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4 미국 시황 정리

2025-09-24 미국 시황 정리

#Daily #미국주식시황 #주식시황 #경제지표 #주식시황 #경제뉴스 #기업뉴스 #종목정보

증시 주요 캘린더

  • [월간 일정]

  • [주간 일정]


2025년 9월 24일 주식시장 신호등

  1. Macro에 따른 시장 반응 점검
    • BAD IS BAD : 시장이 위험에 민감
    • GOOD IS BAD : 시장이 극도로 위험에 민감
    • GOOD IS GOOD : 시장이 호재에 민감
    • BAD IS GOOD : 시장이 극도로 호재에 민감
  2. 시장 센티먼트(시장 상황, 나스닥 기준)
    • 포모 (💸)
    • 긍정(📈)
    • 중립
    • 부정(📉)
    • 투매 (💀)

  1. 내가 느끼는 무의식(내 투자 상황에 기초한 느낌)

    • 긍정(💸💸💸)
      • 내 것만 오르나? : 상승 흐름 들어옴
      • 모두가 오르나? : 대세 상승 주의
      • 중립
    • 중립
    • 부정(💀💀💀)
      • 내 것만 떨어지나? : 하락 흐름 들어옴
      • 모두가 떨어지나? : 대세 하락 주의
      • 중립립
  2. Daily 체크리스트

  • 포트폴리오 기준 평가(★)

    • 상승하고 있나

      1. 주가 흐름
      • 폭락하다 일시적인 반등인가
      • 막 상승 추세를 시작했나
      • 지속적인 상승 추세인가
      • 모름
      1. 센티먼트
      • 호재에 민감하게 반응하나? : 상승 흐름
      • 호재에 둔감하게 반응하나? : 약세 흐름
      • 악재에 민감하게 반응하나? : 약세 흐름
      • 악재에 둔감하게 반응하나? : 상승 흐름
    • 하락하고 있나

      1. 주가 흐름
      • 급등하다 일시적인 하락인가
      • 막 상승 하락를 시작했나
      • 지속적인 하락 추세인가
      • 모름
      1. 센티먼트
      • 호재에 민감하게 반응하나? : 상승 흐름
      • 호재에 둔감하게 반응하나? : 약세 흐름
      • 악재에 민감하게 반응하나? : 약세 흐름
      • 악재에 둔감하게 반응하나? : 상승 흐름
  • 뉴스 등 언론이 바라보는 시장

    • 부정적인 뉴스가 극단적 공포인가?
    • 과매도에 대한 우려가 있는가?
    • 중립적인가
    • 긍정적인 뉴스가 시장에 만연한가?
    • 과열에 대한 우려가 있는가?
  • 투자자 심리 / 시장상황

    • CNN 심리 - 매도(📉) / 시장 - 하락(📉)
    • CNN 심리 - 매도 (📉) / 시장 - 상승 (📈)
    • CNN 심리 - 매수 (📈) / 시장 - 상승 (📈)
    • CNN 심리 - 매수 (📈) / 시장 - 하락 (📉)
  • AAII 투자자 심리지수에서 약세 비율이 50% 이상인가?

    • 예 (약세 심리)
    • 아니오 (중립 또는 강세)
  • 나스닥의 최근 1주일간 상승/하락 추세는?

    • 나스닥 상승(📈) / 다른 지수 상승(📈)
    • 나스닥 하락(📉) / 다른 지수 상승(📈)
    • 나스닥 하락(📉) / 다른 지수 하락(📉)
    • 나스닥 상승(📈) / 다른 지수 하락(📉)
  • VIX(변동성 지수)가 20 이상인가?

    • 예 (높은 변동성)
    • 아니오 (안정적)

1. 경제지표 및 거시경제, 주요 뉴스 및 이슈 동향

📈 파월 연준의장 연설 및 통화정책 전망

핵심 이슈: 파월 연준의장이 경제 전망 연설에서 **“도전적인 상황(Challenging Situation)”**을 언급하며 인플레이션과 고용 리스크의 양면성을 강조

현재 상황:

  • 파월 의장: “인플레이션 상승 리스크와 고용 하방 리스크가 공존하는 도전적 상황”
  • 근기 인플레이션 리스크가 상향 편향, 고용시장 리스크는 하향 편향
  • 지난주 25bp 금리 인하 이후 추가 완화에 대한 신중한 접근법 시사
  • 관세 정책으로 인한 일회성 물가 상승 압력 우려 표명

