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량 #원자재 #밀 #곡물 #농산물
  1. 테마구분: 곡물,농산물
  • 주요 이벤트 / 변동이슈
    • 2023년
      • 2023-06-13
        • 미국 [봄밀 컨디션이 시장 예상치인 65% 대비 5%p 낮았고] 유럽 등지의 [전반적인 밀 가격 상승] 영향에 지지

  1. 기본정보

    • 생산국: 유럽, 중국, 인도, 미국, 러시아, 호주, 캐나다, 우크라이나 (8개 국가가 세계 생산량의 70% 이상 차지)
    • 수출국: 미국, 유럽, 캐나다, 호주, 아르헨티나
    • 수입국: 러시아, 중국, 인도
    • 용도: 식량(60%), 사료용(20%), 종자용(8%) 등
    1. | 밀(소맥)의 특성별 분류 |

      • 생육특성 (파종 및 수확시기)
        • 겨울밀 : 가을 파종, 여름 수확
        • 봄밀(듀럼포함) - 봄 파종, 가을 수확
      • 색깔
        • 적맥 / 백맥
      • 껍질(단단함)
        • 경질밀 / 연질밀
    2. 파종기 / 파종량

    • 밀 파종기: 월동율이 가장 높은 시기에 파종하여야 수량이 증대하고 성숙도 촉진.

    • 밀 파종량: 종자를 적게 뿌리면 이삭은 크게 되지만 이삭 수가 부족하고 많이 뿌리면 이삭 수는 증가하지만 이삭이 적게 되는 동시에 도복이나 병이 발생되기 쉽다

    • 밀(Wheat)은 볏과의 한해살이풀 또는 두해살이 풀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식량작물 중의 하나다. 약 9000년 전 아시아 일부 지역에서부터 유럽, 아프리카, 아메리카 등지로 전해져 현재는 남극대륙을 제외한 전 지역에서 생산되고 있다. 전세계에 걸쳐 약 20여종이 재배되고 있으나, 상업적으로 주로 활용되는 밀은 3 ~ 4 종류로 압축된다.

    • 밀은 일 칼로리섭취량의 20%를 차지할 정도로 전세계인의 주식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겨울밀의 주요 용도는 밀가루이지만, 이외에 양조와 증류하는데도 활용되고 있다.

    • 밀의 생산은 1) 파종시기의 수분함량, 2) 재배기간중의 강우량, 3) 수확 시 강우량 등에 크게 영향을 받 는다. 한편, 최근 세계 전체의 밀 재배면적은 약 23,100만 헥타르로 이는 전체 곡류재배면적의 35%이 상에 해당된다. 6개 대륙 80개 국가에서 생산되나, 8개의 주요국가가 세계전체생산의 70 ~ 75%를 차지 하고 있다. 또한 밀은 전체 곡류교역량의 약 50%정도를 차지하여, 국제곡류시장에서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 밀의 용도는 식용으로 약 65%, 사료용으로 21%, 종자용으로 8%, 공업용으로 6% 가량 이용된다. 그러나 수확시기에는 강우량에 따라 밀의 발아현상이 일어날 경우 식량용으로 사용이 불가능하므로 사료 및 공업용으로 전환된다.

    • 밀 재배에는 양토 ∼ 식양토가 가장 알맞으며 사질토는 수분과 양분의 부족을 초래하고 식질토는 토양 공기의 부족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또한 토양부식이 풍부하여 입단 구조가 잘 형성되어 있어야 공기, 수분 및 양분의 모든 면에서 유리하여 생육이 잘 되고 수량이 증대된다. 최적토양 수분 함량은 최대 용 수량의 60 ∼70%라고 한다.

    • 벼 후작으로 논에 밀을 재배할 경우에는 지하수위가 제일 중요하기 때문에 생육 및 수량이 지하수위에 따라 민감한 영향을 받는다. 생육초기에는 뿌리가 땅속 깊게 뻗은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지하수위가 높아도 많은 해를 받지 않지만 생육후기에 지하 수위가 높으면 피해가 커진다. 밀 재배에 알맞는 지하수위 는 70cm 정도이다.

    • 밀은 겨울 동안 강한 바람과 강추위가 닥칠 경우 뿌리가 제대로 자리잡지 못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평년기온을 상회하는 기후가 파종에 유리하다. 한편, 발아기에는 충분한 수분이 필요하며 수확기에는 성장이 거의 끝난 단계이므로 기후는 수확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2. 세부내용

    1. 주요 소비처별 소맥 수요 비중(식품, 사료, 기타)
  3. 가격변수

    1. 상승요인
      1. 비료가격/ 농약가격 상승 → 원가상승 → 가격상승 기대 -
      2. 건조한 기후 지속 → 생산 감소 예상 → 가격상승 기대
      3. 파종지연 → 생산 감소 예상 → 가격 상승 기대
      4. 신흥시장(중국) 소득증가에 따른 육류 소비 증가 → 사료 수요 증가 → 가격 상승 기대
      5. 유가 급등 → 생산 단가 상승 + 바이오 연료 수요 증가 → 가격 상승 기대
      6. 대체재 경작면적 증가 → 소맥 경작면적 감소 → 이듬해 소맥 생산감소 기대 → 가격 상승 기대
    2. 하락요인
      1. 경작면적/수확율 상승 → 생산 증대 예상 → 가격하락 기대
      2. 이월재고 증가 → 잉여공급 증가 → 가격하락 기대
마지막 수정 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