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 치료제
#비만치료제 #헬스케어 #바이오텍 #바이오 #위고비 #마운자로 #젭바운드 #AMGN #LLY #NOVO #삭센다 #GLP-1수용체작용제최근 이슈/리포트
- 2024-09-09,
비만이란?
비만은 제2형 당뇨병과 심혈관질환, 고혈압, 뇌졸중, 암 등 여러 심각한 질병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제2형 당뇨병은 체중 증가에 따른 인슐린 저항성 증가로 혈당 조절 장애가 나타나면서 발병된다. WHO(World Health Organization; 세계보건지구)에 따르면 제2형 당뇨병 환자의 80~90%가 비만을 겪고 있다. 또한 체중 증가로 인해 심장에 가해지는 부담이 커지면 심혈관 질환 위험이 증대된다.
비만치료제
- 대포적인 치료제: 마운자로, 젭바운드, 삭센다, 위고비
- 비만 치료제의 발전: GLP-1 등장
- GLP-1 수용체 작용제(GLP-1 receptor agonist)는 인 크레틴 호르몬인 GLP-1(Glucagon-Like Peptide-1)을 모방하여 혈당 조절 및 체중 감소를 유도하는 약물
- GLP-1 수용체 작용제는 크게 위장관계와 중추신경계에 작용하는 기전을 갖는다. 위장 관계에서 GLP-1은 미주신경(vagus nerve)을 억제함으로써 식후 위 배출 억제, 위산 분비 감소, 위 및 십이지장 운동 억제와 같은 작용을 유도한다. 췌장에서는 인슐린 분비 증가, 글루카곤분비 감소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중추신경계에서 GLP-1은 시상하부 섭식 중추, 뇌간 기질, 중간변연계 기질 등에서 발현 되어 식욕을 직접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GLP-1은 다른 펩타이드들과 함 께 에너지 항상성 조절에도 영향을미친다.
- 비만 환자이면서 제2형 당뇨병 또는 심혈관 질환 증상도 있는 환자에게는 1차 치료 옵션으로 리라글루타이드(Liraglutide)나 세마글루타이드 (Semaglutide)가 처방되는 반면, 우울증이나 약물 의존증을 보이는 환자에게는 콘트라브(성분명: Naltrexone/Bupropion)가 1차 치료로 주로 처방
- GLP-1 수용체 작용제(GLP-1 RA)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하다. GLP-1이 췌장과 위장관, 중추 신경계, 심혈관계, 지방 조직 등 다양한 신체 부위에서 작용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제2형 당뇨병과 비만뿐만 아니라 MASH(Metabolic associated steatohepatitis; 대사 이상 관련 지방간염), 심혈관 질환, 알츠하이머병 치료제로 임상시험이 진행되고 있다.
- 비만 치료제 지출은 3년 만에 7배 증가
- 전 세계 비만 치료제 지출은 2023년 240억달러에 달했다. 2020년 32억달러였으나 새로운 제제인 GLP-1 RA의 등장으로 3년 만에 7배 이상 상승
- 보험사와 정부가 더 광범위한 보상을 지원할 경우 비만 치료제 시장은 더욱 커질 전망
- 현재, 미국 보험사들은 비만 치료제가 급여 적용을 받을 수 있는 조건을 매우 엄격하게 설정
- 당뇨병 치료제로 승인된 오젬픽은 ACA(Affordable Care Act) 보험(오바마케어) 플랜의 82%에서 보험 적용을 받고 있는 반면 비만 치료제로 승인된 위고비는 단 1%에서만 커버리지 적용을 받고 있다. 즉, 위고비와 오젬픽은 동일한 성분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적응증에 따라 보험 커버리지가 다르게 적용된다는 것
- 노보노디스크(NVO)와 일라이 릴리(LLY) 등 제약사들은 비만 치료제의 보험 급여 적용 확대 및 환자의 비용 부담을 줄이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펼치고 있다.
- 제한적인 보험 급여 적용에도 불구하고 위고비와 젭바운드의 처방은 계속 늘고 있다. 폭발적인 수요 증가로 노보노디스크와 일라이 릴리는 몇 년동안 공급 부족 사태를 겪고 있다.
- 복잡한 제조 공정과 높은 합성 비용으로 인해 펩타이드 약물을 생산하는 전문 cGMP(Current Good Manufacturing Practice) 시설의 수는 적은 편이다. 이에 따라 노보노디스크와 일라이 릴리는 펩타이드 전문 CMO와 협력하거나 펩타이드 제조 공장 인수 및 기존 공장 증설 등으로 생산 Capa를 확장하는 방식으로 공급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 치료제의 진화(Daily → Weekly → Monthly 제형)
- 약물의 작용시간은 증가하고 투여 빈도는 감소해 환자에게 편의성을 제공
- 반감기 늘리는 장기 지속형 주사제
- 장기 지속형 주사제(Long-acting Injectable; LAI) 기술에는 폴리머 마이크로스피어(Polymer Microsphere), 지질 나노입자(Solid Lipid Nanoparticle; SLN) 적용 기술, 오일 현탁제(Oil Suspension) 기술 등이 있다. 단백질이나 펩타이드에 가장 많이 적용되는 장기 지속형 기술은 마이크로스피어(Microsphere) 기술이다.
