 제약과 인프라 수요
- 니켈: $15,220 (+$50, +0.33%) - 전기차 배터리 수요 증가
- 리튬: ¥72,850 (-¥1,743, -2.34%) - 가격 조정 지속
🌾 농산물
- 커피: $3.97 (-0.04%, -0.04%) - 4개월 고점에서 조정
- 대두: $10.15 (+$0.09, +0.93%) - 남미 작황 우려
- 밀: $5.00 (+$0.05, +1.10%) - 극한 날씨 영향
- 옥수수: $3.98 (+$0.01, +0.25%) - 바이오연료 수요
6. 가상화폐 시황
₿ 암호화폐 시장
- 비트코인: $114,689 (+$1,726, +1.53%) - 기관투자자 매수세 지속
- 이더리움: $3,892 (+$74, +1.94%) - DeFi 생태계 확장
- 솔라나: $234.50 (+$12.30, +5.54%) - NFT 거래량 급증
시장 동향: 전일 비트코인 ETF로 7.4억 달러 순유입되며 기관투자자들의 지속적인 관심이 확인되었습니다. 연준의 금리인하 기대감도 위험자산 선호심리를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7. 외환시장
💱 주요 통화쌍
- 달러지수(DXY): 108.12 (-0.45, -0.41%) - 금리인하 기대로 약세
- EUR/USD: 1.0312 (+0.0087, +0.85%) - 유로 강세 전환
- USD/JPY: 155.45 (-1.85, -1.18%) - 엔캐리 트레이드 청산
- GBP/USD: 1.2845 (+0.0125, +0.98%) - 파운드 강세
8. 기관투자자 흐름
🏛️ ETF 자금 흐름
- 주식형 ETF: 주간 +$12.8B 순유입 (4주 연속 유입)
- SPY: +$3.2B, QQQ: +$2.1B, IWM: +$1.4B
- 섹터별: 기술주(+$2.1B), 금융주(+$1.6B) 순유입
- 채권형 ETF: +$4.2B 순유입 (금리인하 기대)
📊 헤지펀드 포지션
- S&P 500 선물 롱 포지션 18% 증가
- 기술주 개별종목 롱 포지션 확대 지속
- VIX 선물 롱 포지션 감소 (변동성 베팅 축소)
9. 다음 주 주요 일정 (2025년 9월 15일~19일)
📅 경제지표 및 연준 일정
9월 15일(월):
- 미국 9월 뉴욕 연은 제조업지수: -1.2 예상
- 중국 8월 소매판매: +2.7% YoY 예상
9월 16일(화):
- 미국 8월 소매판매: +0.2% MoM 예상
- 미국 8월 산업생산: +0.1% MoM 예상
9월 17일(수):
- ⭐ 연준 FOMC 회의 결과 발표 (현지시간 오후 2시)
- 파월 의장 기자회견 (현지시간 오후 2시 30분)
- 25bp 금리인하 91% 확률
9월 18일(목):
- 연준 쿡 이사 발언 (오전 10시)
- 미국 주간 신규실업수당 청구: 245,000건 예상
- ECB 통화정책회의 (동결 전망)
9월 19일(금):
- 미국 9월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 예비치: 69.0 예상
- 연준 보스틱 총재 발언 (오후 2시)
📈 실적발표
- Adobe (ADBE): 9월 16일 장후
- FedEx (FDX): 9월 19일 장후
- Micron Technology (MU): 9월 25일 장후
⚠️ 위험 이벤트
- 9월 20일: 옵션 만료일 (대량 거래 예상)
- 중동 지정학적 리스크 모니터링
- 중국 부동산 섹터 추가 정책 발표 가능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