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2 미국 시황 정리
#Daily #미국주식시황 #주식시황 #경제지표 #주식시황 #경제뉴스 #기업뉴스 #종목정보 #재테크
미 증시는 코어위브(-16.31%)의 실적 발표 여파로 AI 관련 기업들이 위축되며 나스닥 중심으로 하락했습니다. 그렇지만, 케빈 헤셋 전 백악관 경제고문의 긍정적인 경제 전망과 셧다운 종료 기대 등으로 전반적인 경제에 대한 자신감이 유입되며 다우지수는 상승하는 힘을 보였습니다. 결국 시장은 AI 산업 고평가 논란으로 나스닥이 하락한 반면, 애플(+2.16%)과 제약주들의 강세에 힘입어 다우가 상승하는 차별화된 모습을 보이며 혼조 마감했습니다.
1. 오늘의 주식 시황
📈 주요 지수 등락
-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39,860.45 (+1.18%)
- S&P 500: 5,287.10 (+0.21%)
- 나스닥 종합: 17,600.30 (-0.25%)
- 러셀 2000: 2,568.20 (+0.11%)
-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SOX): 7,118.85 (-2.48%)
- VIX 변동성 지수: 17.31 (-1.6%)
2. 경제지표 및 거시경제, 주요 뉴스 및 이슈 동향
🏛️ 연준 통화정책 및 매크로 환경
AI 인프라 산업의 구조적 불안 요소 부각:
코어위브(CoreWeave, -16.31%)가 예상을 상회하는 실적에도 불구하고 큰 폭으로 하락한 것은 AI 인프라 산업 전반에 내재된 구조적인 불안 요소를 명확히 드러냈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 물리적 인프라 공급망 제약: 코어위브 경영진은 폭발적인 AI 수요에도 불구하고 개발 파트너의 일정 지연으로 2025년 매출 전망치를 하향 조정했습니다. 이는 데이터센터 구축에 필수적인 전력 변압기 등 물리적 인프라의 공급망 병목 현상이 AI 성장의 속도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즉, 수요가 아무리 많아도 물리적 건설 능력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수익 실현이 지연될 수 있다는 근본적인 위험을 시사합니다.
- 과도한 부채 레버리지와 재정 건전성 우려: 코어위브는 AI 인프라 확충을 위해 총부채가 급증했으며, 이로 인한 막대한 이자 비용을 지불해야 합니다. 이는 AI 산업이 성장을 위해 대규모 자본 지출을 필요로 하고, 이를 높은 부채로 충당하는 모델이 재정적으로 지속 가능한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합니다. 만약 AI 수요가 둔화되거나 공급망 지연이 장기화된다면 이자 비용 등으로 인한 재정 건전성에 불안을 줄 수 있다는 점이 부각되었습니다.
이러한 소식에 AI 관련 투자 심리가 위축되었고, 특히 차입 발표했던 기업들, 수익화 논란 등이 유입되며 반도체를 비롯한 AI 관련 종목 대부분이 부진했습니다. 다만, 장 마감 후 AMD(-2.65%)가 마진율 상향 조정 발표로 시간 외 4% 상승하는 등 시장은 AI 산업에 대한 기대 또한 높은 상태입니다.
미국 경제에 대한 자신감 표명:
연준의장 후보 중 한 명으로 거론되는 케빈 헤셋 전 백악관 경제고문은 2026년 초까지 미국 경제 성장이 3~4% 수준으로 회복될 것이라며 경제에 대한 강한 자신감을 표명했습니다. 그는 물가가 안정되고 있으며 생산성도 3% 수준으로 추정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러한 생산성과 자본 축적이 겹치면 폭발적인 경제 성장이 가능하며, 특히 이번 성장은 공급 측면에서 진행되고 있어 물가 압력 없이 경제 확장이 가능하다고 언급했습니다. 이 발언은 AI 산업 불안으로 인한 나스닥의 약세에도 불구하고 다우지수의 강세를 지지하는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셧다운 종료 기대:
정부 셧다운 종료에 대한 기대감이 지속되면서 경제 전반의 불확실성이 완화되는 분위기가 형성되었습니다. 이는 시장의 투자 심리 개선에 기여하며 다우지수 상승을 지지했습니다.
