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량 #원자재 #곡물 #농산물 #쌀
  1. 테마구분: 곡물,농산물

  2. 기본정보

    • 생산국: 중국, 인도, 미국, 베트남, 태국,파키스탄 등
    • 쌀(Rough Rice)은 건조하고 습기가 많은 토양에서도 잘 자라며, 경작기간은 보통 3 ~ 6개월이다. 인도의 아삼 지방과 중국의 운남성 부근을 벼의 재배 기원지로 보는데 특히, 인도, 미얀마, 태국, 베트남 및 중국에 걸쳐 있는 갠지스강, 이라와디강, 메콩강, 양자강 등을 따라 전파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 국제 쌀시장은 밀, 옥수수 등과 다른 특징들을 가지고 있다. ① 쌀은 생산/소비량에 비해 교역량이 10% 이내로 극히 적다. ② 게다가 쌀은 가격 변동폭이 매우 크다. 이는 쌀의 교역량이 작아 작황에 작은 변화만 있어도 가격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또한 생산이 몬순지역에 편중되어 있어 부족분 발생시 국제시장에서 조달해야 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더불어 쌀은 필수식량자원으로서 생산/소비측면에서 대체성이 매우 낮을 뿐 아니라, 가격이 비탄력적이어서 생산량변화에 대한 가격변동폭이 클 수밖에 없다. ③ 쌀은 밀 다음으로 생산량이 많은 품종이나, 곡 종에 따라 구성성분이 달라 곡종 대체성이 없다.
    • 북아메리카지역에는 몬순계절이 없기 때문에 미국의 벼 재배는 특수작물 재배에 해당한다. 벼 재배는 많은 강우량을 필요로 하는데 강우량이 적은 미국에서는 밀, 옥수수, 콩 등 밭 작물을 주로 재배하며, 벼 재배는 제한된 지역에서 이뤄진다. 한편, 캘리포니아에서는 중/단립종이 주로 생산되는데, 미국 쌀 생산량의 75%가 인디카(장립종)계인데 반해 캘리포니아에서는 99%가 자포니카(중/단립종)계다. 중/단립종 에 한정하면 미국 쌀 생산량의 76%가 캘리포니아에서 생산되는 셈이다. 캘리포니아 쌀은 온화하며 습도가 낮고 일조량이 풍부한 중북부 새크라멘토 밸리와 산조아퀸 분지에서 생산된다.
    • 중국은 세계최대 쌀 생산국으로 세계생산량의 30%를 점유하고 있다. 벼는 곡물재배면적의 28%, 생산량의 43%를 차지하고 있다. 자포니카쌀(60%)은 야간기온이 대체로 낮은 북부(동북3성 중심)에서, 인디카쌀(30%)은 남부에서 재배된다.
    • 태국 농업지대는 북부, 동북부, 중부(평야), 남부지역으로 구분되며, 산업화로 인해 농업부문 생산액이 GDP의 11%로 감소했지만, 아직도 벼는 총 경지면적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작물이다. 태국에서는 대부분 장립종이 생산되며, 이 중 멥쌀이 36%, 찹쌀 32%, 향미(인디카)가 32%를 차지한다. 중/단립 종은 북동부지역 일부에서 생산되며, 주로 태국의 일본식당, 술제조용(일본), 수출용(일본)으로 활용되고 있다.
    • 호주는 NSW(New South Wales)에서 대부분 중/단립종을 생산하며, 종의 구분이 불명확하여 고시히까리 계통 이외에는 중립종으로 통칭한다. 주로 NSW에서는 일모작을 하며, 관개수 부족으로 정부승인지역에서만 재배 가능하다. 대부분의 관개농업은 NSW의 머레이-달링 유역에서 이뤄지며, 이외 퀸슬랜드와 남쪽의 빅토리아에서도 극소량 생산하며, 일정지역에서는 관개수 부족으로 농가 수를 제한하기도 한다.
  3. 세부내용

    1. | 쌀의 곡종 |

      • 단립종 : 길이가 짧고 둥글며 생산지역은 한국, 일본, 대만, 중국 동 북3성(길림성+요녕성+흑룡강성), 호주 NSW
      • 중립종 :단립종보다 길이가 길고 장폭비가 크며 주 생산지역은 미국 캘리포니아, 호주 NSW, 이집트
      • 장립종 :인디카로도 불리우며 길이가 길고, 전세계 쌀생산량의 80%가 장립종이며, 주로 태국, 인도, 베트남, 파키스탄, 중국 남부, 미국 걸프지역 생산
    2. | 특수미 |

      • 향미 :두께가 얇고 조리시 아로마향기가 나는 쌀로 1959년 태국 차청사오 지역에서 처음 재배되었으며 주로 태국 동북부, 베트남 메콩삼각주에서 생산.
      • 바스마티: 1966년 인도에서 처음 재배된 쌀로 조리시 아로마 향기가 나는 것은 향미와 비슷하나 열을 가하면 길게 부푸는 특징을 지니고, 인도와 파키스탄 국경지점인 펀자브지역 인근 갠자스강 평 원에서 생산.
      • 아르보리오: 중앙 부분이 단단하여 파스타처럼 씹히는 느낌의 쌀로 주로 리조또 용으로 쓰이며 이탈리아 피드몬트와 롬바르디아 지역, 미국/호주 일부 지역에서 생산.
    3. | 주요 생산국의 파종 및 수확시기 |

      • [미국]: 캘리포니아(중립종)은 46월 파종, 810월수확
      • [걸프](장립 종):는 46월 파종, 911월 수확
      • [중국]: 주로 46월 파종, 810월 수확
      • [태국]: 2기작을 기준으로 해서 우기(5월중순11월)에 생산되는 1기 작은 68월 파종, 111월 수확, 건기(11월중순 ~ 2월중순)에 생 산되는 2기작은 12 2월 파종, 4~5월 수확
      • [호주]: NSW 10월 파종, 34월 수확, 서부 11월 파종, 45월 수확
  4. 가격변수

    1. 상승요인
      1. 대체재인 소맥 경작면적 확대 → 쌀 경작면적 감소, 생산 감소 → 가격상승 기대
      2. 중국의 수출량 급감(수출세 환급제도 폐지) → 수급불안정 → 가격상승 기대
    2. 하락요인
      1. 호주의 관개수 사업 활성화 → 생산 증가 예상 → 가격하락 기대
      2. 엘니뇨(이상기온 상승)와 라니냐(이상기온 저하) → 생산 감소 예상 → 가격하락 기대
      3. 경작면적(Area) / 수확율(Yield)/ 재고량 증가 → 생산 증대 예상 → 가격하락 기대
마지막 수정 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