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석

#비철금속 #원자재 #주석
  1. 테마구분: 비철금속

  2. 기본정보

    • 생산국: 인도네시아, 중국, 페루 브라질, 볼리비아, 말레이시아 등.

    • 용도: 땜납, 주석도금용, 청동, 황동, 산업용원자재

    • 주석((tin))은 지각 내 평균 함유량이 2ppm정도로, 아연(94ppm), 구리(63ppm), 연(12ppm)등과 비교할 때 희귀한 원소다. 외견상 약간 푸른색을 띄고 있는 광택 있는 하얀 은색의 금속으로 연성과 전성이 있고 은이나 아연보다 하얗다. 매우 얇은 주석필름은 빛이 통과될 때 다양한 갈색 색조를 띈다.

    • 주석의 주된 용도는철판도금용, 땜납, 합금재료, 화학공업용 등으로 이용된다. 주요 주석광물에는 석석(Cassiterite), 황석석(Stannite) 등이 있다. 주석은 연하고, 구부리기 쉬운 결정체 조직으로 적어도 5천 5백년 전부터 사용되었다. BC 2100년부터 BC 1500년 사이의 로마제국 시대에는 유럽대륙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주석은 영국의 “콘월”에서 생산되었다.

    • 주요한 주석 광석은 말라야, 볼리비아. 인도네시아. 태국, 나이지리아에서 발견되는 미네랄 주석 원석이다. 전세계 주석 매장량의 80%는 하상(河上)이나 계곡 또는 해저에 있고 단지 20% 정도만이 경암 광맥에 매장되어 있다. 주석은 또한 , 탄탈 그리고 납의 부산물로도 발견된다.

    • 주석은 음식과 음료를 보관하기 위한 철로 만들어진 통의 코팅을 위해서도 사용된다. 주석의 주요 용도로 는 철판도금용, 땜납, 합금재료, 화학공업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특히 공기 속에서 잘 변하지 않아 도금 및 여러 합금용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LME에서 발표된 금속별 수요 분석에 의하면 주석은 가전, 배관 등 의 땜납용으로 28.5%가 사용되고, 금속 캔 도금용으로 27.5%, PVC 안정제로 7.5%, 청동 등의 합금 용으로 16%, 주조용으로 7% 사용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주석의 생산회사들이 후원하는 세계 최대 주석 연구 개발 실험기관인 ITRI는 다양한 상품에서 주석의 무독성과 관련된 이점을 사용하여 다른 금속 들을 대체하기 위한 주석의 새로운 사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 앞으로 주석은 납땜 용과 엽총 탄약의 납을 대체할 것으로 보이고 항-안티몬 화학물로도 사용될 것으로 보인다.

    • 주석은 최대 생산국인 인도네시아에서의 수출업체에 대한 라이센스 발급을 통한 허가제를 시행하면서 수급에 차질이 발생하고 있다.

    • 과 성질이 비슷하나 독성이 거의 없어 납의 대체재로 사용이 늘고 있지만 현재의 소비 추세와 기술로는 주석광석이 20~40년 내에 고갈될 것으로 추정되고 있어 재생을 위한 노력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3. 가격변수

    1. 상승요인
      1. 소비 증가(특히 중국으로부터의) → 재고량 감소 → 가격상승 기대
      2. 광산 파업 → 재고량 감소 → 가격상승 기대
      3. 산업생산증가 → 재고량 감소 → 가격상승 기대
      4. 유가상승 → 인플레 헤지를 위한 투기자본유입 → 가격상승 기대
      5. 자연 재해 → 생산차질 → 가격상승 기대
    2. 하락요인
      1. 경기 침체,경기 둔화 → 수요감소 →가격하락 기대
  4. 대체수요

    1. 주석의 대체재
  5. 수급

    1. 공급: 주석의 기본수요처는 다변화되어있는 반면, 공급처는 아시아에 집중되어있으므로 생산국가의 사정에 따라 가격변동이 일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2. 수요:
  6. 주요생산지

    1. 주요 매장국가로는 중국, 브라질,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볼리비아 등이 있고, 주요 생산국에는 중국, 인도네시아, 페루, 브라질, 볼리비아 등이 있다.
마지막 수정 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