🌍 글로벌 이슈 및 지정학적 리스크
중국 희토류 및 AI 기술 발전:
중국이 양자 컴퓨팅 관련 새로운 아키텍처를 발표하는 등 기술력을 과시하고 있는 상황에서, 시카고 대학과 아이온큐의 양자 연구 협력 소식 및 소프트뱅크의 엔비디아 지분 매도 소식은 미-중 기술 경쟁 구도 속에서 AI 및 첨단 기술 산업의 역학 관계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불러일으켰습니다.
3. 섹터별 등락 및 이슈
💊 제약 및 헬스케어 섹터 강세
- Health Care Select Sector SPDR Fund (XLV): +1.50% 상승. 일라이릴리, 노보노디스크 등 비만치료제 관련 기업들의 강세와 머크 등 대형 제약사들의 호재가 섹터 전반을 견인했습니다. 특히 소형 제약주들도 강세를 보이며 투자 심리가 크게 개선되었습니다.
💻 기술 및 반도체 섹터 약세
- Technology Select Sector SPDR Fund (XLK): -0.55% 하락. 코어위브 사태로 촉발된 AI 인프라 산업의 구조적 불안과 소프트뱅크의 엔비디아 지분 매도 소식이 반도체 및 AI 관련 기업들의 투자 심리를 위축시켰습니다.
📈 경기소비재 섹터 강세
- Consumer Discretionary Select Sector SPDR Fund (XLY): +0.70% 상승. 리비안 등 일부 전기차 기업들의 강세와 애플, 아마존 등 대형 기술주의 견조한 흐름이 섹터를 지지했습니다.
🔋 에너지 및 유틸리티 섹터 약세
- Energy Select Sector SPDR Fund (XLE): -0.75% 하락. AI 인프라 산업의 투자 위축 우려가 원자력, 우라늄, 전력망 관련 기업들의 매물 출회로 이어졌습니다.
4. 주요 종목 등락 및 이슈
📦 반도체 및 장비
- 엔비디아 ([[NVDA]] -2.96%): 소프트뱅크가 보유 지분 전량을 매도했다는 소식과 코어위브 사태로 촉발된 AI 버블 논란이 겹치며 하락했습니다.
- AMD ([[AMD]] -2.65%): 투자자의 날 행사에서 AI 시장의 폭발적인 성장 전망을 제시했음에도 불구하고, AI 산업 전반의 불안 심리에 영향을 받아 하락 마감했습니다. 다만 장 마감 후 마진율 상향 조정 발표로 시간 외 거래에서 4% 이상 급등했습니다.
-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MU]] -4.81%): AI 산업의 메모리 부족 전망에도 불구하고, 반도체 섹터 전반의 투자 심리 위축으로 하락했습니다.
- TSMC ([[TSM]] -1.39%), 램리서치 ([[LRCX]] -4.32%): 반도체 섹터 전반의 하락 흐름에 동조했습니다.
- 퀄컴 ([[QCOM]] +1.40%): 최근 양호한 실적 발표 후 AI 전략과 강력한 현금 흐름에 대한 긍정적인 재평가로 상승했습니다.
⚡ 원자력, 우라늄, 전력망
- 오클로 ([[OKLO]] -6.55%): 미 에너지부의 연료 제조 시설 승인 소식에도 불구하고, AI 산업에서 부각된 공급망 불안 이슈와 예상보다 부진한 실적 발표(시간 외 4%대 추가 하락)로 하락했습니다.
- 뉴스케일 파워 ([[SMR]] -5.94%), 나노뉴클리어에너지 ([[NNE]] -4.67%): AI 인프라 투자 위축 및 재정 건전성 우려가 원자력 기업들의 하락을 이끌었습니다.
- 우라늄 에너지 ([[UEC]] -4.91%), 센트러스 에너지 ([[LEU]] -5.05%), 에너지 퓨얼스 ([[UUUU]] -4.91%): 우라늄 관련 기업들도 부진했습니다.
- 컨스텔레이션 에너지 ([[CEG]] -2.57%), 비스트라 ([[VST]] -4.84%): 전력망 기업들도 하락했습니다.
🚗 자동차
- 테슬라 ([[TSLA]] -1.26%): 10월 중국 판매량이 3년 내 최저치를 기록하며 경쟁 심화와 수요 감소에 대한 우려가 부각되자 하락했습니다.
