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물류 및 콜드체인 산업
#베트남물류 #베트남 #콜드체인 #물류산업 #콜드체인산업베트남 물류 및 콜드체인 산업 현황 요약
베트남 물류 및 콜드체인 산업은 제조업 성장과 전자상거래 확대, 그리고 식품 및 의약품 수요 증가를 기반으로 높은 성장 잠재력을 보이고 있습니다. 글로벌 컨설팅 기업 Expert Market Research(EMR)에 따르면, 2023년 베트남 물류산업 규모는 약 452억 달러였으며, 2024년에는 약 494억 달러, 2025년에는 520억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는 최근 몇 년간 연평균 14~16%에 달하는 높은 성장률을 반영합니다.
[시장 구조 측면에서는 상위 10대 기업이 전체 시장의 약 25% 내외를 차지]하며, 나머지 대부분은 다수의 중소 물류업체가 분담하는 형태입니다. 상위 10대 기업의 비중은 2023년 25%에서 2025년 20% 수준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어, 시장 경쟁이 심화되고 다양한 중소·신규 기업의 참여가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Pasted image 20250923215313.png
콜드체인 시장은 식품, 농수산물, 의약품 등 다양한 산업의 수요 증가에 힘입어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TechSci Research에 따르면 2023년 시장 규모는 약 2억1120만 달러였으며, 2025년에는 약 2억95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FiinGroup은 베트남 콜드체인 시장이 2024년 이후 연평균 8~13%의 안정적인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예측하며, 의약품 유통, 온라인 신선식품 배송, 냉동·냉장 창고 인프라 확충이 주요 성장 동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분석합니다.
물류 인프라 현황
베트남의 물류 인프라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입니다:
도로: 물류비용의 70% 이상이 도로 운송에서 발생하며, 2025년 시장 규모는 약 268억 달러에 이를 전망입니다.
내륙 수로: 전체 화물 물동량의 약 18%를 차지하지만, 운송 효율성 제약으로 시장 규모는 2025년 약 6억 달러 내외에 그칠 것으로 추산됩니다.
철도: 전체 물류의 약 2.2%에 불과하며, 2025년 시장 규모는 약 3억 달러 수준으로 전망됩니다. 정부는 남북 고속철도 사업을 추진하며 대규모 개선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항공: 22개 공항이 운영 중이며, 주요 허브 공항은 이미 포화 상태입니다. 롱탄 국제공항이 건설 중이나 개항 시점은 지연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해상 운송: 3200km 이상의 해안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전체 화물 물동량의 약 1.3% 수준에 머물고 있어, 항만 인프라 확충이 요구됩니다.
연관 사업 및 관련 기업
1. 글로벌 물류 서비스 기업
베트남 물류 시장에서 글로벌 기업들은 상당한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DHL, Maersk, Nippon Express, Kuehne+Nagel, DB Schenker 등이 상위권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베트남의 제조업 성장과 전자상거래 확대로 인한 물동량 증가의 주요 수혜를 입고 있습니다.
!Pasted image 20250923215323.png
DHL(DHL - 국제 특송, 항공 화물, 해상 화물, 계약 물류 및 공급망 관리 서비스): 베트남 시장에서 16%의 점유율로 선두를 달리고 있습니다.
Maersk(MAERSK-B.CO - 컨테이너 운송, 항만 운영, 종합 물류 서비스): 13%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해상 운송을 중심으로 입지를 다지고 있습니다.
Nippon Express Holdings, Inc.(9147.T - 글로벌 물류, 화물 운송, 창고 보관 서비스): 9%의 점유율로 아시아 지역 네트워크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Kuehne + Nagel International AG(KNIN.SW - 해상 및 항공 화물 운송, 계약 물류, 육상 운송 서비스): 8%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DB Schenker(DB Schenker - 독일 철도 회사 Deutsche Bahn의 자회사로, 글로벌 육상, 항공, 해상 운송 및 계약 물류 서비스): 7%의 점유율로 베트남 시장에서 활동 중입니다.
2. 베트남 로컬 물류 기업
베트남 내수 시장과 인프라 개발을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국영 기업과 대기업이 주도합니다.
Viettel Post(VTP - 베트남 우편, 택배, 물류 서비스): 7%의 점유율로 베트남 내 광범위한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Gemadept Corporation(GMD - 베트남 항만 운영, 물류 서비스, 부동산 개발): 6%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항만 인프라를 기반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Sotrans(Sotrans - 베트남 종합 물류 및 창고 서비스): 5%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3. 콜드체인 서비스 기업
식품, 농수산물, 의약품 등 온도 민감 제품의 수요 증가와 함께 콜드체인 시장이 확대되고 있으며, 글로벌 기업과 베트남 현지 기업, 그리고 한국 기업들이 경쟁하고 있습니다.
