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측 위성

#관측위성 #위성 #인공위성 #우주

관측위성(Earth Observation Satellites), 지구 궤도를 돌면서 지구를 관측하는 인공위성으로 지형관측, 기상관측, 군사적 목적 감시 등 많은 분야에 서 활용되고 있음.

위성에 탑재된 카메라의 종류에 따라 전자광학, 레이더(SAR, Synthetic Aperture Radar), 적외선(IR) 등으로 분류됨

관측위성의 해상도, 위성 카메라가 지표상의 물체를 정밀하게 나타내는 척도로 해상도 1m는 가로 세로가 1m인 물체가 위성사진으로 한 픽셀로 나 타나는 것을 의미함

  • 전자광학(EO, Electro-Optical), 가시광선을 이용한 위성 촬영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해상도를 얻을 수 있고, 색을 뚜렷하게 구분할 수 있음. 하지만 구름이 많은 등 기상이 좋지 않거나 야간에 가시광선이 없는 경우 촬영이 힘들다는 단점이 있음
  • 영상레이더(SAR, Synthetic Aperture Rader), 가시광선 대신 레이더를 이용해 물체 표면을 관측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미지화할 수 있는 관측위성. 레이 더는 구름이나 안개를 뚫을 수 있고, 야간에도 촬영이 가능. 다만 반사된 레이더를 이용해 지형을 복원하는 만큼 해상도는 전자광학에 비해 다소 떨어짐
  • 적외선(IR, Infrared Rader), 지구상의 물체가 방출하는 열에너지를 감지함. 이를 이용해 도시 열섬현상 등 기후변화 분석과 재해·재난 감시도 가능. 광학 영상에 비해 이미지의 직관적인 분별력은 떨어지지만 광학·레이더 영상으로 파악하기 힘든 대상의 성질 및 형태 파악에 용이
마지막 수정 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