- 리비안 ([[RIVN]] +9.81%): 최근 실적 발표 후 미래 성장 기대감이 지속적으로 반영되며 큰 폭으로 상승했습니다.
- GM ([[GM]] +0.24%), 포드 ([[F]] +1.06%): 경기 회복에 대한 자신감과 향후 판매 증가 기대감에 상승했습니다.
- 퀀텀스케이프 ([[QS]] -2.27%): 2차전지 기업들은 전반적으로 부진했습니다.
💡 대형 기술주 (FAAMG)
- 애플 ([[AAPL]] +2.16%): 자본 지출에 대한 신중한 접근과 견고한 재무 구조 덕분에 잠재적인 ‘안전자산’으로 평가받으며 상승했습니다. TSMC의 2nm 생산 능력 확보 소식도 긍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 마이크로소프트 ([[MSFT]] +0.53%): 포르투갈에 100억 달러 규모의 데이터센터 투자를 발표하자 상승했습니다.
- 아마존닷컴 ([[AMZN]] +0.28%): 에버코어의 ‘아마존이 AI에서 승리할 것’이라는 전망과 연말 쇼핑 시즌 기대감에 견조한 흐름을 보였습니다.
- 알파벳 ([[GOOGL]] +0.40%): 독일에 AI 인프라 포함 55억 유로 투자를 확정하며 강세를 보였습니다.
- 메타 플랫폼스 ([[META]] -0.74%): 과도한 자본 지출에 대한 불안감과 AI 연구원 사임 소식으로 하락했습니다.
🇨🇳 중국 기업
- 알리바바 ([[BABA]] -3.07%): 광군절 매출 둔화 가능성 보도와 소프트뱅크의 엔비디아 지분 매도 소식에 따른 AI 산업 불안 심리 자극으로 하락했습니다.
- 바이두 ([[BIDU]] -0.28%): AI 산업 불안 심리에 영향을 받아 매물 소화했습니다.
- 진둥닷컴 ([[JD]] +0.64%): 광군절 매출 급증으로 성장 모멘텀 강화 기대감에 상승했습니다.
- 샤오펑 ([[XPEV]] +7.80%): 최근 AI Day에서 발표한 긍정적인 미래 전략과 로봇, 비행 자동차에 대한 기대감으로 급등했습니다.
💻 소프트웨어
-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 ([[PLTR]] -1.37%): 빅베어AI의 국방 부문 투자 확대 소식으로 경쟁 심화 우려가 제기되자 하락했습니다.
- 오라클 ([[ORCL]] -1.94%): 코어위브 사태 여파로 AI 데이터센터 등 자본 투자에 대한 불안이 영향을 미치며 하락했습니다.
- 세일즈포스 ([[CRM]] +1.15%), 서비스나우 ([[NOW]] +0.65%), 어도비 ([[ADBE]] +1.33%): 하드웨어 부문보다 향후 성장 기대감이 높다는 평가에 강세를 보였습니다.
🧪 양자컴퓨터
- 아이온큐 ([[IONQ]] -1.72%): 시카고 대학교가 보유한 210만 주 재판매 등록 서류를 제출했다는 소식에 하락했습니다. 이는 양자 컴퓨팅 기업들의 재정 건전성 및 수익성 개선에 대한 시장의 우려를 반영합니다.
- 리게티 컴퓨팅 ([[RGTI]] -5.08%): 예상보다 양호한 실적 발표에도 불구하고, 시장이 수익성 악화에 더 주목하며 하락했습니다.
💊 제약주
- 일라이 릴리 앤 컴퍼니 ([[LLY]] +4.57%): 약가 인하 합의로 비만치료제 대량 판매가 시작되고 있다는 소식과 리링크의 목표주가 상향 조정으로 급등하며 시가총액 1조 달러에 근접했습니다.
- 노보 노디스크 ([[NVO]] +6.99%): 메세라 인수 경쟁에서 물러난 후 긍정적인 영향을 받았으며, 인도에서의 가격 인하를 통한 매출 증가 기대도 반영되어 상승했습니다.
- 머크 ([[MRK]] +4.84%): 심장약이 콜레스테롤 수치를 크게 감소시키는 효능을 발표하자 상승했습니다.
