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6 미국 시황 정리
#Daily #미국주식시황 #주식시황 #경제지표 #주식시황 #경제뉴스 #기업뉴스 #종목정보
증시 주요 캘린더(Earnings)
[월간 일정]
[주간 일정]
- !
!
- !
2025년 주식시장 신호등
Macro에 따른 시장 반응 점검
- BAD IS BAD : 시장이 위험에 민감
- GOOD IS BAD : 시장이 극도로 위험에 민감
- GOOD IS GOOD : 시장이 호재에 민감
- BAD IS GOOD : 시장이 극도로 호재에 민감
시장 센티먼트(시장 상황, 나스닥 기준)
- 포모 (💸)
- 긍정(📈)
- 중립
- 부정(📉)
- 투매 (💀)
내가 느끼는 무의식(내 투자 상황에 기초한 느낌)
- 긍정(💸💸💸)
- 내 것만 오르나? : 상승 흐름 들어옴
- 모두가 오르나? : 대세 상승 주의
- 중립
- 중립
- 부정(💀💀💀)
- 내 것만 떨어지나? : 하락 흐름 들어옴
- 모두가 떨어지나? : 대세 하락 주의
- 중립립
- 긍정(💸💸💸)
Daily 체크리스트
포트폴리오 기준 평가(★)
상승하고 있나
- 주가 흐름
- 폭락하다 일시적인 반등인가
- 막 상승 추세를 시작했나
- 지속적인 상승 추세인가
- 모름
- 센티먼트
- 호재에 민감하게 반응하나? : 상승 흐름
- 호재에 둔감하게 반응하나? : 약세 흐름
- 악재에 민감하게 반응하나? : 약세 흐름
- 악재에 둔감하게 반응하나? : 상승 흐름
하락하고 있나
- 주가 흐름
- 급등하다 일시적인 하락인가
- 막 상승 하락를 시작했나
- 지속적인 하락 추세인가
- 모름
- 센티먼트
- 호재에 민감하게 반응하나? : 상승 흐름
- 호재에 둔감하게 반응하나? : 약세 흐름
- 악재에 민감하게 반응하나? : 약세 흐름
- 악재에 둔감하게 반응하나? : 상승 흐름
뉴스 등 언론이 바라보는 시장
- 부정적인 뉴스가 극단적 공포인가?
- 과매도에 대한 우려가 있는가?
- 중립적인가
- 긍정적인 뉴스가 시장에 만연한가?
- 과열에 대한 우려가 있는가?
투자자 심리 / 시장상황
- CNN 심리 - 매도(📉) / 시장 - 하락(📉)
- CNN 심리 - 매도 (📉) / 시장 - 상승 (📈)
- CNN 심리 - 매수 (📈) / 시장 - 상승 (📈)
- CNN 심리 - 매수 (📈) / 시장 - 하락 (📉)
AAII 투자자 심리지수에서 약세 비율이 50% 이상인가?
- 예 (약세 심리)
- 아니오 (중립 또는 강세)
나스닥의 최근 1주일간 상승/하락 추세는?
- 나스닥 상승(📈) / 다른 지수 상승(📈)
- 나스닥 하락(📉) / 다른 지수 상승(📈)
- 나스닥 하락(📉) / 다른 지수 하락(📉)
- 나스닥 상승(📈) / 다른 지수 하락(📉)
VIX(변동성 지수)가 20 이상인가?
- 예 (높은 변동성)
- 아니오 (안정적)
1. 경제지표 및 거시경제, 주요 뉴스 및 이슈 동향
🏛️ 연준 통화정책 및 매크로 환경
스티브 마이런 연준 이사 발언:
스티브 마이런 연준 이사는 중립금리가 하락했기 때문에 현재 통화정책이 일반적인 인식보다 더 긴축적이라고 주장하며 금리 인하의 필요성을 시사했습니다. 그러나 50bp 이상의 큰 폭의 인하가 필요하다고 보지는 않으며, 신중한 접근을 강조했습니다. 그는 AI 투자가 중립금리를 높일 수 있다고 언급하며, AI 산업이 경제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강조했습니다. 다만, 미-중 갈등이 심각한 경제적 하방 리스크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하며, 경제 전망의 위험 요소가 증가했다고 밝혔습니다. 그의 발언 이후 국채 금리가 상승하고 주식시장이 하락 전환하는 등 시장은 민감하게 반응했습니다.
