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 로봇
#물류 #로봇관련기업
기본정보
- 물류 로봇의 대표적인 성공 사례로 아마존의 KIVA 로봇을 꼽을 수 있다. 아마존은 2012 년에 KIVA 시스템을 인수하며 물류 로봇을 도입하였고, 2021 년 기준 약 35 만대 가량의 모바일 로봇을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 아마존이 물류 로봇을 도입한 이유와 동사의 로봇 도입 대수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배경에 택배 물동량 증가와 인력난을 원인으로 꼽을 수 있다. 아마존은 물류로봇 도입을 통해 [물류센터 운영비용 20% 절감, 순환 속도 3 배 증가, 공간 활용도 50% 향상]이라는 효과를 거두었다.
- 물류 로봇의 경우 대당 수천 만원 수준으로 저렴하지 않고, 도입 시 로봇 운영에 적합한 레이아웃으로 변경할 필요가 있어 추가적인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지만, 그럼에도 물류 로봇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는 이유는 비용 대비 효과가 크기 때문이다
- 폭발하는 이커머스 시장, 늘어나는 물동량: 물류 로봇아 도와줘!
- 2021 년 기준 세계 이커머스 시장의 규모는 약 4.9 조 달러(+16.3% yoy)를 기록했으며, 2025 년까지 약 7.4 조 달러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온라인 소비 증가는 다양한 통계 지표에서도 확인해 볼 수 있다. 이러한 변화의 흐름은 일시적이지 않고 지속되는 트렌드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온라인 쇼핑 증가는 곧 택배 물동량 증가를 뜻한다. COVID-19 확산이 본격화된 2020 년, 국내 택배 물동량은 전년대비 20.9% 증가했으며, 미국(USPS 기준)과 일본도 각각 17.7%와 11.9%를 기록하며 가파른 증가세를 기록했다. 국내 통계 데이터의 경우 온라인 쇼핑 거래액 성장률을 하회하는 모습이나, 이는 한국통합물류협회 소속 사업자가 아닌 온라인 플랫폼 업체들(SSG.COM,마켓컬리 등)의 자체 배송 물량이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국내 택배물동량은 통계 데이터에서 보여지는 것 이상으로 증가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 2021 년 기준 세계 이커머스 시장의 규모는 약 4.9 조 달러(+16.3% yoy)를 기록했으며, 2025 년까지 약 7.4 조 달러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온라인 소비 증가는 다양한 통계 지표에서도 확인해 볼 수 있다. 이러한 변화의 흐름은 일시적이지 않고 지속되는 트렌드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라스트 마일 배송의 시대: 늘어나는 물동량, 그리고 높아지는 소비자의 기대
- 이커머스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물류업계는 본격적인 라스트 마일 배송의 시대를 맞이했다. 주문 후 빠르면 당일, 늦어도 익일까지 배송을 원하는 소비자 요구가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물류업체들은 소비자 만족도 향상과 Lock-in 을 위하여 [새벽배송, 당일배송, 익일배송 등 다양한 라스트 마일배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그리고 이를 위해 풀필먼트 센터를 키우고 MFC(마이크로 풀필먼트센터)와 다크 스토어 등으로 배송 거점을 촘촘하게 구축하여, 남들보다 더 빠르게 정확하게 배송할수 있는 물류망 구축에 나서고 있다. 주문한 상품을 빠른 시간 내에 받아볼 수 있는 편리한 세상이 되었으나, 이커머스 시장의 확대와 늘어나는 택배 물동량, 무엇보다 소비자들의 배송에 대한 눈높이가 높아지며 물류 산업에 부담이 가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세부정보
- 로봇 도입을 시도하는 물류 산업
력부족 사태와 택배 파업 등으로 물류 혼란이 가중되고 있고, 인건비 상승과 임대료 상승 등 비용 증가에 따라 물류 산업의 효율화와 자동화에 대한 필요성이 나날이 커지고 있다. Logistics 4.0 으로 대변되는 물류 자동화의 주역으로 로봇이 주목 받고 있음
가장 대표적인 물류 로봇은 아마존 KIVA 와 같은 AGV(Automatic Guided Vehicle)타입의 로봇이다. [AGV 는 유도테이프나 QR 코드와 같은 유도체를 따라 이동하는 로봇으로 일반적으로 GTP(Goods to Person) 기능을 수행]한다. 물품이 실린 선반을 들어올려 필요한 곳까지 이동해주는 솔루션으로 사람이 일일이 물품을 찾아 돌아다니는 수고를 덜어줄 수 있을 뿐 아니라, 작업 속도 향상과 공간 효율성을 추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최근에는 이동 로봇에 로봇 팔(Arm)을 부착한 매니퓰레이션 기능과 SLAM 등 로봇 자율주행기술, 인공지능을 활용한 비전 인식 기술의 발전으로, 물품 분류와 포장, 상하차, 피킹 업무까지 로봇의 업무 영역이 확장되었으며, 라스트 마일 배송에도 로봇 활용이 시도되고 있다. 개별적으로 로봇을 활용하는 방법 외에 물류 창고를 통째로 자동화해 효율성과 신속성을 극대화한 큐브형 창고 시스템도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 아마존/ 쿠팡/ 이마트의 물류 자동화 수준
- 물류 주요 프로세스
- 물류 로봇, 나아가야할 방향성은? Raas 와 AMR 에 주목!
- 물류 로봇의 본격적인 보급을 위해서는 먼저 도입 비용이 낮아져야 한다. 그리고, 물량 변화와 주위 환경 변화 등 변동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Pain point 에 주목한 다수의 기업들이 렌탈 서비스등 다양한 서비스와 솔루션 제공에 나서고 있다.
- 로봇 도입을 시도하는 물류 산업
시장규모
- IFR 은 World Robotics 2020 에서 전세계 물류 로봇 시장이 2023 년 기준 연 26 만대(2019 년~2023 년 CAGR 36%) 규모의 시장이 될 것으로 예측
리스크요인
물류 로봇 도입 왜 더딘가?
- 가장 널리 쓰이는 AGV 의 경우, 창고 레이아웃을 로봇 도입에 적합한 설계로 변경할 필요가 있을 뿐 아니라, 유도체(마커, QR 코드)와 보관 선반 등을 추가로 설비할 필요가 있다. 로봇 본체 가격도 대당 수천 만원을 호가해 저렴하지 않고, 로봇 관제 시스템과 운용 인력 또한 갖출 필요가 있다.
- Geek+사의 도입 사례를 보면 대당 설치비용 등을 포함해 5 천만원 수준으로 100 대 도입 시 50 억원 규모의 투자가 필요한 것으로 추정된다. 막대한 비용을 들여 설비 투자를 실시하더라도, 재고또는 취급 물량 증감에 따른 공간 부족/낭비의 리스크가 있으며, 물류 센터의 일부 공간을 임차하는 경우(일반적으로 2~5 년) 임차계약 종료 라는 불확실성 존재
물류센터 수급의 타이트 함이 불러올 비용 증가
- 글로벌 각국의 물류센터 공실률이 계속해서 하락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공실률은 임대가능면적 중 임대 가능 면적의 비율]이다. 이는 직접적으로 물건 보관 공간이 부족함을 뜻하는 것은 아니지만, 물류센터의 공실률이 낮다는 것은 [물류센터 수급이 타이트하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이는 곧 [물류센터 임대료 상승]으로 이어져 [물류업체의 비용 증가 요인]이 된다.
- 같은 공간이라도 더욱 많은 물건을 적재하고 보관하며 처리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으로 판단
마지막 수정 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