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타디엔

#부타디엔 #Butadiene #합성고무 #타이어 #ABS수지 #석유화학 #올레핀 #스프레드 #원료가격 #크래커 #경기사이클 #글로벌기업 #ChandraAsri #TSRC #천연고무대체 #친환경원료 #투자전략 #지정학적리스크 #에틸렌 #프로필렌 #올레핀 #에틸렌 #프로필렌 #나프타

1. 부타디엔의 개념

!Pasted image 20250929162411.png

부타디엔(Butadiene, BD)은 탄소 원자 4개와 수소 원자 6개로 이루어진 무색의 가연성 기체로, 탄소 이중 결합을 두 개 포함하는 올레핀 계열의 불포화 탄화수소입니다. 주로 원유를 나프타 크래커(Naphtha Cracker)에서 열분해하여 [에틸렌, 프로필렌 등을 생산할 때 부산물] 얻어지며, 석유화학 산업에서 합성고무 및 다양한 고기능성 플라스틱의 핵심 원료로 사용됩니다.


2. 주요 사용처

부타디엔은 그 특성상 탄성이 요구되는 제품과 내충격성이 중요한 플라스틱 생산에 필수적입니다.

(1) 합성고무 제조

  • 타이어: 자동차 타이어 제조에 사용되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폴리부타디엔 고무(BR)의 주원료입니다. 전 세계 부타디엔 수요의 약 70%가 합성고무 생산에 사용됩니다.
  • 산업용 고무: 컨베이어 벨트, 호스, 개스킷 등 산업 전반의 고무 제품 제조에 쓰입니다.
  • 라텍스: 종이 코팅, 카펫 등에도 사용되는 라텍스 생산에 활용됩니다.

(2) 고기능성 플라스틱 제조

  • ABS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수지의 핵심 원료. ABS는 내충격성, 내열성, 가공성이 우수하여 자동차 내외장재, 가전제품 외장재, 장난감 등에 널리 사용됩니다.

(3) 기타 화학제품 제조

  • 아디포니트릴(Adiponitrile) 등 나일론 중간체, 기타 정밀 화학제품의 원료로도 사용됩니다.

3. 연관 산업

부타디엔 산업은 다음과 같은 산업들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 석유화학 산업: 부타디엔의 생산 및 주요 파생 제품(SBR, BR, ABS)의 제조를 담당하는 핵심 산업입니다.
  • 정유 산업: 나프타 크래커의 원료인 나프타를 공급하며, 원유 정제 과정에서 부타디엔의 전구체 물질이 생성됩니다.
  • 자동차 산업: 타이어(SBR, BR) 및 자동차 내외장재(ABS) 수요처로서 부타디엔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 가전 산업: 가전제품 외장재(ABS) 수요처입니다.
  • 바이오 연료 및 친환경 소재 산업: 바이오 나프타를 이용한 바이오 부타디엔 생산 연구 및 상용화 노력은 친환경 소재 산업과 연결됩니다.

4. 연관 기업

(1) 부타디엔 생산 및 파생 제품 제조업체

  • Chandra Asri Petrochemical Tbk (TPIA) - 인도네시아 최대 석유화학 기업으로, 올레핀, 폴리올레핀, 스티렌 모노머, 부타디엔 등을 생산합니다.
  • TSRC Corp.(2103.TW) - 대만 기반의 합성고무 제조사로, 에멀젼 스티렌-부타디엔 고무(E-SBR) 등 합성고무 제품을 생산합니다.
  • Formosa Petrochemical Corp (6505.TW) - 대만 기반의 통합 정유 및 석유화학 기업으로, 원유 정제, 석유 정제 제품 판매, 에틸렌, 프로필렌, 부타디엔 등 올레핀 생산 및 판매에 관여하고 있습니다.
  • Lion Elastomers (Trinseo에서 분사) - 합성고무 및 라텍스 생산. SBR과 BR 생산에 부타디엔을 사용합니다. (비상장)
  • Sumitomo Chemical (4005.JP) - 일본의 종합 화학 기업으로, 바이오 납사로부터 생산되는 바이오 모노머로 부타디엔을 전환하기 위한 협력 등 친환경 부타디엔 생산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 Mitsui Chemicals (4183.JP) - 일본의 화학 기업으로, 올레핀 및 석유화학 제품을 생산하며 부타디엔 사업과 연관됩니다.
  • Idemitsu Kosan (5019.JP) - 일본의 정유 및 석유화학 기업으로, 부타디엔 생산 및 활용과 관련이 있습니다.
  • North Huajin Chemical Industries Co., Ltd.(000059.SZ) - 중국의 석유화학 제품 및 화학 비료 생산 판매 기업으로, 석유화학 제품 포트폴리오에 부타디엔 관련 사업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 PTT Global Chemical (GC)PTTGC.BK - 태국 국영 석유가스공사 PTT의 화학사업 자회사로, 올레핀 및 파생 제품을 포함한 석유화학 제품 생산.
  • LyondellBasell Industries N.V.(LYB) - 세계 최대 폴리올레핀 생산 기업 중 하나로, 올레핀 부문에서 부타디엔 및 그 파생 제품과 연결됩니다.