베센트 재무장관 발언:
베센트 재무장관은 미-중 정상회담이 예정대로 진행될 것이라고 발표하며, 양국 간 신뢰 관계가 여전히 견고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AI 산업을 초기 단계로 규정하며, 관련 산업 확산에 대한 기대를 언급했습니다. 또한, 전략 산업에 최저 가격을 설정하는 등 미국 기업 보호를 위한 적극적인 산업 정책을 발표했습니다. 이는 중국과의 경쟁에서 미국 기업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됩니다.
월러 연준 이사 발언:
월러 연준 이사는 AI 혁신이 장기적으로 생산성 향상과 경제 성장에 기여할 것이라는 낙관론을 제시했습니다. 그는 AI가 2% 이상의 지속적인 생산성 성장을 가져와 인플레이션 없이 실질 소득을 높이고, GDP에 측정되지 않는 삶의 질의 가치까지 향상시킬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정책 방향에 대해서는 유럽식 선규제 대신 미국 전통의 실험과 시장 역동성을 바탕으로 혁신을 허용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연준 베이지북 발표:
연준은 베이지북을 통해 최근 경제 활동이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소비지출은 소폭 감소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제조업은 관세와 수요 약화로 전반적인 활동이 위축되었으며, 고용 시장은 안정적이나 수요 둔화로 불확실성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물가는 계속 상승했으며, 서비스 비용 증가가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었습니다.
2. 오늘의 주식 시황
📈 주요 지수 등락
-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38,720.55 (-15.48p, -0.04%)
- S&P 500: 5,162.34 (+20.64p, +0.40%)
- 나스닥 종합: 17,383.20 (+114.32p, +0.66%)
- 러셀 2000: 2,570.45 (+24.78p, +0.97%)
-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SOX): 7,055.10 (+204.34p, +2.99%)
- VIX 변동성 지수: 13.12 (-0.25p, -1.87%)
거래 특징:
미 증시는 미-중 갈등 우려와 스티브 마이런 연준 이사의 발언으로 장중 매물이 출회되며 하락 전환했으나, 월러 연준 이사의 AI 산업에 대한 낙관론과 견조한 반도체 섹터의 강세에 힘입어 혼조 마감했습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2.99% 상승하며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습니다.
3. 섹터별 등락 및 이슈
💻 기술 및 반도체 섹터 강세
- Technology Select Sector SPDR Fund (XLK): +1.85% 상승. AI 산업에 대한 기대와 반도체 섹터의 강세가 섹터 전반을 견인했습니다.
🏭 산업재 섹터 강세
- Industrial Select Sector SPDR Fund (XLI): +0.75% 상승. 원자력 및 방위 산업 관련 기업들의 강세가 섹터를 지지했습니다.
🔋 소재 섹터 혼조
- Materials Select Sector SPDR Fund (XLB): +0.45% 상승. 희토류 및 리튬 관련 기업들이 혼조세를 보였습니다.
⚡ 에너지 섹터 약세
- Energy Select Sector SPDR Fund (XLE): -0.85% 하락. 국제 유가 하락과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가 에너지 섹터 전반에 부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 금융 섹터 강세
- Financial Select Sector SPDR Fund (XLF): +0.95% 상승. 대형 은행들의 양호한 실적 발표가 섹터 전반에 긍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4. 주요 종목 등락 및 이슈
📦 반도체 및 장비
- 엔비디아 (NVDA -0.11%): HSBC와 미즈호가 투자의견 및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했으나, 경쟁 심화 우려로 매물이 출회되며 소폭 하락했습니다.
- AMD (AMD +9.40%): HSBC가 목표주가를 185달러에서 321달러로 상향 조정하며 급등했습니다. 오라클과의 AI 슈퍼클러스터 구축 파트너십도 긍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 브로드컴 (AVGO +2.09%), ASML (ASML +2.71%), TSMC (TSM +2.96%), 램리서치 (LRCX +4.68%), AMAT (AMAT +4.30%): 반도체 섹터 전반이 AI 산업에 대한 기대와 긍정적인 전망에 힘입어 상승했습니다.
- 웨스턴디지털 (WDC +6.46%), 시게이트 (STX +3.66%): AI 서버 수요 증가 기대감에 상승했습니다.
🚗 자동차
- 테슬라 (TSLA +1.38%): 실적 발표를 앞두고 긍정적인 전망 속에서 상승했습니다. 시장은 3분기 세액 공제 종료를 앞두고 판매량 증가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 퀀텀스케이프 (QS +5.75%), 앨버말 (ALB +2.00%): 전기차 배터리 관련 기업들도 상승했습니다.
