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냉식

#냉각시스템 #데이터센터 #수냉식 #액침냉각

수냉식공랭식보다 고밀도의 랙을 냉각시킬 수 있고 전력 사용량이 적기 때문에 PUE를 향상 시켜 데이터센터의 에너지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수냉식은 20kW 이상의 랙을 냉각시킬 수 있다. 수냉식은 냉각탑과 냉동기 배관 등 구성이 복잡해지기에 초기 설치비는 높다.

하지만 용량 직접도 측면에서 1대로 보다 많은 서버를 냉각 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공간 효율성 높고, 수많은 모터를 돌리지 않기 때문에 전력 비용이 공랙식 대비 28% 낮다. 수냉식은 적은 물 사용량과 에너지 효율성으로 인해 4~15%의 PUE 저감효과가 있다. 결과적으로 데이터센터의 PUE를 1.0으로 낮추기 위해서는 수냉식이 필요하다.

수냉식은 3가지 방식으로 나뉘며 1) DTC(Direct to Chip), 2) AALC(Air assisted liquid cooling), 3) 액침냉각(Immersion Cooling)이 있다.

[DTC]는 칩 위로 냉각수를 순환시켜 열을 흡수한 다음 열 교환기를 통해 열을 회수하는 방식

[AALC ]방식은 랙 후 면에 액체로 채워진 판을 부착해 공기 냉각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공랭식과 수냉식의 혼합 형태라고 볼 수 있다.

대표 기업

Stulz - 냉각 시스템 - 수냉식 LiquidStack - 냉각 시스템 - 수냉식 Iceotope - 냉각 시스템 - 수냉식 Usystems - 냉각 시스템 - 수냉식 3M MMM.US 냉각 시스템 – 액침냉각 Submer - 냉각 시스템 – 액침냉각 Green Revolution Cooling - 냉각 시스템 – 액침냉각

마지막 수정 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