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st Buy Q2 2026 실적발표
#미국주식실적 #종목실적 #실적발표 #EARNINGS #BBY #미국주식
Q2 2026 Best Buy(BBY) 실적 발표 요약(2025-08-29)
주요 실적 지표
- 매출: $94억 (전년 대비 +1.6%)
- 조정 영업이익률: 3.9%
- 조정 EPS: $1.28
- 국내 매출: $87억 (전년 대비 +1.1%)
- 해외 매출: $7.4억 (전년 대비 +11.3%)
주요 성장 품목
- Nintendo Switch 2:
- 신제품 출시로 게임 부문 매출 급증.
- 관련 액세서리(헤드셋, 컨트롤러 등)와 함께 높은 수요를 기록.
- 컴퓨터 및 모바일:
- HP, Lenovo 등 주요 브랜드 제품 판매 증가.
- 모바일 액세서리(케이스, 충전기 등) 라인업 3배 확대.
- 웨어러블 및 헤드폰:
- 최신 기술을 탑재한 제품군으로 소비자 관심 증가.
- Razer, Corsair 등 고급 게이밍 헤드셋 판매 호조.
전략적 이니셔티브
- Best Buy Marketplace:
- 온라인 제품 수 6배 확대.
- 새로운 카테고리(가구, 스포츠 용품, 계절 장식 등) 추가.
- IKEA와의 파일럿 제휴:
- 일부 매장에서 가구와 전자제품의 통합 쇼핑 경험 제공.
- 공급망 현대화:
- FedEx를 주요 택배사로 선정하여 배송 효율성 강화.
리스크 및 대응
- 저마진 제품 비중 증가:
- 게임 및 컴퓨터 제품군의 비중 확대에 따른 마진 압박.
- 관세 불확실성:
- 관세 상승으로 인한 비용 증가를 벤더와 협력하여 최소화.
경쟁사 판매 전략 비교
1. RH (Restoration Hardware)
- 주요 사업 현황: 고급 가구 및 라이프스타일 소매업체
- 매출: $8.14억 (2026년 1분기, 전년 대비 +12%)
- 순이익: $804만 (전년 동기 순손실에서 흑자 전환)
- 판매 전략:
- 프리미엄 갤러리 확장: 북미 및 유럽(파리, 런던, 밀라노) 신규 매장 오픈
- Waterworks 브랜드 통합: 고급 욕실 및 주방 제품을 RH 플랫폼에 추가
- 인테리어 디자인 서비스 강화: RH Interior Design Studio를 통해 고급 소비자 타겟팅
- 레스토랑 및 카페 포함: 매장 내 고객 경험 극대화.
2. Wayfair (W)
- 주요 사업 현황: 온라인 가구 및 홈 데코 플랫폼
- 매출: $119억 (2025년 기준)
- 주요 브랜드: Wayfair, AllModern, Birch Lane, Joss & Main, Perigold
- 판매 전략:
- 대형 오프라인 매장 확장:
- 2026년 덴버(140,000 sqft), 애틀랜타 매장 오픈 예정
- 매장 내 19개 카테고리 제공 (가구, 가전, 매트리스 등)
- 카페 및 디자인 서비스 포함
- 옴니채널 전략: 매장에서 구매 후 즉시 수령 가능, 대형 제품은 빠른 배송 지원
- 지역별 맞춤화: Fulfillment 센터와의 근접성을 활용해 배송 효율성 강화.
- 대형 오프라인 매장 확장:
3. LG전자
- 주요 사업 현황: 생활가전 및 B2B 시장 공략
- 목표: 2026년까지 미국 B2B 생활가전 시장 톱 3 진입
- 시장 규모: $70억 (미국 B2B 생활가전 시장)
- 판매 전략:
- 빌트인 제품 및 스마트홈 솔루션: 에너지 효율 및 맞춤형 고객 경험 제공
- LG 프로 빌더 조직 신설: B2B 고객(건축업체) 대상 서비스 강화
- 고급화 전략: 프리미엄 제품군 중심으로 시장 점유율 확대.
결론
Best Buy는 Q2 2026 실적에서 신제품 출시와 Marketplace 도입을 통해 매출 성장을 이뤘습니다. Marketplace는 소비자에게 더 많은 선택지를 제공하며, Best Buy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경쟁사 대비 기술 제품과 라이프스타일 제품의 통합 전략은 Best Buy의 차별화된 강점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마지막 수정 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