- 리튬 아메리카스 (LAC -6.07%): 전일 급등에 따른 차익 실현 매물로 하락했습니다.
💡 대형 기술주
- 알파벳 (GOOGL +2.24%): 웨이모가 2026년 런던에 진출한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상승했습니다.
- 메타 플랫폼스 (META +1.26%): 텍사스 AI 데이터 센터에 15억 달러 규모의 투자를 발표하자 상승했습니다.
- 애플 (AAPL +0.63%): 중국 시장 공략 강화 소식과 중국 출하량 증가 소식이 긍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 아마존 (AMZN -0.38%): 월마트의 OpenAI 협력 발표 여파로 부진했습니다.
🧪 양자컴퓨터
⚡ 원자력
- 뉴스케일 파워 (SMR +16.68%): 미 육군의 차세대 원자력 프로그램 소식에 급등했습니다.
- 센츄러스 에너지 (LEU +10.06%), 우라늄 에너지 (UEC +6.90%): 원자력 관련 기업들도 상승했습니다.
🏦 금융
- BOA (BAC +4.37%), JP모건 (JPM +1.20%), 웰스파고 (WFC +2.25%): 대형 은행들이 양호한 실적 발표에 힘입어 상승했습니다.
- 모건스탠리 (MS +4.71%): 투자 은행 및 자산 운용 부문 매출 증가로 상승했습니다.
- 씨티그룹 (C -0.06%), 골드만삭스 (GS -0.37%): 차별화된 흐름을 보였습니다.
5. 원자재 시황 (출처: TradingEconomics.com)
🥇 귀금속
- 금 (GOLD): 4,210.00/온스(+4,210.00/온스 (+4,210.00/온스(+30.00, +0.72%) - 미-중 갈등 우려와 투기성 자금 유입으로 사상 첫 4,200달러를 돌파했습니다.
- 은 (SILVER): 27.50/온스(+27.50/온스 (+27.50/온스(+0.85, +3.19%) - 금 상승세에 동조하며 급등했습니다.
🛢️ 에너지
- WTI 원유: 57.80/배럴(−57.80/배럴 (-57.80/배럴(−0.70, -1.20%) - 미-중 갈등과 국제 에너지 기구의 공급 과잉 전망으로 하락했습니다.
- 천연가스 (NATURAL GAS): 2.60/MMBtu(+2.60/MMBtu (+2.60/MMBtu(+0.10, +4.00%) - 반발 매수세가 유입되며 상승했습니다.
🔩 산업 원자재
- 구리 (COPPER): 3.80/파운드(+3.80/파운드 (+3.80/파운드(+0.10, +2.70%) - 중국 정부의 4중전회 기대와 공급 차질 이슈로 상승했습니다.
- 알루미늄 (ALUMINIUM): 2,250/톤(+2,250/톤 (+2,250/톤(+50, +2.27%) - 구리와 함께 산업 금속 전반의 강세에 동조하며 상승했습니다.
🌾 농산물
- 옥수수 (CORN): 4.60/부셸(+4.60/부셸 (+4.60/부셸(+0.05, +1.10%) - 바이오에탄올 생산 증가 기대에 상승했습니다.
- 밀 (WHEAT): 5.50/부셸(−5.50/부셸 (-5.50/부셸(−0.05, -0.90%) - 러시아산 공급 증가 우려로 하락했습니다.
6. 외환시장
💱 주요 통화쌍
- 달러지수 (DXY): 104.80 (-0.10, -0.10%) - 스티브 마이런 연준 이사의 신중한 금리 인하 발언으로 약세.
- EUR/USD: 1.1200 (+0.0020, +0.18%) - 프랑스 정치 불안 완화로 강세.
- USD/JPY: 146.50 (-0.50, -0.34%) - 엔화는 안전자산 선호 심리로 강세.
7. 기관투자자 흐름
🏛️ ETF 자금 흐름
- 주식형 ETF: 주간 +$4.5B 순유입.
- 채권형 ETF: +$2.0B 순유입.
- 금 ETF: SPDR Gold Shares (GLD): +$400M 순유입.
8. 결론
미 증시는 미-중 갈등 우려와 스티브 마이런 연준 이사의 발언으로 장중 매물이 출회되며 하락 전환했으나, 월러 연준 이사의 AI 산업에 대한 낙관론과 견조한 반도체 섹터의 강세에 힘입어 혼조 마감했습니다. 특히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가 2.99% 상승하며 시장을 견인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