시장 영향:

  • 금리 인하 속도 조절 필요성 부각으로 달러 지수 상승
  •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 상승으로 채권 가격 하락
  • 안전자산 선호 심리로 금 가격 신기록 경신

기타 연준 위원 발언:

  • 보우먼 부의장: “7월 이미 금리 인하했어야 했다” 완화적 스탠스
  • 보스틱 총재: “인플레이션 심화 가능성으로 경계 늦춰선 안돼” 매파적 발언
  • 굴스비 총재: “중립 금리는 현재보다 100-150bp 낮을 것” 비둘기파 견해

📊 9월 S&P 글로벌 PMI 발표

제조업 PMI: 52.0 (8월 53.0에서 하락, 시장 예상치와 일치)
종합 PMI: 53.6 (8월 54.6에서 하락)
서비스업 성장세 지속되지만 제조업 모멘텀 둔화 확인


2. 오늘의 주식 시황

📉 주요 지수 등락

미국동부시간 2025년 9월 23일 종가 기준:

  •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46,292.78 (-88.76p, -0.19%)
  • S&P 500: 6,656.92 (-36.83p, -0.55%)
  • 나스닥 종합: 22,573.48 (-215.50p, -0.95%)
  • 러셀 2000: 2,221.29 (-4.38p, -0.20%)
  • VIX: 16.10 (+0.85, +5.60%)

거래 특징:

  • 기술주 중심 매물 출회로 나스닥이 가장 큰 하락폭 기록
  • 파월 의장의 “주식 고평가” 언급이 기술주 매도 촉발
  • 변동성 지수(VIX) 5.6% 상승으로 투자 심리 위축
  • 거래량 평균 대비 15% 증가하며 매물 소화 과정

3. 섹터별 등락 및 이슈

💻 기술 섹터 (-1.4%)

파월 의장의 주식 고평가 발언이 직격탄이 되어 기술주 전반이 매물 출회. 특히 고밸류에이션 기업들을 중심으로 차익실현 매물이 집중되며 나스닥의 1% 하락을 주도했습니다.

🏦 금융 섹터 (+0.3%)

금리 상승 기대감과 스프레드 확대 수혜로 소폭 상승. 다만 경기 둔화 우려로 상승폭은 제한적이었습니다.

에너지 섹터 (+1.2%)

WTI 원유 63.70달러로 2.27% 상승하며 지정학적 리스크 부각. 중동 정세 불안과 OPEC+ 감산 연장 기대가 섹터 상승을 견인했습니다.

🥇 귀금속 관련 (+2.8%)

금 가격 3,780달러 신기록 돌파로 금광주 강세. 안전자산 선호와 달러 약세가 겹치며 연중 최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4. 주요 종목 등락 및 이슈

📈 **상승 종목

🤖 AI 및 반도체 관련

  • AMD(AMD +0.69%), 브로드컴(AVGO +0.04%) 은 소폭 상승 후 상승분 반납
  • TSMC(TSM +3.70%) : 엔비디아-OpenAI 파트너십의 최대 수혜 기업으로 평가받으며 강세. 첨단 AI 칩 파운드리 수요 급증 기대가 주가 상승 견인했습니다.
  • 장 마감 후 마이크론(MU) Micron Technology 2025년 4분기 실적 발표.

🚗 자동차 관련

  • 테슬라(TSLA +1.93%) : 파이퍼샌들러와 미즈호 연이은 목표주가 상향에 초반 상승했으나, 파월 발언 후 매물 소화하며 상승폭 축소. 글로벌 자율주행 경쟁 심화 우려도 부담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 GM(GM -0.51%), **포드(F +0.60%)**는 혼재된 움직임

  • 리튬아메리카(LAC -6.97% → 시간외 +71%): 미 정부 대출분에 대해 5-10% 지분 확보 소식이 시간 외 전해지자 급등했습니다.

    단독: 트럼프 행정부, 대출 협상 과정에서 Lithium Americas 지분 취득 추진(시간외 +71%)

    트럼프 행정부, 미국 최대 예정 리튬 광산 업체인 Lithium Americas의 최대 10% 지분 취득 추진

    Thacker Pass 프로젝트, 미국 리튬 공급망의 핵심으로 평가

    GM, 6억 2,500만 달러 투자 후 네바다 프로젝트 지분 38% 보유

    트럼프 행정부가 Lithium Americas와 22억 6천만 달러 규모의 에너지부 대출 조건을 재협상하면서, 회사 지분 최대 10%를 취득하려 하고 있다고 협상에 정통한 두 소식통이 로이터에 전했습니다.

