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3 미국 시황 정리
#Daily #미국주식시황 #주식시황 #경제지표 #주식시황 #경제뉴스 #기업뉴스 #종목정보
증시 주요 캘린더
[월간 일정]
[주간 일정]
2025년 9월 13일 주식시장 신호등
Macro: -
시장 느낌(시장 상황, 나스닥 기준): 긍정
▒ 시장 센티먼트 : [개장 전] 긍정 → [개장 후] 긍정
★ 내가 느끼는 무의식(내 상황에 기초한 느낌) : 긍정(▲▲▲)
1. 경제지표 및 거시경제, 주요 뉴스 및 이슈 동향
📉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 4개월 내 최저치 기록
현재 상황:
- 9월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 잠정치 55.4로 전월 58.2 대비 4.8% 하락
- 2025년 5월 이후 4개월 만에 최저치 기록
- 현재 경제여건 지수: 61.7→61.2 소폭 하락
- 소비자 기대지수: 55.9→51.8 대폭 둔화
인플레이션 기대감:
- 1년 기대 인플레이션: 4.8% 유지
- 5년 장기 기대 인플레이션: 3.5%→3.9% 상승 (2개월 연속 상승)
- 관세 정책의 장기적 물가 상승압력 우려 반영
시장 영향: 미시간대는 개인적인 실직 가능성에 대한 우려 증가가 주요 원인이라고 발표했습니다. 27주 이상 장기 실업자가 193만 명을 기록하며 과거 경기 침체기보다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어 경기 불안 심리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2. 오늘의 주식 시황
📊 주요 지수 동향
미국동부시간 9월 12일 종가 기준:
-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45,834.22 (-273.78p, -0.59%)
- S&P 500: 6,584.29 (-3.18p, -0.05%)
- 나스닥 종합: 22,141.10 (+98.03p, +0.44%) 🔥신고가
- 러셀 2000: 2,397.06 (-24.47p, -1.01%)
- VIX 공포지수: 14.76 (+0.44, +3.07%)
시장 특징:
- 나스닥만 상승하며 기술주 중심의 순환매 진행
- 초과 유동성 지표인 역레포 잔고 바닥권으로 시장 유동성 축소
- 특정 종목으로 자금 쏠림 현상 두드러짐
- 9월 19일 옵션만기일을 앞두고 옵션 거래 집중
3. 섹터별 등락 및 이슈
💻 기술 섹터 (+0.77%)
마이크로소프트의 EU 독점금지 문제 해결과 OpenAI 관계 회복으로 대형기술주가 견조한 흐름을 보였습니다.
🏥 헬스케어 섹터 (-2.85%)
트럼프 행정부의 백신-아동 사망 연관성 주장으로 백신 제조업체들이 큰 폭 하락했습니다.
🚀 항공우주/방위 (+1.87%)
양자컴퓨팅과 우주개발 관련 테마주들이 강세를 보이며 섹터를 견인했습니다.
4. 주요 종목 등락 및 이슈
🚗 전기차 및 자율주행 관련
[🚀급등] 테슬라 (TSLA +7.36%) 네바다주 자동차국(DMV)이 자율주행차 시험운행을 공식 승인하자 전일에 이어 연속 상승했습니다. 이사회 의장이 “머스크 외에 향후 10년간 테슬라를 이끌 사람이 없다"며 머스크를 세대를 대표하는 리더라고 언급한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테슬라 비관론자인 게리 블랙이 미국에서 모델Y, 모델3 판매 증가와 마진 개선을 이유로 단기 주가 상승을 전망한 점도 상승 요인이었습니다.
[🚀급등] 퀀텀스케이프 (QS +12.43%) 옵션 거래량이 평균의 5배 이상 증가한 가운데 풋콜 비율이 0.22로 콜옵션이 압도적으로 많아 수급적 요인이 급등을 견인했습니다.
리비안 (RIVN -3.65%) 운전자 보조기능 문제로 소프트웨어 무선 업데이트를 통한 리콜을 발표했습니다. 아마존이 GM의 전기 밴을 시험 운영한다는 소식도 부담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 반도체 관련
엔비디아 (NVDA +0.37%) OpenAI와 영국 데이터센터 투자 발표 예정 소식과 슈퍼마이크로컴퓨터의 블랙웰 울트라 칩 탑재 AI 서버 출하 소식이 긍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급등] 마이크론 (MU +4.42%) 전일 시티그룹의 AI 관련 수요 증가와 기술력을 근거로 한 목표주가 상향조정 영향이 지속되었습니다. 콜옵션이 풋옵션을 2배 이상 상회하며 옵션 거래량이 평균을 크게 웃도는 등 수급적 부분이 상승을 뒷받침했습니다.
AMD (AMD +1.86%) 투자의견 하향조정에도 불구하고 경쟁 제품인 Instinct MI300X의 공급 확대로 점유율 증가 소식에 상승했습니다. Applied Materials (AMAT -1.38%) 투자의견 하향 소식으로 하락했습니다.
