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두

#곡물 #원자재 #농산물 #식량 #대두
  1. 테마구분: 곡물,농산물
  • 주요 이벤트
    • 2023년
      • 6월
        • 2023-06-13
          • [극심한 가뭄]으로 [아르헨티나의 금년 생산량 감소 가능성]이 대두되었고, [미국 주간 G/E rating이 59%로 작년 70, 지난주(62%) 대비 감소한 영향]에 상승
  1. 기본정보 !Pasted image 20250626132420.png

    1. 대두(Soybeans)는 일년생 콩과류의 하나로 지방 종자(oilseed)의 일종이다. 대두는 아시아 동부지역의 야생식물에서 나온 것으로 보이며, 꼬투리에 포함되어 있는 둥근 모형의 종자다.

    2. 전세계에서 경제적 가치가 가장 큰 작물이 대두이며, 식품(마가린·과자·소세지·두부), 사료(닭·돼지), 식용유, 바이오디젤 등 원료로 들어가는데 특히 중국에서 수요가 많다. 대두의 단백질 함량은 37%나 된다. 타이어, 화장품, 화학, 페인트, 제약 제품을 생산하는데도 대두가 일정 비율 투입된다.

    3. 대부분 연노락색을 띄고 있으며, 20%의 오일과 40%의 단백질을 포함하고 있다. 대두의 기원은 명확하 지 않지만 많은 식물학자들은 중국 중부지방이 원산지인 글리킨 우수리엔시스(G. ussuriensis)에서 파생 되어 나왔을 것으로 믿고 있다. 중국에서는 5,000년 동안 식량과 약품 성분으로 사용 되어져 왔다.

    4. 미국에는 1804년에 반입되어 20세기 중반 이후 남부와 중서부 지방에서 주로 재배가 이루어지고 있다. 오늘날 대두는 미국에서 옥수수 다음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곡물이다.

    5. 미국 내 대두는 5월 ~ 6월 경 파종되어 가을(10월~11월)에 수확된다. 한편, 파종에서 수확까지는 대략 100 ~ 150일 정도가 소요 된다.

    6. 대두는 주로 대두유대두박을 얻기 위해 분쇄된다. 대두유는 다양한 제품으로 제조가 가능하며, 대두박은 주로 가축의 사료로 쓰이는데 단백질 함량이 45~48%나 된다

    7. 미국은 세계 최대 대두생산국이며, 미국내 대두생산은 거의 대부분이 중 서부지역과 미시시피강 유역에서 이루어진다.

    8. 대두시장 분석과 거래전략을 세우는데 있어 USDA에서 발표하는 아래의 보고서들은 많은 근거를 제공해 준다.

      1. Crop Production – 매월 10일경 발표되는 이 보고서는 대두에 대한 수요와 공급에 대한 전망치 등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https://usda.library.cornell.edu/concern/publications/tm70mv177)
      2. Grain Stocks – 대두를 포함한 다른 곡식의 공급 수준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https://usda.library.cornell.edu/concern/publications/xg94hp534)
    9. 대두 선물은 계절에 따라 주로 여름에 가장 거래량이 많고 변동성도 크다. 특히 미국 내 주 생산지인 중 서부 지역의 날씨변화(홍수, 고온 등)에 대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는 것이 필요함

    10. 주요 수요처별 대두 수요 비중(산업용, 식품, 사료(77%))

  2. 국가별 업황

    1. 브라질

      1. 브라질 대두산업 개요·밸류체인

        1. 대두는 브라질에서 가장 규모가 크고 수출액이 많은 품목으로 코로나19·경기침체 상황에서도 브라질 경제를 이끌어 나가고 있다.
        2. 대두는 190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파라나, 히우그란지두술 등 남부에서 재배되다 1970년대 마토그로쑤, 고이아스 등 세하두(Cerrado) 지역이 개간되면서 급격히 성장한다.
        3. 2010년대 중반 미국과 중국무역전쟁에 돌입하면서 중국은 미국에서 수입하던 대두의 대체 공급선을 찾았고 브라질이 반사이익을 얻었다.
        4. 대두는 재배 방식에 따라 ‘유전자 변형’, ‘유기농’, ‘일반’으로 구분되는데 농가·농기업들은 세하두 지역의 열기 및 병충해를 극복할 수 있게 유전자 변형 대두 종자를 많이 사용한다. 유전자 변형 대두 종자는 신젠타, 코르테바 등 북미·유럽·중국 글로벌 기업들이 주도하고 있다.
        5. 농가들은 대두를 재배하고 협동조합이나 글로벌 트레이딩 회사에 판매한다. 트레이딩 회사들은 구매한 대두를 산토스, 파라나구아 등 항만까지 운송하고 중국, 유럽연합, 동남아시아 등 주요 산지로 수출한다. 브라질 곡물 분야에 활동하는 글로벌 트레이딩 회사로는 아처대니얼스미들랜드(ADM), 벙기(Bunge), 카길(Cargill), 루이스드레퓌스컴퍼니(LDC)가 있으며 최근에는 중국 곡물공사(COFCO)도 브라질 내 곡물 트레이딩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브라질 회사로는 아마기(Amaggi)가 있으며 대두 경작·저장·유통 및 가공시설 투자 사업을 한다.
        6. 대두 생산량의 4045%는 곡물로 수출하고 7% 정도는 미래에 소비하거나 종자로 활용하기 위해 비축한다. 대두 생산량의 49%는 내수에 판매하거나 가공품을 수출하기 위해 대두박이나 대두유로 가공한다. 대두박의 5055% 정도는 수출하고 나머지는 가축·양식용 사료로 판매한다. 대두유 중 20~25% 정도는 수출하고 나머지는 바이오디젤이나 식용유로 유통한다. !Pasted image 20250626132434.png
      2. 대두 산업 경쟁국