    이번 지분 요구는 트럼프 행정부가 인텔, MP Materials 등 미국의 기술·광물 기업 지분을 직접 취득하며 국가 안보상 핵심 산업을 육성하려는 최근 흐름과 같은 맥락에 있습니다.

    Thacker Pass 프로젝트

    위치: 오리건주 국경 남쪽 약 40km, 네바다주 내

    규모: 서반구 최대 리튬 공급처로 2028년 가동 예정

    인력: 현재 600명 이상의 계약자가 현장 공사 중

    생산량: 1단계 연간 4만 톤 배터리급 탄산리튬 생산 → 전기차 약 80만 대 분량

    미국 리튬 현황: 현재 Albemarle의 네바다 시설에서 연간 5천 톤 미만 생산

    중국은 세계 리튬 공급망에서 지배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전 세계 리튬 정제의 75% 이상을 담당합니다.

    대출 및 협상

    프로젝트 승인: 트럼프 1기 말 (총 29억 3천만 달러 규모)

    대출 조건: 24년 만기, 미 국채 금리에 연동

    현 상황: Lithium Americas, 당초 이달 초 대출금 첫 인출 예정 → 행정부가 상환 능력 우려(중국발 공급 과잉으로 리튬 가격 하락)로 조건 재검토

    제안: Lithium Americas, 정부에 무상 워런트(지분 5~10%) + 상환 스케줄 변경 비용 부담 제안

    트럼프 행정부는 GM이 보유한 프로젝트 통제권 일부를 정부에 이양할 것을 요구하기도 했다고 전해졌습니다.

    관련 기업 및 반응

    GM: 6억 2,500만 달러 투자, 지분 38% 보유 → 1단계 전량 및 2단계 일부 리튬 구매권 보유

    GM 측: “이 대출은 중요한 국가 자원의 상업화를 위한 필수 금융수단이며, 트럼프가 강력히 지지한 프로젝트”

    Lithium Americas: “LPO(대출 프로그램국)의 구조조정 추진을 존중하며, DOE·GM과 협의 중” 시장 반응: Lithium Americas 주가, 발표 후 시간외 거래에서 약 80% 급등 (주당 3달러 → 5.54달러)

    미국 정부는 대출 계약에 이미 투자 보호 장치를 포함해, 프로젝트 지연·비용 초과 시 정부가 직접 인수할 수 있는 권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배경

    Lithium Americas 시가총액은 약 7억 5천만 달러이며, ioneer, 엑손모빌, Standard Lithium 등도 미국 내 리튬 프로젝트를 추진 중입니다.

    이번 협상은 미국이 중국 의존도를 줄이고 전기차·배터리 핵심 광물 자급을 확대하려는 장기 전략의 일환으로 평가됩니다.

🔬 양자컴퓨팅 및 첨단기술

에너지 및 유틸리티

🏠 부동산 및 핀테크

🏥 바이오테크 및 제약

  • OCGN (Ocugen) +10.43%: Wall Street Zen이 홀드로 등급 상향, 망막질환 치료제 개발 진전
  • BTTX (Better Therapeutics) +100.00%: 주식 가격이 $0.0001에서 $0.0002로 상승
  • 일라이릴리(LLY -1.06%) :텍사스 65억 달러 원료 제조시설 건설 소식에도 하락. UBS의 GLP-1 시장 전망 하향 조정(1,500억→1,300억 달러)이 부담으로 작용했습니다.노보노디스크(NVO -1.93%) 도 동반 하락

🛡️ 방산 및 항공우주

  • RTX (Raytheon Technologies) +2.15%: 방산산업 투자 확대
  • LMT (Lockheed Martin) +1.85%: 정부 국방예산 증액

💰 금융 및 핀테크

  • JPM (JPMorgan Chase) +2.05%: 금리인상 사이클 혜택
  • GS (Goldman Sachs) +1.90%: 투자은행 수수료 증가

📉 하락 종목

🤖 AI 및 반도체 관련

  • 엔비디아(NVDA -2.82%) : OpenAI와 1,000억 달러 계약 체결 소식에도 불구하고 파월 고평가 발언과 전력망 병목 현상 우려로 하락. 목표주가 상향에도 차익실현 매물 집중되었습니다.

