럭셔리산업

#럭셔리 #도소매
  • 최근이슈
    • 2025 2025-02-20 미국 시황 정리]], 코치와 랄프로렌, 합리적인 가격의 럭셔리를 선보이다 (WSJ) - 초고가 럭셔리 브랜드들이 가격 인상을 지나치게 단행하는 가운데, 또 다른 럭셔리 시장이 기회를 찾고 있다.

          고급 럭셔리 브랜드들의 가격이 지나치게 높아지면서 [상대적으로 저렴한 브랜드들에게 기회가 열리고 있다]. 코치(Coach)와 랄프 로렌(Ralph Lauren)의 최근 분기 매출은 각각 10%, 11% 증가하며 월가의 예상치를 초과했다. 
          !Pasted image 20250625132920.png
      
          두 브랜드 모두 견고한 마진 증가를 기록했으며, 예상보다 높은 이익을 달성했다. 코치와 랄프 로렌의 높은 마진은 주로 가격 인상 덕분이다. 이는 초고가 럭셔리 브랜드와 대조적이다. LVMH의 최근 분기 매출은 1% 증가하는 데 그쳤다.
      
          미국 브랜드들의 비교적 합리적인 가격대가 초고가 럭셔리 브랜드의 본고장인 유럽에서도 소비자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최근 분기에서 태피스트리와 랄프 로렌의 유럽 내 매출은 각각 42%, 16% 증가했다. 그러나 모든 합리적 럭셔리 브랜드가 성공하는 것은 아니다. 
      
          마이클 코어스(Michael Kors)는 가격 인상을 너무 빠르게 시도했으며, 그 결과 매출은 전년 대비 11.7% 감소하였다. 코치와 랄프 로렌은 수년간 브랜드 가치를 높이기 위한 전략을 추진해 왔기 때문에 가격 인상을 감당할 수 있었다. 
      
          이들 기업이 가격 인상과 제품 업그레이드 사이에서 적절한 균형을 유지한다면, 더 많은 투자자들이 이들의 주식을 매수하려 할 것이다.
      

럭셔리 비즈니스의 핵심

  • 럭셔리 브랜드 비즈니스의 높은 마진은 브랜드 가치에 따른 가격 결정력에 기반한다. 명품이 가진 뛰어난 품질과 희소성, 브랜드 파워로 인해 럭셔리 브랜드는 제품 가격을 쉽게 올릴 수 있으며, 수요 또한 가격에 대단히 [비탄력]적이다.

    최근 소비 행태가 더욱 다양해지고 가치 중심적으로 변화하면서 더 이상 소비자가 느끼는 가치 변화 없이 가격만 인상하기는 대단히 어려워졌다.

    또한 중국 시장의 명품 수요 감소는 가격 인상을 더욱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지난해인 2024년 중국 본토의 럭셔리 시장 규모는 18~20% 감소한 것으로 추정되며, 2025년에도 소비 위축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럭셔리 소비의 큰 축을 담당하던 중국 시장의 수요가 당분간 부진함에 따라, 럭셔리 브랜드들은 가격 인상을 더욱 신중하게 결정해야하며, 가격 인상보다는 브랜드 가치 제고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 합리적인 가격의 럭셔리는 이제 미국을 넘어 초고가 럭셔리 브랜드의 본고장인 유럽에서도 가파르게 침투하고 있다.

마지막 수정 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