4. 주된 산지 및 생산 방식

부타디엔은 주로 [에틸렌 생산 공정의 부산물]로 생산되므로, 에틸렌 크래커가 밀집된 지역에서 생산이 집중됩니다.

  • 북미 (미국): 셰일가스에서 나오는 에탄을 원료로 하는 에틸렌 크래커가 많아 부타디엔 생산 역량이 큽니다.
  • 서유럽: 나프타 기반 크래커가 많아 부타디엔 생산량이 많습니다.
  • 아시아 (중국, 한국, 대만, 태국, 인도네시아): 대규모 석유화학 단지를 통해 부타디엔을 생산하며, 특히 중국은 합성고무 등 다운스트림 수요가 큽니다.

5. 리스크 요인

부타디엔 산업 투자 시 고려해야 할 주요 리스크는 다음과 같습니다.

  • 원료 가격 변동성: 부타디엔은 주로 나프타 크래커의 부산물로 생산되므로, 원유 가격에 연동되는 나프타 가격 변동에 큰 영향을 받습니다. 원료 가격 상승은 부타디엔 마진을 압박합니다.
  • 글로벌 경기 사이클: 타이어, 자동차, 가전 등 전방 산업의 수요가 글로벌 경기 침체 시 급감할 수 있으며, 이는 부타디엔 수요와 가격에 직접적인 영향을 줍니다.
  • 수급 불균형: 신규 에틸렌 크래커 건설에 따른 부타디엔 공급 증가 또는 타이어 산업 등 전방 산업의 갑작스러운 수요 변화는 수급 불균형을 초래하여 부타디엔 가격 및 스프레드의 급격한 변동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 경쟁 심화: 합성고무 시장에서 천연고무와의 가격 경쟁이 상존하며, 바이오 기반 고무 등 대체 소재의 개발도 장기적인 경쟁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 환경 규제: 석유화학 산업 전반에 대한 환경 규제 강화 및 탄소 배출량 감축 요구는 생산 비용 증가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6. 업사이드

부타디엔 시장의 성장 가능성을 뒷받침하는 요인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자동차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 전 세계적인 자동차 생산 증가, 특히 신흥국의 수요 증가는 타이어 수요를 견인하여 합성고무의 주원료인 부타디엔 수요를 증대시킬 것입니다.
  • 고기능성 플라스틱 수요 증가: ABS 수지와 같은 고성능 플라스틱은 가전, IT 기기, 자동차 경량화 등에 사용되며, 이들 산업의 성장은 부타디엔 수요를 꾸준히 이끌 것입니다.
  • 천연고무 가격 변동성: 천연고무의 공급 불안정이나 가격 급등 시 합성고무 수요가 증가하여 부타디엔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친환경 바이오 부타디엔 개발: 폐식용유 등 친환경 원료를 활용한 바이오 부타디엔 생산 기술 개발은 지속 가능한 솔루션에 대한 수요 증가와 함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수 있습니다.
  • 신흥국 인프라 투자 확대: 신흥국의 건설 및 인프라 투자 증가는 건축 자재, 파이프 등 다양한 산업용 고무 제품 수요를 늘려 부타디엔 시장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 부타디엔 시장 성장 전망: 부타디엔 시장은 2035년까지 709.5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연평균 성장률(CAGR)은 6.55%에 이를 것으로 예측됩니다.

7. 결론

부타디엔은 합성고무 및 고기능성 플라스틱 산업의 핵심 원료로서, 자동차, 가전, 타이어 등 전방 산업의 성장에 따라 수요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신흥국의 산업 발전과 인프라 투자는 긍정적인 성장 동력입니다. 그러나 원료 가격 변동성, 글로벌 경기 사이클, 그리고 수급 불균형은 주요 리스크 요인입니다. 투자자는 주요 생산 기업들의 원가 경쟁력, 파생 제품 포트폴리오, 그리고 바이오 기반 부타디엔과 같은 친환경 솔루션 개발 노력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투자 기회를 모색해야 합니다.

마지막 수정 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