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 셧다운

#미국정부셧다운 #미국

 부채한도와 이에 따른 셧다운 이슈는 무분별한 국채 발행을 제재하고자 도입된 규제로 짧게는 몇시간에서, 길게는 35일까지 이어졌지만 이로인한 시장 폭락은 부재했던 과거 경험

!Pasted image 20250930142809.png

 1970년대 이후 발생했던 총 21차례 셧다운 사례 중 “완전 셧다운”과 “부분 셧다운”으로 분류한 S&P500의 퍼포먼스.

여기서 흥미로운 점은 1)피해 기간이 더 킨 “완전 셧다운” 때의 수익률 역시 우상향을 보인다는 것과 2)셧다운 60일전에 가장 큰 변동성이 존재한다는 것

 이에 대한 이유로 각각 1)시장에서도 어차피 타결 될 걸 알고있는 “자작극”이라는 인식과, 2)매번 부채한도 협상 때 즈음 커지는 정치적 불확실성에 대한 “선반영” 일 개연성

 2025년에도 트럼프 정부는 정부 효율화를 명분으로 타결을 이루지 못하는 부처에 대규모 해고를 예고하며, “완전 셧다운” 노이즈가 커지고 있는 상황

 올해 실제 S&P500 수익률은 과거 “완전 셧다운” 괴적을 따라가고 있다는 (i.e. 60일 전 변동성 확대와 최근 주가 향방등)에서 최근 미국 증시 숨고르기가 이번 셧다운 이슈와도 상당부분 연계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과거 차트대로 따라 간 다면 다시금 우상향 쪽으로 방향을 잡기까지 그리 오랜 시간은 걸리지 않을 것으로 판단

마지막 수정 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