        1. 전 세계에 대두를 많이 생산하는 국가로는 브라질, 미국, 아르헨티나를 꼽을 수 있다.
        2. 2021/22년 브라질, 미국, 아르헨티나는 각각 1억2700만 톤, 1억1826만 톤, 4950만 톤의 대두콩을 생산했다.
        3. 수년 전만 해도 미국 대두 생산량이 브라질을 앞섰으나 미-중 무역분쟁이 지속되고 브라질 대두 생산량이 비약적으로 늘어나면서 브라질이 1위로 올라왔다.
        4. 미국 농무부(USDA)는 2022/23년 브라질 대두 생산량을 1억5200만 톤으로 전망 중이며, 미국을 제치고 압도적인 대두 1위 생산국으로 자리매김하는 모양새다.
        5. 주요 대두 수출국은 생산국과 같은 순서로 브라질, 미국, 아르헨티나다. 주요 대두 수입국은 중국, 유럽연합, 멕시코, 아르헨티나, 이집트 등인데 중국 수입량이 전체의 59%로 압도적이다.
        6. 중국은 식용유, 두부, 사료 등 대두 소비량이 많은데 자국에 경작할 토지가 부족하니 브라질산 대두 수입을 늘일 수밖에 없다.
        7. 대만 및 우크라이나-러시아 관련 지정학 갈등, 반도체·이차전지 주도권 확보 등으로 대립각을 새우고 있는 미국에서 대두 수입을 늘리는 것은 쉽지 않다.
      3. 재배지역

        1. 브라질은 마토그로쑤(25%), 파라나(17%), 히우그란지두술(14%), 고이아스(10%) 순이었다.
        2. 2021년 기준 브라질에서 가장 대두를 많이 생산하는 도시를 살펴보면 소히소(Sorriso), 포르모사두히우프레투(Formosa do Rio Preto), 상데시데리우(São Desidério), 노바 우비라타(Nova Ubiratã), 노바무퉁(Nova Mutum) 등 대부분 마토그로쑤·고이아스·바이아 등 중부 세하두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4. 파종/수확시기

        1. 브라질은 Ns년 1012월에 파종하고 N+1년 35월에 수확한다.
        2. 남미 대륙에서는 파라과이와 볼리비아도 대두를 생산한다. 남미는 미국 등 북반구 국가와 대두 파종·수확 시기가 다르기 때문에 수출경합을 피할 수 있으며 판로 확보도 유리하다.!Pasted image 20250626132500.png
      5. 브라질 대두 수출동향

        1. 브라질 대두콩은 중국, 유럽연합, 기타 아시아 국가(동남아·대한민국·일본) 등으로 많이 수출된다. ▲ 대두박은 아시아 국가(중국 외), 유럽연합, 중동으로 ▲대두유는 인도, 방글라데시, 미주, 아프리카, 중국 등으로 주로 선적된다. 중국 정부는 2022년 중반 브라질산 대두박 수입도 허용하였기에 2023년 이후 對중국 대두박 수출량도 대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2. 미국

      1. 재배지역
        1. 미국은 아이오와(Iowa), 미네소타(Minnesota), 사우스다코타(South Dakota), 노스다코타(North Dakota), 네브래스카(Nebraska) 등 중동부 지역에 대두 곡창지대가 몰려 있다.
      2. 파종/수확시기
        1. 미국은 N년 56월에 파종하고 N+1년 910월에 수확한다.
    3. 아르헨티나

      1. 재배지역
        1. 아르헨티나는 부에노스아이레스(Buenos Aires), 코르도바(Cordoba), 산타페(SantaFe) 등 북부 지역에 대두 경작지가 집중돼 있다.
      2. 파종/수확시기
        1. 아르헨티나는 N년 1112월에 파종하고 N+1년 35월에 수확한다.
  3. 가격변수

    1. 상승요인
      1. 비료가격/농약가격 상승 → 원가상승 → 가격상승 기대
      2. 건조한 기후 지속(엘니뇨) → 생산량 감소 예상 → 가격상승 기대
      3. 파종, 수확시기 지연 → 생산량 감소 예상 → 가격상승 기대
      4. 미국산 대두 곰팡이균 발생(병충해) → 생산량 감소 → 가격상승 기대
      5. 주요 생산 국가의 농민 파업 → 수출감소 → 미국산 대두가격 상승 기대
      6. 발아기에는 수급악화로 인하여 가격 상승폭이 확대되는 경향
    2. 하락요인
      1. 경작면적/수확율 상승 → 생산량 증대 예상 → 가격하락 기대
      2. 대두-옥수수가격 스프레드 확대(보통 $3~$5) → 대두가격 하락 압력 존재
      3. 이월재고 증가 → 잉여공급 증가 → 가격하락 기대
마지막 수정 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