- 국내에서는 펩트론과 인벤티지랩이 장기 지속형 기술을 보유
- 비만 치료제의 발전: GLP-1 등장
국내외 파이프라인 업데이트
- 티르제파타이드(Tirzepatide; 판매명: 젭바운드; 일라이 릴리)
- 서보두타이드(Survodutide): (GLP-1/GCG 이중작용제; 베링거인겔하임/질랜드)
- VK2735(GLP-1/GIP 이중작용제; 바이킹 테라퓨틱스) - 티르제파타이드와 동일한 GLP-1/GIP 이중 작용제
- 레타트루타이드Retatrutide(GLP-1/GCG/GIP 삼중작용제; 일라이 릴리)
- 카그리세마Cagrisema(GLP-1/Amylin 이중작용제; 노보노디스크)
- 에피노페그듀타이HM15275(GLP-1/GIP/GCG 삼중작용제; 한미약품)
- 한미약품은 자체 장기 지속형 기술인 LAPSCOVERY를 적용해 GLP-1/GCG/GIP 삼중 작용제 HM15211과 HM15275, GLP-1/GCG 이중 작용제 에피노페그듀타이 드(Efinopegdutide; HM12525A)를 개발하고 있다
- DA-1726(GLP-1/GCG 이중 작용제; 동아에스티)
경구용 비만 치료제 등장
경구용으로 편의성 증대: ① GLP-1 펩타이드
- GLP-1을 활용해 경구용 비만 치료제로 가장 먼저 개발된 제품은 펩타이드 기반 약물인 세마글루타이드를 경구 제형으로 변경한 리벨서스(Rybelsus, NVO)
25년 초 기준 GLP -1 치료제 를 투약 하는 환자 수는 약 2천만명으로 22 년초 대비 약 3배로 증가하면서 고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25 년초 기준 GLP-1 약물 시장 점유율은 Novo Nordisk(NVO) 와 Eli Lilly(LLY) 가 각각 62% 와 35% 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Pasted image 20250819151219.png
Novo는 이미 19년 T2D를 적응증으로 경구용 semalgutide 제품인 Rybelsus(리벨서스)를 허가 받아 판매 중이며, 25년 semaglutide 25mg을 비만 적응증으로 허가를 신청, 4Q25 FDA 허가가 예상된다.
Lilly가 개발하고 있는 저분자 GLP-1 치료제인 올포글리프론(orforglipron)도 4월 T2D 임상 3상(ACHIEVE-1)에서 혈당 조절 효과 등을 확인했다. 2Q25 Lilly 실적 발표에서 ATTAIN-1(비만임상 3상) 결과도 공개했으며 용량 의존적 체중 감량 효과를 보였다. Lilly는 orforglipron을 비만 적응증으로 연내 허가 신청할 예정으로 허가 및 출시는 26년 하반기로 예상되며 주사제에 이어 경구제 시장에서도 Novo와 Lilly의 경쟁 구도는 이어질 전망이다.
GLP-1 치료제 시장에서도 주사 두려움으로 인한 투약 거부가 존재할 것으로 보이며, 특히 비만 시장에서 약물에 관심은 있었으나 제형 특성으로 인해 투약하지 못했던 환자 비율은 더욱 클 것으로 추정된다 . 경구용 GLP -1 약물은 기존 주사 제형과의 시장 경쟁뿐만 아니라 바늘 공포증을 가진 환자들에 대한 신규 수요까지 발생시킬 것으로 예상한다.
2월 로이터 보도에 따르면 LillyLilly는 5.55.5억 달러의 orforglipron을 출시 전 재고 자산으로 준비하고 있으며, 매출로 환산할 경우 약 100 억 달러 규모로 추정된다.
해당 보도 시점에서 orforglipron은 3상 임상 결과도 확보되지 못했으며 허가 및 출시가 예상되는 시기도 26년 중순 이후라는 점에서 미리 재고를 비축하고 있는 점은 이례적이다.
Lilly는 Novo와 함께 GLP-1 비만 치료제 시장이 본격화되면서 폭발적인 수요로 인해 공급에 어려움을 겪었던 경험이 있으며, 경구용 비만 치료제 시장에서도 비슷한 양상을 보일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선제적인 대응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주요 경구용 비만 치료제 개발 현황
Oral amycretin(GLP-1/Amylin 이중 작용제; 노보노디스크)
DD02S(GLP-1 RA; 디앤디파마텍/[Metsera)],MTSR(9.9_모두가%20기다린%20마법의%20약.pdf#page=52&selection=6,17,11,9&color=yell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