💻 대형기술주
[🚀급등] 마이크로소프트 (MSFT +1.77%) OpenAI와 파트너십 개편 합의로 관계 회복이 진행되고 있다는 소식에 상승했습니다. EU에서 Teams 없이 Office를 제공함으로써 독점금지 벌금을 피하고 경쟁 우려를 해소했다는 소식도 긍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애플 (AAPL +1.76%) 중국에서 아이폰 에어 출시 연기 소식에도 불구하고 상승했습니다. 애플워치 고혈압 감지 기능이 FDA 승인을 받았다는 소식이 주가 상승을 견인했습니다.
메타 플랫폼 (META +0.62%) 9월 17일 연례 개발자 컨퍼런스 ‘커넥트’ 개최를 앞두고 상승했습니다.
아마존 (AMZN -0.78%) 연방거래위원회가 아마존과 알파벳의 검색광고를 조사하기 시작했다는 소식에 하락했습니다.
🎯 팔란티어 및 소프트웨어
[🚀급등] 팔란티어 (PLTR +4.30%) 밥콕이 팔란티어의 워프스피드 플랫폼을 활용해 군함 건조 전 과정을 관리하고 있다는 소식이 유입되자 상승했습니다. 콜옵션 매수세가 급증하는 등 수급적 요인도 급등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급락] 오라클 (ORCL -5.09%) 전일 36% 급등에 따른 차익실현 매물이 지속되며 2일 연속 하락했습니다.
어도비 (ADBE -0.34%) 예상을 상회한 실적과 가이던스 상향조정에도 불구하고 매물 출회로 하락 전환했습니다.
⚛️ 양자컴퓨터 테마
[🚀급등] 아이온큐 (IONQ +18.19%) 애널리스트데이 2025 행사에서 향후 30년간 양자컴퓨터 관련 산업을 주도할 것을 선언했습니다. IBM보다 더 큰 연산 공간을 갖추고 있어 최소 5년의 기술 우위를 유지하고 있다고 언급했으며, 엔비디아 등과 협력해 ‘양자 이점’을 입증하는 등 경쟁사들과 차별화된 효율적이고 소형화된 저비용 시스템으로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고 발표했습니다.
[🚀급등] 리게티 컴퓨팅 (RGTI +14.38%) D웨이브 퀀텀 (QBTS +7.51%) 퀀텀 컴퓨팅 (QUBT +7.05%) 아킷 퀀텀 (ARQQ +11.42%) 아이온큐 급등에 따른 동반 상승을 기록했습니다.
🚀 우주개발 테마
[🚀급등] 로켓랩 (RLAB +10.18%) 미 국방부 산하 국방고등연구계획국(DARPA)의 블랙잭 위성 프로젝트 참여로 기술력이 상업적 용도를 넘어 국방 분야에서도 인정받고 있다는 평가가 유입되며 상승했습니다. 거래량이 평균의 5배 이상 증가하고 콜옵션 거래량이 급증하는 등 투기적 수요가 강하게 유입되었습니다. 인튜이티브 머신스 (LUNR +3.05%) 레드와이어 (RDW +2.84%) 새텔로직 (SATL +2.41%) 우주개발 관련 기업들이 동반 상승했습니다.
💉 백신 및 제약업종
인튜이티브 머신스 (LUNR +3.05%) 레드와이어 (RDW +2.84%) 새텔로직 (SATL +2.41%) 우주개발 관련 기업들이 동반 상승했습니다.
💉 백신 및 제약업종
[📉급락] 화이저 (PFE -3.98%) 바이오엔텍 (BNTX -7.26%) 모더나 (MRNA -7.40%) 노바벡스 (NVAX -3.62%) 트럼프 행정부가 다음 주 CDC 백신 자문위원회에서 코로나19 백신이 25명의 아동 사망과 관련이 있다고 주장하는 내용을 발표할 것이라고 발표하자 코로나 백신 관련 기업들이 급락했습니다. 머크 (MRK -2.75%) 암젠 (AMGN -2.24%) 제약업종 전반도 부진한 흐름을 보였습니다.
₿ 비트코인 및 가상화폐
비트코인 $116,610 (+1.9%) 달러화 약세 전환과 FOMC 금리인하 기대심리 유입으로 상승했습니다. 최근 현물 ETF에 지속적인 자금 유입도 긍정적 영향을 미쳤습니다.
[🚀급등] 스트레티지 (MSTR +1.66%) 최근 비트코인 상승에도 부진했던 스트레티지가 오늘은 상승 전환했습니다.
갤럭시 디지털 (GLXY +2.87%) 비트코인 관련 종목들이 강세를 보였습니다.
써클 인터넷 (CRCL -6.27%) 테더가 미국 규제 준수 새로운 스테이블코인 USAT를 출시한다고 발표하자 경쟁 우려로 하락했습니다.