!Pasted image 20250923220306.png
Lineage Logistics(LINE - 세계 최대의 냉장 및 냉동 창고 운영 및 콜드체인 물류 서비스): 2023년 기준 베트남 콜드체인 시장 점유율 6.5%로 1위를 차지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공격적인 인수합병을 통해 콜드체인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Transimex(Transimex - 베트남 물류, 항만 터미널, 콜드체인 서비스): 6.2%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베트남 로컬 기업 중 강세를 보입니다.
Hung Vuong Group(Hung Vuong Group - 베트남 수산물 가공 및 수출, 콜드체인 인프라 보유): 수산물 대기업 계열로 5.8%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ABA Cooltrans(ABA Cooltrans - 베트남 냉장 및 냉동 운송, 창고 서비스): 현지 기업으로 5.8%의 점유율을 가지고 있습니다.
AJ Total Vietnam(AJ Total Vietnam - 한국 AJ그룹 계열의 베트남 콜드체인 창고 및 물류 서비스): 4.9%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한국 기업 중 상위권에 속합니다.
Hanaro TNS(Hanaro TNS - 한국 하나로TNS가 설립한 베트남 물류 및 콜드체인 서비스): 4.1%의 점유율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Lotte Global Logistics(Lotte Global Logistics - 롯데그룹 계열의 글로벌 물류 및 콜드체인 서비스): 베트남 롱안에 콜드 스토리지(23,000 팔레트 규모)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CJ Logistics(000120.KS - 한국 기반 글로벌 물류 및 택배 서비스): 2018년 베트남 Gemadept Logistics Holdings 지분 50.9%를 인수하여 베트남 콜드체인 시장에 진출했습니다.
현대글로비스(086280.KS - 종합 물류 서비스, 해운, 유통): 콜드체인 인프라 투자 및 확장을 통해 베트남 시장에 기회가 있을 수 있습니다.
투자 인사이트
베트남 물류 및 콜드체인 산업은 여러 투자 기회를 제공하지만, 동시에 구조적인 리스크도 내포하고 있습니다. 증권 애널리스트로서 이러한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투자 접근이 필요합니다.
1. 성장 동력 기반 투자
- 전자상거래 및 라스트마일 딜리버리: 베트남 전자상거래 시장의 급성장은 라스트마일 콜드체인 물류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있습니다. 신선식품 및 의약품의 온라인 유통 증가는 전문적인 배송 시스템을 요구하며, 이는 CJ Logistics(000120.KS)와 같은 기업에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 콜드체인 인프라 확장: 식품, 농수산물, 의약품 수요 증가에 따라 콜드체인 시설 및 운송 수단의 확충이 필수적입니다. 이는 냉장창고 건설 및 운영 기업, 냉동 운송 서비스 제공 기업에 대한 투자 매력을 높입니다. 특히, 아직 인프라가 부족한 [베트남 북부 지역]은 향후 성장 잠재력이 큽니다.
- 헬스케어 및 바이오 물류: 백신, 바이오 의약품 등 고부가가치 제품의 수요 증가는 초저온 콜드체인 기술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이 분야의 기술력을 가진 기업들, 예를 들어 일신바이오(068330.KS - 초저온 냉동고 및 동결건조기 제조)와 같은 장비 공급 업체나 지씨셀(144510.KS - 바이오 물류 서비스)과 같은 전문 바이오 물류 기업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2. 기술 기반의 경쟁 우위 확보
- 디지털 콜드체인: 온도 센서, 위치 추적 장치 등 정보 기술을 결합한 디지털 콜드체인 구축은 배송 사고 예방과 효율성 증대에 필수적입니다. 초기 투자 비용이 높지만, 장기적으로는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평가됩니다.
- 효율적인 창고 관리 기술: Lineage Logistics와 같은 선두 기업들은 라이더 스캔(lidar scan) 및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창고 공간 효율을 극대화하고 비용을 절감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을 보유하거나 적용하는 기업들은 경쟁 우위를 가질 수 있습니다.
3. 리스크 요인과 대응 전략
- 규제 및 행정 절차: 외국인 투자자에게는 서비스 분야별로 상이한 지분 제한이 적용되며, 불투명한 규제와 행정 절차는 여전히 부담 요인입니다. 시장 진입 시 현지 파트너십 구축과 제도 대응 역량 확보가 중요합니다.
- 인프라 부족 및 높은 운영비: 베트남은 물류 인프라가 여전히 한정적이며, 전력 인프라 문제 등으로 운영비가 급등할 수 있습니다. 특히 중소 물류기업은 이러한 환경에서 경영난에 직면할 수 있으므로, 안정적인 재무 구조와 기술력을 갖춘 기업에 대한 선별적 투자가 필요합니다.
- 글로벌 경기 변동성: 베트남 물류 시장은 수출 의존도가 높아 글로벌 경기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습니다. 거시 경제 지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다변화된 고객 포트폴리오를 가진 기업을 선호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