- 암젠 ([[AMGN]] +4.57%), 리제네론 파마슈티컬스 ([[REGN]] +3.03%), 길리어드 사이언스 ([[GILD]] +3.73%), 애브비 ([[ABBV]] +2.95%): 대부분의 제약주는 투자 심리 개선과 바이오헬스케어 관련 컨퍼런스 기대감에 상승했습니다.
₿ 암호화폐 관련주
- 비트코인 (BTC): $105,000 (-4.46%) - 중국 정부가 2020년 발생한 대규모 비트코인 해킹 사건과 관련하여 미국이 역할을 했다는 의혹을 제기하자 부진했습니다. 고래들의 매도세가 지속되고 이를 받아줄 수급 주체가 부족하다는 점도 불안감을 확대했습니다.
- 스트래티지 ([[MSTR]] -3.15%), 라이엇 플랫폼 ([[RIOT]] -6.81%), 코인베이스 ([[COIN]] -4.38%): 암호화폐 관련주 전반이 부진했습니다.
5. 원자재 시황
🛢️ 에너지
- WTI 원유: $63.00/배럴 (+0.80%) - 셧다운 종료 기대와 미국 생산성 증가에 따른 경기 기대감이 유입되며 수요 회복을 이유로 상승했습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이슈도 하방 경직성을 제공했습니다.
- 미국 천연가스 (NATURAL GAS): $4.50/MMBtu (+7.14%) - 추운 날씨에 대한 전망과 그에 따른 수요 증가 등을 이유로 큰 폭의 상승세를 지속했습니다.
🥇 귀금속
- 금 (GOLD): $4,100.00/온스 (+0.00%) - 셧다운 불확실성 해소와 재정 불안 등을 이유로 보합권 등락을 보였습니다.
- 은 (SILVER): $26.30/온스 (+1.15%) - 상승했습니다.
- 플래티넘 (PLATINUM): $930.00/온스 (+0.54%) - 소폭 상승했습니다.
🔩 산업 원자재
- 구리 (COPPER): $4.00/파운드 (+3.80%) - LME 시장에서 셧다운 종료 기대와 중국 물가 개선, 칠레 구리 생산량 감소(9월 7.2% 감소)에 따른 공급 부족 우려로 크게 상승했습니다.
- 니켈 (NICKEL): $17,400/톤 (-0.29%) - 하락했습니다.
- 알루미늄 (ALUMINIUM): $2,290/톤 (+0.00%) - 보합세를 보였습니다.
🌾 농산물
- 대두 (SOYBEANS): $11.45/부셸 (-0.43%) - 아시아 국가들의 구매 발표가 없다는 점에 소폭 하락했습니다.
- 밀 (WHEAT): $5.45/부셸 (+0.00%) - 소폭 상승했습니다.
- 옥수수 (CORN): $4.40/부셸 (+0.00%) - 소폭 상승했습니다.
6. 가상화폐 시황
₿ 주요 암호화폐
- 비트코인 (BTC): $105,000 (-4.46%) - 중국 정부의 대규모 비트코인 해킹 사건 관련 미국 연루 의혹 제기와 고래들의 매도세 지속으로 부진했습니다.
- 이더리움 (ETH): $3,650 (-2.67%) - 비트코인과 함께 하락했습니다.
7. 기관투자자 흐름
🏛️ ETF 자금 흐름
- MSCI 한국 증시 ETF: -0.40% 하락.
- MSCI 신흥지수 ETF: +0.11% 상승.
-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ETF: -2.48% 하락.
📈 헤지펀드 포지션 (CFTC 자료 기준)
- S&P 500 선물: 롱 포지션 1% 감소.
- 나스닥 선물: 롱 포지션 2% 감소.
- VIX 선물: 롱 포지션 3% 증가.
🌍 외국인 투자자 동향 (Bloomberg, WSJ 기준)
- 미국 주식: 월간 +$6.8B 순매수 (매수세 지속).
8. 다음 주 주요 경제지표, 실적발표 등 일정
📅 주요 일정 (2025년 11월 11일~11월 15일)
11월 11일(월):
- 미국: 투자자의 날(AMD), 연준 위원 발언.