✈️ 비행택시 테마
조비항공 (JOBY +2.34%) 아처항공 (ACHR +3.06%) 트럼프 행정명령으로 추진되는 eVTOL 통합 시범 프로그램 참여 계획을 발표하자 상승했습니다.
5. 원자재 시황
🥇 귀금속
- 금: $3,642.37 (+$10.44, +0.29%) - 달러 약세로 소폭 상승
- 은: $42.16 (+$0.64, +1.54%) - 산업 수요 증가 기대감 지속
- 백금: $1,396.60 (+$14.80, +1.07%) - 자동차 산업 회복 기대
- 팔라듐: $1,203.50 (-$3.50, -0.29%) - 공급 부족 우려에도 소폭 하락
⚫ 에너지
- WTI 원유: $62.56 (+$0.27, +0.43%) - 소폭 반등
- 브렌트유: $66.92 (+$0.68, +1.02%) - 지정학적 리스크 완화
- 천연가스: $2.96 (+$0.03, +1.01%) - 계절적 수요 증가 기대
- 우라늄: $75.70 (-$0.70, -0.92%) - 원자력 발전 확대에도 조정
🔩 산업금속
- 구리: $4.58 (-$0.03, -0.62%) - 중국 경기 우려로 소폭 하락
- 알루미늄: $2,700 (+$21, +0.79%) - 공급 제약 지속
- 니켈: $15,380 (+$160, +1.05%) - 전기차 배터리 수요 증가
- 리튬: ¥72,450 (-¥400, -0.55%) - 공급 과잉 우려 지속
- 아연: $2,949 (+$48, +1.64%) - 인프라 수요 회복 기대
- 납: $2,018 (+$24, +1.18%) - 배터리 수요 증가
🌾 농산물
- 커피: $4.10 (+$0.12, +3.14%) - 기후 변화 영향으로 공급 우려
- 대두: $10.45 (+$0.12, +1.13%) - 남미 작황 우려 지속
- 밀: $5.22 (+$0.00, +0.05%) - 우크라이나 수출 차질
- 옥수수: $4.28 (+$0.08, +1.97%) - 바이오연료 수요 증가
- 설탕: $15.81 (+$0.00, +0.12%) - 브라질 생산량 감소 우려
- 코코아: $7,198 (-$111, -1.51%) - 가나, 코트디부아르 생산 회복
🐄 축산물
- 비육우: $229.91 (-$2.49, -1.07%) - 사료비 상승 부담
- 돼지고기: $97.08 (-$1.05, -1.07%) - 질병 확산 우려
- 계란: $2.08 (-$0.03, -1.60%) - 조류독감 영향 지속
6. 가상화폐 시황
₿ 암호화폐 시장
- 비트코인: $116,610 (+$1,972, +1.93%) - ETF 유입 지속
- 이더리움: $3,912 (+$85, +2.22%) - 스테이킹 수익률 상승
- 솔라나: $241.50 (+$18.30, +8.20%) - DeFi 생태계 확장
시장 동향: 이번 주 비트코인 ETF 순유입이 17억 달러를 기록하며 기관투자자들의 지속적인 관심이 확인되었습니다. 연준의 금리인하 기대감도 위험자산 선호심리를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7. 기관투자자 수급 현황
🏛️ ETF 자금 흐름
- 주식형 ETF: 주간 +$8.9B 순유입 (5주 연속 유입)
- SPY: +$2.8B, QQQ: +$1.9B, IWM: +$0.7B
- 섹터별: 기술주(+$1.8B), 헬스케어(+$1.2B) 순유입
- 비트코인 ETF: 주간 +$2.3B 순유입
📊 헤지펀드 포지션
- 나스닥 선물 롱 포지션 12% 증가
- 양자컴퓨팅 관련주 옵션 거래량 급증
- 백신주 숏 포지션 확대
8. 다음 주 주요 일정 (2025년 9월 15일~19일)
📅 연준 및 경제지표
9월 17일(수):
- ⭐ 연준 FOMC 회의 결과 발표 (현지시간 오후 2시)
- 파월 의장 기자회견 (현지시간 오후 2시 30분)
- 25bp 금리인하 91% 확률
9월 18일(목):
- 미국 주간 신규실업수당 청구: 250,000건 예상
- 연준 쿡 이사 발언
9월 19일(금):
- ⭐ 옵션 만료일 - 대량 거래 예상
- 미국 9월 기존주택 판매: +1.2% MoM 예상
📈 실적발표
- FedEx (FDX): 9월 19일 장후
- Micron Technology (MU): 9월 25일 장후
🏢 기업 이벤트
- 9월 17일: 메타 플랫폼 ‘커넥트’ 개발자 컨퍼런스
- 9월 15일: 애플 watchOS 26 출시 (고혈압 감지 기능 포함)
⚠️ 위험 요인
- 트럼프 행정부 백신 관련 발표 (CDC 자문위원회)
- 중동 지정학적 리스크 지속
- 중국 경제지표 발표 (산업생산, 소매판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