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연

#비철금속 #원자재 #아연
  1. 테마구분: 비철금속
  • 주요 이벤트 / 이슈
    • 2023년
      • 2023-06-13 5월 [중국 아연 생산량은 564,500톤으로 MoM 4.54%, YoY 9.56% 증가해 예상을 소폭 상회]했다. 아연 공급 증가와 건설 부문 수요 약세로 최근 LME 아연 재고는 지난주 이후 거의 두 배(+92%)가 되어 1년 만에 최고치(87,500톤)를 기록한 바 있다.([재고증가])
    • 2024년
      • 2024-09-06, 전일 아연 가격은 러시아 연방 부랴티야 공화국의 Ozernoye 공장 개장에 상대적으로 큰 폭 하락!Pasted image 20250625161233.png 2023년 말 예정되었던 Ozernoye 신규공장 생산은 화재 피해로 그동안 지연되었으나 9월 4일부터 아연 정광 생산을 시작했다. 해당 시설은 2025년 최대 용량에 도달하면 함량이 53%인 광석 600만톤을 처리해 60만 톤의 아연 정광을 생산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 경우 Ozernoye 공장은 전세계 생산량의 4.5% 비중을 차지하며, 세계에서 다섯번 째로 많은 정광을 생산하는 시설이 된다. 몽골에서 200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Ozernoye의 지역 특성상 중국 시장이 주된 타겟으로 보임
  1. 기본정보

    • 생산국: 중국, 캐나다, 미국, 호주, 페루 등

    • 용도: 도금, 피복재료, 건전지. 합금재료, 무기, 약품, 산업용원자재, 자동차, 건축 등

    • 아연(Zn)은 지구의 지각에서 24번째로 가장 풍부한 푸르스름한 백색의 철 원소이다. 지각 중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나 존재량은 많지 않다.(76ppm) 아연은 공기 중에서 수분에 접촉하면 표면에 피막을 형성하여 부식을 방지하고, 가열할 경우 전성, 연성이 풍부해지므로 가공이 용이한 금속이며 도금용 다이 캐스팅, 합금용 등 여러 방면에 이용되고 있다. 전세계적으로 확인된 매장량은 190 백만톤이며 미국, 캐나다, 호주, 중국 등 4개국에 전체의 54%가 매장되어 있다. 아연은 순수한 상태로는 발견되지 않으며, 보통 홍아연광, 이극광, 능아연광, 프랭클리나이트나 섬아연광과 같은 광물에 있는 산화아연, 규산화아연, 탄산아연, 황화아연에서 발견된다.

    • 아연은 철, 알루미늄, 구리 다음으로 많이 사용되는 금속인데 약 70%는 광석에서 직접 생산되며, 30%는 폐제품에서 회수되어 재활용됩니다.

    • 아연의 가장 큰 용도는 철에 내부식성 도금이며, 다른 금속과 합금을 만드는데 사용됩니다.

    • 아연은 도금과정에서 철이나 강철(철강)과 같은 재료를 코팅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아연은 구리와 함께 청동과 황동의 합금 원료로도 사용되고, 또한 알루미늄 및 마그네슘의 합금원료가 되기도 한다. 한편, 화학 원료와, 전기공학분야와, 색소에 있어 아연을 대체할 수 있는 많은 대체물이 있다. 예를 들어, 알루미늄 강철과 플라스틱은 도금을 위해 아연을 대체할 수 있다. 알루미늄 합금 또한 청동을 대체할 수 있다. 아연은 건전지에서 음극으로 사용되고, 특히 둥글고 납작한 아연배터리는 손목시계, 카메라 건전지와 같은 전자기계들에서 사용된다. 아연은 또한 항균 연고로도 사용된다.

    • 아연 시장은 중국의 높은 생산에 의해 재고가 증가하고, 수급 여건이 크게 완화되면서 과잉 공급을 보일 것으로 국제아연연구그룹(ILZSG)은 전망했다. 현재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국가들의 생산량 증가세가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으며, 2011년에는 글로벌 경기불황 등으로 다소 주춤하는 모습이다. 아연가격의 경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아직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수요침체로 인해 재고 역시 2007년 이후로 많이 쌓여있는 상태다. 따라서 국제아연연구그룹(ILZSG)은 당분간 가격 상 승보다는 경기흐름에 대한 등락만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2. 세부내용

    1. 자동차 산업과 건설 산업의 경기에 필수적인 아연은 세계 경기에 따라 큰 영향을 받고 있기에 중국의 아연 수요에 따라서 예민하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특히 아연의 대표 대체재는 알류미늄합금이므로 가격 동향을 상관관계에 맞추어 관찰하면 좋습니다.
  3. 가격변수

    1. 상승요인
      1. 소비 증가(특히 중국으로부터의) → 재고량 감소→ 가격 상승
      2. 광산 파업 → 재고량 감소 → 가격 상승
      3. 산업생산증가 → 재고량 감소 → 가격 상승
      4. 달러 약세→인플레 헤지용 투기자본유입 → 가격 상승요인
      5. 유가상승 →인플레 헤지를 위한 투기자본유입 → 가격 상승요인
      6. 자연 재해 → 생산차질 → 가격 상승
    2. 하락요인
      1. 경기 침체,경기 둔화 → 수요감소 → 가격 하락
  4. 대체수요

    1. 아연의 대체재는 알루미늄합금
  5. 주요 공급업체

  6. 관련종목

    1. 아연 정제련
      1. 고려아연
마지막 수정 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