- 장전 실적: 퍼블릭 서비스(PEG), 바이오엔텍(BNTX), 온 세미(ON).
- 장후 실적: 팔란티어(PLTR), 버텍스파마(VRTX), SPG(SPG), 리얼티인컴(O), 힘스앤허스(HIMS), 쿼보(QRVO), 에너지 푸얼스(UUUU).
11월 12일(화):
- 미국: 수출입동향(8월), JOLTs, 공장재주문.
- 보고서: FOMC 금융안정 보고서.
- 발언: 보우만 부의장(은행 감독, 통화정책).
- 장전 실적: 소피파이(SHOP), 우버(UBER), 화이자(PFE).
- 장후 실적: AMD(AMD), 아리스타네트웍(ANET), 암젠(AMGN), 쿠팡(CPNG), 슈퍼마이크로컴퓨터(SMCI), 아스트라랩(ALAB), 핀터레스트(PINS), 리비안(RIVN), 템퍼스AI(TEM), 아스트로닉스(ATRO).
11월 13일(수):
- 미국: ADP 민간고용보고서, ISM 서비스업지수.
- 행사: 중국 국제수입 박람회(~10일)-TSLA 등 참여.
- 장전 실적: 노보노디스크(NVO), 맥도날드(MCD), 휴매나(HUM), 유니티 소프트웨어(U).
- 장후 실적: 아이온큐(IONQ), 앱로빈(APP), 퀄컴(QCOM), ARM(ARM), 로빈후드(HOOD), 도어대시(DASH), 포티넷(FTNT), 앨버말(ALB), 리프트(LYFT), 조비항공(JOBY), 센츄러스 에너지(LEU).
11월 14일(목):
- 미국: 3분기 생산성, 단위노동비용.
- 발언: 바 이사, 월러 이사(중앙은행과 디지털화폐).
- 기업: 테슬라 주주총회.
- 장전 실적: 디웨이브 퀀텀(QBTS), 아스트라제네카(AZN), 코노코필립스(COP), 비스트라(VST), 데이터독(DDOG), 모더나(MRNA).
- 장후 실적: 뉴스케일파워(SMR), 에어비앤비(ABNB), EOG리소스(EOG), 마이크로칩테크(MCHP), 샌디스크(SNDK), 트레이드 데스크(TTD), 어펌홀딩스(AFRM), 선런(RUN), 아처항공(ACHR).
11월 15일(금):
- 미국: 소비자심리지수, 고용보고서.
- 발언: 제퍼슨 부의장(AI와 경제), 마이런 이사(스테이블코인과 통화정책).
- 행사: 2025 영국 양자 기술 쇼케이스(IONQ 참가).
- 장전 실적: 컨스텔레이션 에너지(CEG), 듀크에너지(DUK).
주간 이슈 점검:
- AI 산업 동향: 코어위브 사태로 촉발된 AI 인프라 투자 및 재정 건전성 논란이 지속될 전망입니다. AMD의 투자자의 날 행사 발표 내용 및 실적 시즌에 따른 개별 기업들의 수익화 전략이 중요하게 작용할 것입니다.
- 셧다운 리스크 완화: 셧다운 종료에 대한 기대감이 유지되면서 시장의 불확실성은 다소 완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 연말 소비 시즌 전망: 소비자 심리 지표와 기업들의 연말 쇼핑 시즌 전망이 시장의 주요 변수가 될 것입니다.
9. 외환시장
💱 주요 통화쌍
- 달러지수(DXY): 105.50 (+0.00%) - 소기업 낙관지수 부진과 ADP 고용시장 불안에도 불구하고 경기 자신감 유입으로 약세는 제한적이며 보합권 등락을 보였습니다.
- USD/JPY: 154.50 (+0.32%) - 대규모 경기 부양책 추진과 완화적인 통화 정책 지원 기대를 반영하며 엔화가 달러 대비 약세를 보였습니다.
- EUR/USD: 1.1180 (-0.27%) - 유로존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에도 불구하고 달러 강세에 따라 유로화가 달러 대비 약세를 보였습니다.
- USD/CNH: 7.2900 (+0.14%) - 역외 위안화는 소폭 약세를 보였습니다.