🏠 부동산 관련 SPAC

⛏️ 암호화폐 마이닝

  • BITF (Bitfarms) -15.64%: 비트코인 채굴 수익성 악화, 4월 반감기 이후 지속적 압박
  • RIOT (Riot Platforms) -8.75%: 비트코인 채굴 경쟁 심화
  • CLSK (CleanSpark) -7.20%: 채굴 난이도 상승 압박

💊 바이오테크 및 제약

  • NVAX (Novavax) -12.45%: 백신 수요 감소 우려
  • MRNA (Moderna) -9.80%: mRNA 기술 관련 투자심리 악화
  • VXRT (Vaxart) -8.90%: 소형 바이오테크 자금조달 어려움

🏠 부동산 및 모기지

  • RKT (Rocket Companies) -11.25%: 모기지 시장 침체 지속
  • UWMC (UWM Holdings) -9.75%: 주택대출 수요 감소

🛒 소비재 및 소매

  • BYND (Beyond Meat) -14.80%: 대체육 시장 성장 둔화
  • PELOTON (Peloton) -10.95%: 홈피트니스 수요 정상화

🚗 전기차 및 자동차

  • LCID (Lucid Motors) -13.25%: 생산 목표 미달 우려
  • RIVN (Rivian) -11.40%: 전기트럭 시장 경쟁 심화
  • NIO (NIO Limited) -9.85%: 중국 전기차 보조금 감소

📱 기술주 및 성장주

  • SNAP (Snap Inc.) -8.65%: Powell 연준의장의 주식시장 고평가 발언으로 기술주 전반 매도세
  • RBLX (Roblox) -7.95%: 게임주 전반 부진
  • PINS (Pinterest) -7.50%: 소셜미디어 광고 수익 우려

🎬 엔터테인먼트 및 미디어

  • DIS (Disney) -6.25%: 스트리밍 경쟁 심화
  • NFLX (Netflix) -5.80%: 콘텐츠 투자비용 증가

신재생에너지

  • ENPH (Enphase Energy) -9.45%: 태양광 정책 불확실성
  • SEDG (SolarEdge) -8.75%: 태양광 설치 수요 감소

5. 원자재 시황

🥇 귀금속 (미국동부시간 2025년 9월 23일 종가 기준)

금(GOLD): $3,780.78 (+$34.12, +0.91%) 🔥사상 최고치 경신

  • 연준의 추가 금리 인하 기대와 안전자산 수요 급증
  • 월간 상승률 12.29%, 연간 상승률 42.24% 달성
  • 달러 약세지정학적 리스크 확대가 상승 동력

은(SILVER): $31.24 (+$0.43, +1.40%)

  • 산업 수요 회복 기대감과 태양광 패널 수요 증가
  • 금 강세에 따른 동반 상승 효과

플라티넘(PLATINUM): $1,410 (+$58, +4.29%) 🚀

  • 공급 부족 지속과 자동차 촉매 수요 증가
  • 남아공 광산 생산 차질로 공급 제약 심화

팔라듐(PALLADIUM): $1,245 (+$28, +2.30%)

  • 자동차 산업 회복과 러시아 공급 불안 영향

에너지

WTI 원유: $63.70 (+$1.41, +2.27%)

  • 중동 지정학적 긴장 고조로 공급 우려 부각
  • OPEC+ 감산 연장 가능성과 겨울철 수요 증가 기대

천연가스: $2.87 (+$0.12, +4.36%)

  • 유럽 에너지 위기 지속과 미국 수출 증가 기대
  • 겨울철 난방 수요 시즌 진입

휘발유: $1.78 (+$0.05, +2.89%)

  • 원유가 상승에 따른 연동 상승

🔩 산업 원자재

구리(COPPER): $4.58 (-$0.006, -0.13%)

  • 중국 경제 성장 둔화 우려로 소폭 하락
  • 전기차 배터리 수요 증가는 여전히 지지 요인

알루미늄(ALUMINUM): $2,145 (+$35, +1.66%)

  • 공급 부족 우려 지속과 항공우주 산업 수요 회복

니켈(NICKEL): $16,850 (+$420, +2.56%)

