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우
#원자재 #식량 #가축 #소 #축산물 #생우테마구분: 가축, 소, 축산물
기본정보
수입국: 미국, 러시아, 유럽, 일본 등
소(Cattle)는 일반적으로 여름에 번식을 시작하고, 봄에 새끼를 낳으며, 임신기간은 약 9개월이다. 그러나 사육되는 소는 주로 봄에 교배를 시키는데, 이는 겨울 한파로 인한 피해를 막고, 신선한 사료를 공급하기 위함 이다. 송아지는 약 6 ~ 8개월 뒤 어미와 떨어져 “스토커(독립적인 우리 개념)”로 옮겨지게 되며, 이후 비육(Fattening)을 위해 비육장(Feedlot)으로 옮겨지게 된다.
비육장에서 송아지들은 약 8 ~10개월간 키워지게 되며, 겨울밀, 옥수수, 마일로, 사일러지, 건초, 사탕무 등을 사료로 사용하며, 겨울밀의 경우에는 가격이 낮을 때 주로 활용된다. 보통 무게가 600 ~ 800파운 드(270kg ~ 360kg)에 도달하면 사육장으로 오게 되는데, 이렇게 옮겨진 소를 가리켜 “비육우(Feeder Cattle)”라고 칭한다. 사육장에서 이 비육우들은 복합사료(High Energy Feed)를 섭취하며, 이때 송아지 의 중량은 빠른 속도로 증가한다. 완벽하게 성장한 비육우는 보통 중량이 1,200파운드(540kg, 도축기 준)에 이르며, 기타 내장을 제외한 도체무게는 약 745파운드(335kg)가 된다.
미국의 경우 강수량이 많은 동부와 중서부지역은 농장(Unit)이 5 에이커 한 단위씩, 강우량이 적은 서부 와 남서부지역은 250 에이커당 한 단위씩 배치되어 있다. 사육장(Feedlot)은 대부분 평지에 위치하며, 주로 콜로라도, 네브라스카, 캔자스, 오클라호마, 텍사스에 집중되어 있다. 한편, 사육장에 들어오는 비육우들은 암소보다는 숫소가 많은데, 이유는 암소의 경우 번식목적으로 활용되기 때문이다. 미국의 사육장 중 98%는 천두 미만의 개인소유이며, 단 2%만이 기업형사육장이다. 하지만, 기업형사육장이 총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약 85% 가량되며, 더불어 생산과 관련한 각종 금융서비스 역시 복합적으로 제 공하고 있다.
미국의 주 사육지역에서의 일일 총 비육량은 두당 3.2파운드이며, 보통 사료 8.3파운드당 비육우는 1파운드가 비육된다. 한편, 비육기간은 약 149일인데, 사료가격이 오르고, 생우가격이 떨어진다고 해도, 비육기간이 지속적으로 늘어나진 않는다. 왜냐하면, 도축기준중량을 넘어서면, 시장가격은 오히려 떨어지기 때문이다.
소는 한번에 한 마리의 새끼만을 낳으며, 임신이 되지 않은 소의 경우(약 16 ~ 18%)에는 바로 도살된다.
세부내용
- USDA 보고서 발표 일정 |
- 매월 : 냉동저장량/축산우 보고서 발표
- 1/2/3/4/5월 : 가축도살량 조사결과 발표
- USDA 보고서 발표 일정 |
가격변수
- 상승요인
- 추운 기후 → 사료가 비육대신 보온 위해 소비 → 비육량 감소/비육기간 증가 → 공급감소 → 가격상승 기대
- 더운 기후 → 식욕억제 → 비육량 감소/비육기간 증가 → 공급감소 → 가격상승 기대
- 유가(Oil) 상승→ 원가상승 → 가격상승 기대
- 하락요인
- 사료 가격(Feed) 상승, 생우 가격 하락 → 도살량 증가 → 공급증가 → 가격하락 기대
- 질병(광우병, E-coli 박테리아) 발생 → 수요 감소 전망 → 가격하락 기대
- 대체재(돼지, 닭 등)의 가격하락 → 수요감소 → 가격하락 기대
- 상승요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