- USD/MXN: 18.25 (-0.08%) - 멕시코 페소, 브라질 헤알 등 신흥국 환율은 달러 대비 혼조세를 보였습니다.
10. 결론
미 증시는 AI 인프라 산업의 구조적 불안 요소와 고평가 논란으로 나스닥이 하락했으나, 케빈 헤셋 전 백악관 경제고문의 긍정적인 경제 전망과 셧다운 종료 기대감, 그리고 애플 및 제약주들의 강세에 힘입어 다우지수는 상승하는 차별화된 모습을 보였습니다. 특히 코어위브 사태는 AI 산업 전반의 재정 건전성과 공급망 병목 현상에 대한 우려를 증폭시켰지만, AMD의 마진율 상향 조정 발표와 같은 긍정적인 소식도 시장에 혼재되어 존재했습니다.
증시 주요 캘린더(Earnings)
[월간 일정]
[주간 일정]
주식시장 신호등
Macro에 따른 시장 반응 점검
- BAD IS BAD : 시장이 위험에 민감
- GOOD IS BAD : 시장이 극도로 위험에 민감
- GOOD IS GOOD : 시장이 호재에 민감
- BAD IS GOOD : 시장이 극도로 호재에 민감
시장 센티먼트(시장 상황, 나스닥 기준)
- 포모 (💸)
- 긍정(📈)
- 중립
- 부정(📉)
- 투매 (💀)
내가 느끼는 무의식(내 투자 상황에 기초한 느낌)
- 긍정(💸💸💸)
- 내 것만 오르나? : 상승 흐름 들어옴
- 모두가 오르나? : 대세 상승 주의
- 중립
- 중립
- 부정(💀💀💀)
- 내 것만 떨어지나? : 하락 흐름 들어옴
- 모두가 떨어지나? : 대세 하락 주의
- 내 것이 특히 더 많이 떨어지나? : 운세 반전 주의
- 중립
- 긍정(💸💸💸)
Daily 체크리스트
포트폴리오 기준 평가(★)
상승하고 있나
- 주가 흐름
- 폭락하다 일시적인 반등인가
- 막 상승 추세를 시작했나
- 지속적인 상승 추세인가
- 모름
- 센티먼트
- 호재에 민감하게 반응하나? : 상승 흐름
- 호재에 둔감하게 반응하나? : 약세 흐름
- 악재에 민감하게 반응하나? : 약세 흐름
- 악재에 둔감하게 반응하나? : 상승 흐름
하락하고 있나
- 주가 흐름
- 급등하다 일시적인 하락인가
- 막 상승 하락를 시작했나
- 지속적인 하락 추세인가
- 모름
- 센티먼트
- 호재에 민감하게 반응하나? : 상승 흐름
- 호재에 둔감하게 반응하나? : 약세 흐름
- 악재에 민감하게 반응하나? : 약세 흐름
- 악재에 둔감하게 반응하나? : 상승 흐름
뉴스 등 언론이 바라보는 시장
- 부정적인 뉴스가 극단적 공포인가?
- 과매도에 대한 우려가 있는가?
- 중립적인가
- 긍정적인 뉴스가 시장에 만연한가?
- 과열에 대한 우려가 있는가?
투자자 심리 / 시장상황
- CNN 심리 - 매도(📉) / 시장 - 하락(📉)
- CNN 심리 - 매도 (📉) / 시장 - 상승 (📈)
- CNN 심리 - 매수 (📈) / 시장 - 상승 (📈)
- CNN 심리 - 매수 (📈) / 시장 - 하락 (📉)
- CNN 심리 - 중립 (-) / 시장 - 하락 (📉)
- CNN 심리 - 중립 (-) / 시장 - 상승 (📈)

AAII 투자자 심리지수에서 약세 비율이 50% 이상인가?
- 예 (약세 심리)
- 아니오 (중립 또는 강세)
나스닥의 최근 1주일간 상승/하락 추세는?
- 나스닥 상승(📈) / 다른 지수 상승(📈)
- 나스닥 하락(📉) / 다른 지수 상승(📈)
- 나스닥 하락(📉) / 다른 지수 하락(📉)
- 나스닥 상승(📈) / 다른 지수 하락(📉)
VIX(변동성 지수)가 20 이상인가?
- 예 (높은 변동성)
- 아니오 (안정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