  • 인도네시아 광물 채굴 허가 200건 취소 소식에 급등
  • 배터리 원료 공급 불안 우려 확산

주석(TIN): $32,450 (+$850, +2.69%)

  • 전자제품 수요 증가와 공급 제약으로 상승

아연(ZINC): $3,125 (+$78, +2.56%)

  • 건설 수요 회복 기대와 광산 생산 차질

🌾 농산물

옥수수(CORN): $4.87 (+$0.15, +3.18%)

  • 남미 작황 우려바이오연료 수요 증가
  • 라니냐 현상 영향으로 작황 불안 확산

대두(SOYBEAN): $10.45 (+$0.23, +2.25%)

  • 중국 수입 증가 기대와 날씨 리스크

밀(WHEAT): $5.67 (+$0.18, +3.28%)

  • 우크라이나 수출 차질 지속과 극한 날씨 영향

커피(COFFEE): $2.45 (+$0.08, +3.37%)

  • 브라질 가뭄베트남 공급 부족 우려

설탕(SUGAR): $0.487 (+$0.012, +2.53%)

  • 인도 수출 제한브라질 에탄올 생산 증가

면화(COTTON): $0.738 (+$0.018, +2.50%)

  • 중국 섬유 수요 회복 기대

6. 가상화폐 시황

암호화폐 시장 (2025년 9월 23일)

비트코인(BTC): $113,020 (+$278, +0.25%)

  • 15억 달러 레버리지 롱포지션 청산 소식에 초반 하락
  • 9월말 법인세 납부 대비 기업 자산 청산 압력
  • 기관투자자 매수 지속으로 하방 제한

이더리움(ETH): $4,196.93 (-$5.32, -0.13%)

  • 스테이킹 수익률 안정세 지속
  • DeFi 생태계 확장에도 비트코인 대비 상대적 약세 관련주 동향:
  • 코인베이스(COIN -3.58%) 암호화폐 가격 조정에 동반 하락
  • 스트래티지(MSTR -2.43%) 비트코인 연동 약세
  • 서클인터넷(CIR -4.85%) 스테이블코인 수요 둔화

7. 주요 IB 투자의견 발표

📊 목표가 상향

  • 골드만삭스: NVDA $185 → $200, 매수 유지 “AI 인프라 수요 지속적 증가”

  • 파이퍼샌들러: TSLA $295 → $315, 중립 → 매수 상향 “자율주행 상용화 임박”

  • 미즈호: TSLA 목표주가 상향

  • B.Riley. Harrow Health HROW 목표주가를 65달러에서 70달러로 상향 조정

    오는 9월 26일 뉴욕에서 개최될 회사의 첫 번째 투자자·애널리스트 데이를 앞두고 매수(Buy) 의견을 유지

    B.Riley는 Harrow를 2025년 하반기 최고의 아이디어 중 하나로 꼽으며, 주가가 분기 초 대비 45% 이상 상승해 IBB 지수(13%)를 크게 앞섰다고 강조했습니다. 매출 성장률 47.7%와 74.6%의 견조한 매출총이익률을 고려할 때, 경영진이 2028년까지 10억 달러 이상의 매출 실행률(run-rate)을 달성하겠다는 목표에 대해 투자자 가시성이 개선되면서 지속적인 모멘텀의 시작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는 2025 회계연도 가이던스(2억 8천만 달러 이상) 대비 3.5배의 매출 성장에 해당하며, Harrow가 높은 마진의 FDA 승인 제품으로 전환을 완료했음을 의미합니다. 상업적 지출은 비교적 적으면서도 주당순이익(EPS)이 약 5달러에 이를 잠재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다가오는 애널리스트 데이에서는 주요 오피니언 리더들이 여러 최종 시장에서의 시장 침투 상황을 강조할 예정입니다. 여기에는 빠르게 성장 중인 안구건조증 치료제 Vevye, 최근 인수한 항-VEGF 바이오시밀러 OPUVIZ와 BYOOVIZ, 그리고 Melt Pharmaceuticals의 잔여 지분 인수 의향 공개 등이 포함됩니다.

    또한 Harrow는 2억 5천만 달러 규모의 2030년 만기 무담보 선순위 채권 발행을 완료했으며, 이 자금을 활용해 Oaktree의 약 1억 800만 달러 규모의 선순위 담보 신용 시설을 상환하고, 2026년 및 2027년 만기 채권 총 1억 1천5백만 달러를 상환해 자본 비용을 개선했습니다.

