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두유

#곡물 #원자재 #농산물 #식량 #대두 #대두유
  1. 테마구분: 곡물,농산물

  2. 기본정보

    • 생산국: 미국(25%), 브라질(15%), 유럽(7%) 등

    • 수입국: 미국(24%), 브라질(9%), 유럽9%), 인도(9%) 등

    • 용도: 식용유, 샐러드오일, 마가린, 마요네즈, 쇼트닝, 바이오 디젤, 대체에너지

    • 대두유(Soybean Oil)는 대두에서 추출한 식물성 기름을 말한다. 대두유 함유량은 약 20%를 차지하며, 식물종자의 함 유량으로서는 적은 편에 속하므로, 주로 핵산 등 석유계 용제를 써서 추출하여 가열, 증류하는 방법에 의해서 조제 콩기름을 만든다.

    • 대두유의 함량은 일반적으로 기온과 햇볕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이기도 한다. 조제 콩기름은 황갈색이고 불쾌한 냄새가 나므로, 이것을 다시 정제하여 식용한다. 정제한 기름은 담황색이며 냄새가 없고, 맛도 구수하여 식용유로서 가장 많이 소비된다. 콩기름은 리놀산/올레산 등 불포화지방산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데, 이들 지방산은 “비타민F”라고 불리기도 할만큼 인체에 필수적인 지방산이다. 식용으로는 정제콩기름, 사라다유 외에 마가린, 쇼트닝 등이 있고 공업용 원료로는 합성수지, 비누, 도료, 잉크 등에 이용된다.

    • 특히 콩기름 잉크는 인쇄과정에서의 대기오염물질(휘발성 유기화합물, VOC) 발생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 는 것으로 알려져 상업화가 기대되기도 한다.

    • 미국 내에서 대두유는 쿠킹오일로 가장 많이 사용된다. 대두유는 마가린 생산원료의 80%가량을 차지하고, 식물성 오일 생산원료의 75%가량을 차지한다. 대두유는 콜레스테롤이 없는 고도 불포화 지방이다. 한편, 대두유는 페인트, 니스, 수지, 플라스틱 같은 비식용 용도로도 사용된다. 대두유는 전세계 식용유 시장의 32%가량을 차지하며, 야자기름, 평지씨 기름이 그 뒤를 잇고 있다.

    • 대두유가격은 경쟁관계에 있는 식용유제품(야자유(Palm oil), 해바라기유) 등의 가격변동에 따라 영향을 받으며, 보통 3월4월에 최고치를 기록하고 여름 중반까지는 하락하다가11월12월에 다시 반등하는 경향이 있다.

    • 바이오 연료는 크게 바이오 디젤과 바이오 에탄올로 구분된다. 바이오 디젤은 디젤을, 바이오 에탄올은 휘발유 또는 에탄올을 대체한다. 바이오 디젤은 동/식물성 기름으로 대두유, 돼지비계, 해바라기유, 팜유 등을 통해 만들어진다. 세계 바이오 디젤은 독일을 위시한 서유럽 국가들이 주도하고 있는데, 유럽의 바이오 디젤 생산량은 490 만톤으로 전체생산량의 60%를 차지한다. 바이오 디젤의 원료는 유채유가 8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지만, 대두유의 경우 가격경쟁력이 있어 대체품목으로 각광을 받고 있 는 상황이다.

  3. 세부내용

    1. | 대두유 생산의 단점 | (2012)
      1. 대두는 옥수수와 재배면적이 일치하기 때문에 재배면적 경쟁을 벌여야 한다. 그런데 2012년까지는 대두에서 셀룰로즈를 이용해 바이오 에탄올을 추출하는 기술이 상업화 되기 전이므로 옥수수에 경지면적을 빼앗길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참고로 대두 재배면적 1헥타르당 대두유 생산량은 0.55톤에 불과하다.
    2. | [USDA] 보고서 발표 일정 |
      1. 1월 : 전년 최종생산량 발표
      2. 3월 : 경작 의향면적 조사결과 발표
      3. 4월~5월 : 경작 진척상황 발표
      4. 6월~8월 : 작황지표/경작 결과/예상생산량 발표
      5. 11월~연말 : 수출검사실적 및 계약실적 발표
  4. 가격변수

    1. 상승요인
      1. 대두 가격 상승 → 대두유 가격 상승 기대
      2. 유가 상승 → 바이오 디젤 수요 증가(대체재) → 가격상승 기대
      3. 야자오일(Palm Oil) 가격 상승 → 대체재 수요 증가→ 대두유 가격 상승 기대
    2. 하락요인
      1. 경작에 유리한 기후(상온) → 생산량 증가 → 대두유 비율 증가 → 가격하락 기대
      2. 이월재고 증가 → 잉여공급 증가 → 가격하락 기대
      3. 미국 대두 생산량 증가(대두 생산량의 55~65% 수준으로 공급량을 추정가능) → 대두유 생산량 증가 → 대두유 가격 하락 기대
마지막 수정 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