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켈

#비철금속 #원자재 #니켈
  1. 테마구분: 비철금속
  • 최근이슈
    • 2025년 2025-01-23 미국 시황 정리]], 1월초 저점 대비 7% 반등한 니켈 가격 - 2024년 니켈은 가장 저조한 성과를 나타낸 품목. 연평균 LME 가격은 전년 대비 22% 하락한 $16,812/t을 기록. 가격 부진의 주요 원인은 인도네시아의 지속적인 증산.!Pasted image 20250625161038.png

          [인도네시아의 니켈 생산은 2024년 10월까지 전년대비 광산 13%, 제련 16% 증가]. 투자자 포지션도 [공급 과잉] 지속으로 대부분의 기간 동안 순매도 기록
      
          현재, 인도네시아 정부는 니켈 광산에 채굴 허가증(RKAB)을 발급하여 광산 생산을 통제. 2024년 1분기 인도네시아 정부의 RKAB 지연으로 약 10만 톤의 니켈 생산 차질 초래한 바 있음. 
      
          이에 따라 인도네시아 제련 업계는 2024년 1000만 톤의 니켈 광석(1.0~1.8% 품위)을 필리핀에서 수입
      
          2025년에는 가격 하락을 방어하기 위해 인도네시아 정부가 RKAB 발급을 제한할 수 있다는 보도가 계속되고 있음. 일각에서는 작년 2억 7천만 톤의 RKAB가 발급된데 반해, 금년 1억 5천만~2억 톤으로 규모가 축소될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됨.다만 보도된 바에 따르면 현재까지 2억 6천만~3억 톤의 RKAB가 발급된 것으로 알려짐!Pasted image 20250625161111.png
      
          2024년 니켈 공급 과잉은 [인도네시아 발 공급 과잉] 측면이 초래한 측면이 크나, 예상보다 부진한 [배터리](/industry-study/배터리/) 부문 수요의 성장세도 무시할 수 없음. [중국 외 지역에서는 전기차 판매 증가율이 여전히 저조]한 상황이고, 그나마 판매가 견조한 중국도 [LFP 배터리](/industry-study/lfp-배터리/)의 지배로 인해 니켈 신규 수요는 부진 지속
      
          [2025-02-21 미국 시황 정리](/daily-summary/2025-02-21-미국-시황-정리/)]], 현재 중국내 전기차 시장은 성장중이니깐 그럼 니켈은?
          !Pasted image 20250625161124.png 저점 다진 후 약 상승 중. 중국 전기차 판매량 증가와 무관하지 않은 모습
      
          다만 스테인리스 부문 니켈 수요는 작년 약 6%의 증가율을 기록한데 이어 금년에도 견조한 흐름을 보이며 니켈 수요를 지지할 것으로 예상됨
      
          니켈 생산원가 곡선 상 $14,000~$16,000은 50분위에서 80분위의 생산원가를 나타내는 생산자들이 집중되어 있는 구간으로 장기 저점으로 볼 수 있음. 비록 인도네시아발 공급 조정이 초래하는 가격 반등이 지속성을 나타내기는 어려울지라도 가격의 추가 하락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
      
  1. 기본정보

    • 생산국: 러시아, 호주, 캐나다, 인도네시아, 뉴칼리도니아, 브라질, 필리핀 등

    • 용도:다른 금속과의 합금, 스테인리스강(STS) 도금, 리튬이온 배터리, 전기차, 자동차, 전자제품, 동전, 니켈 메트, 정련 니켈, 스테인리스

    • 지구상에서 5번째로 많은 분포량을 나타내고 있는 광물로, 철광석을 제외한 금속 중에선 8번째로 많이 생산되지만 생산규모가 가장 큰 알루미늄에 비하면 4.3%정도임 지표면으로부터 엷은 층을 형성하고 있으며, 미네랄 원소와 결합된 광물이다.

    • 비록 니켈 자체만으로는 사용 범위가 제한적지만, 다른 금속들과 결합을 통해 새로운 광물을 창출해 내며, 일반 가정에서부터 제조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 니켈은 단단하고, 연성이 높으며, 은빛 색조를 띄는 고광택 금속이다. 게다가 강한 자성의 성질을 나타내기 때문에 전기를 고르게 공급해 줄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니켈은 주로 스테인레스강 제조에 사용되며, 내식성도 탁월하기 때문에 다른 비철금속들과의 합금에 주로 활용되고 있다.

    • 스테인레스 스틸 제조에 이용됨에 따라 지속적으로 재활용되는 금속이며, 은화를 대신해 동전주조에 사용 되기도 한다. 앞서 언급한 자성으로 인하여 충전용 배터리, 전기 회로에도 사용되고 있다. 전기적 특징을 이용한 코팅 또는 단일 슬러리 코팅 등 니켈도금 기술의 발전으로 터빈 블레이드, 헬리콥터 로터, 압출기, 그리고 강철스트립의 도금에 활용되기도 한다.

    • 무엇보다도 수요 증가로 인하여 니켈의 생산량은 지난 1993년부터 매년 약 5.6% 씩 증가하였다. 특히 2003년 이후 중국 스테인레스 스틸의 소비 증가로 인한 생산량 증대는 주목할만하며, 일본과 미국의 생산 증대도 한몫을 하였다. 한편 브라질도 2012년 까지 공급 증대에 가세할 전망이기 때문에 귀추가 주목 된다. 한편 니켈 가격은 지난 2007년 1분기 중반 전례 없는 상승세를 보였으나, 이후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다.

    • 그러나 일부 대형 소비자들은 니켈의 새로운 광산 프로젝트가 마무리 되기 전에 글로벌 니켈 공급에 적지 않은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그 원인으로는 고유가로 인한 하이브리드 차량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메이저 항공사들도 2001년 테러 이후 니켈의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2. 세부내용

    1. 니켈은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되는데 하나는 라테라이트 계열의 사프로라이트와 철갈석, 다른 하나는 황화광이다.
    2. 현재 생산되는 니켈 광석 중에는 사프로라이트가 41%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다음으로 황화강과 갈철석 순이다.
  3. 생산공정

    1. 정광은 여타 금속들과 마찬가지로 제련소로 옮겨진다.
    2. 사프로라이트는 건식 제련법을 통해, 니켈 함량은 낮지만 전해니켈을 대체할 니켈선철(NPI)과 페로니켈(FeNi)로 생산된다.
    3. 갈철석은 습식 제련법을 통해 고품질의 전해니켈로 생산되며
    4. 황화강은 Ni Matte를 걸쳐 전해니켈과 황산니켈로 생산된다.
  4. 가격변수

    1. 상승요인
      1. 소비 증가→ 재고량 감소 → 가격 상승
      2. 광산 파업 → 재고량 감소 → 가격 상승
      3. 산업생산증가 → 재고량 감소 → 가격 상승
      4. 유가상승 → 정제소 비용증가 → 가격 증가
    2. 하락요인
      1. 경기 침체, 경기 둔화→ 수요감소 →가격 하락
      2. 누적재고 증가 → 잉여공급 증가 → 가격하락 기대
  5. 수급

    1. 공급: 인도네시아는 글로벌 니켈정광 생산 비중 38.5%차지, 필리핀은 12%
    2. 수요:
      1. 배터리용 니켈 수요 전망
  6. 대체수요

    1. STS 스크랩(재활용): STS 생산원료 중 STS 스크랩이 28% 차지
마지막 수정 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