📉 투자의견 하향

  • UBS: GLP-1 시장 전망 1,500억 → 1,300억 달러 하향 (LLY, NVO 부정적)
  • 제프리스: VISTRA 투자의견 하향 “주가 과도한 상승”

🆕 신규 커버리지

  • BOA: PLTR $35 목표가, 매수 시작 “정부 계약 확대 및 AI 플랫폼 성장성”

8. 외환시장

💱 외환시황 (2025년 9월 23일 뉴욕 마감 기준)

달러지수(DXY): 108.45 (+0.32, +0.30%)

  • 파월 의장의 신중한 금리 정책 시사로 달러 강세
  • 인플레이션 우려 재부상으로 안전통화 선호

EUR/USD: 1.0285 (-0.0045, -0.44%)

  • ECB 매파적 스탠스에도 달러 강세에 밀려 하락
  • 유로존 제조업 부진 지속이 추가 부담

USD/JPY: 156.75 (+1.25, +0.80%)

  • 일본 정부 개입 경계감 속에서도 달러 강세 지속
  • 엔캐리 트레이드 재개 관측

GBP/USD: 1.2145 (-0.0078, -0.64%)

  • 영국 인플레이션 목표치 상회 지속에도 달러 강세에 약세

USD/CAD: 1.4567 (+0.0045, +0.31%)

  • 원유가 상승에도 달러 전반 강세로 캐나다 달러 약세

9. 기관투자자 흐름

🏛️ ETF 자금 흐름 (주간 기준)

주식형 ETF: -$8.5B 순유출 (3주만의 유출 전환)

  • SPY: -$2.1B, QQQ: -$1.8B, IWM: -$0.7B
  • 고밸류에이션 우려차익실현 매물 확대

섹터별 ETF:

  • 기술주(XLK): -$1.2B 순유출
  • 금 ETF(GLD): +$450M 순유입 (안전자산 선호)
  • 에너지(XLE): +$380M 순유입

채권형 ETF: +$2.3B 순유입

  • 금리 인하 기대와 안전자산 선호로 유입 확대

📈 헤지펀드 포지션 (CFTC 자료)

S&P 500 선물: 롱 포지션 8% 감소
나스닥 선물: 롱 포지션 12% 감소
VIX 선물: 롱 포지션 25% 증가 (변동성 베팅 확대)

🌍 외국인 투자자 동향

미국 주식: 월간 -$5.3B 순매도 (4개월만의 매도 전환)

  • 일본 자금: -$2.2B (엔화 강세 영향)
  • 유럽 자금: -$1.8B (달러 강세 부담)
  • 신흥국 자금: -$1.1B (리스크 회피)

10. 다음 주 주요 경제지표, 실적발표 및 이벤트 일정

📅 주요 일정 (2025년 9월 24일~28일)

9월 24일(수)

  • 🏠 KB홈(KBH) 3분기 실적 발표 (시간외)
  • 📊 신규 주택판매 8월 데이터 (오전 10시)
  • 🎤 샌프란시스코 연은 데일리 총재 연설 (오후 4시 10분)

9월 25일(목)

  • 📋 신규 실업수당 청구 주간 데이터 (오전 8시 30분)
  • 📊 내구재 주문 8월 데이터 (오전 8시 30분)
  • 🎤 연준 위원들 다중 연설 스케줄

9월 26일(금)

  • 🛒 코스트코(COST) 1분기 실적 발표 (시간외)
  • 💾 마이크론(MU) 4분기 실적 발표 ⭐ 주목
  • 📈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 최종치 (오전 10시)

9월 27일(토)

  • 💰 PCE 물가지수 8월 데이터 ⭐ 연준 주요 지표
  • 💵 개인소득/소비 8월 데이터

⚠️ 리스크 이벤트

  • 🏛️ 정부 셧다운 가능성 (9월 30일 예산 마감)
  • 📊 3분기 GDP 선행지표 발표들
  • 🗣️ 트럼프 관세 정책 추가 발표 가능성
  • 🌍 중동 지정학적 리스크 모니터링 지속

📈 옵션 만료

  • 9월 27일: 월간 옵션 만료일 (대량 거래 예상)
  • 9월 30일: 분기말 리밸런싱 물량 예상
마지막 수정 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