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유

#에너지 #원자재 #원유 #WTI #브렌트유
  1. 테마구분: 화석연료, WTI, 브렌트유
  1. 기본정보

    • 생산국: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이란, 미국, 이라크, 나이지리아, 브라질, 리비아
    • 수입국: 중국, 일본, 인도네시아, 한국 등
    • 용도: 자동차, 비행기, 선박, 산업용, 난방 연료 등 에너지 동력 자원
    • 가솔린(Crude Oil)은 점화 가능한 탄화수소 액체 연료가 100가지 이상 혼합된 것이며 내연기관의 연료로 사용된다. 또한 가솔린으로 정제하는 원료유의 절반 이상은 석유 원료나 원유가 차지하고 있다.
    • 정제 가동은 세 가지 과정을 거치게 된다. 분류 과정(각종 화학 성분에서 원유 분리), 변환 과정(화학적 작용을 통한 탄화수소 분자 추출), 취급 과정(탄화수소 분자와 다른 첨가물 들과의 변환 및 조합), 마지막 으로 “hydro treating” 이라고 불리는 과정인데, 이 과정은 가솔린 정제 후 유황의 중요한 양을 제거하는 것이다.
    • 1990년 의회에서는 대기오염방지법을 제정하여 공기 질의 개선과 해로운 발산 물질을 줄이기 위한 시도를 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매해 2억 갤런의 에탄올을 가솔린에 추가하고 있다. 가장 일반적인 혼합물은 E10으로 10%의 에탄올과 90%의 가솔린으로 구성된다.
    • WTI(미국의 서부 텍사스산 중질유), Brent(영국의 북해산 브렌트유), Dubai(아랍에미리트연방의 두바이유) 가 세계 3대 유종으로 꼽히며, 세계 최대 선물시장인 NYMEX(뉴욕상업거래소)에서 주로 거래되는 WTI 가 가장 대표적인 유종이다. WTI는 미국 서부에 위치한 텍사스에서 뉴멕시코에 이르는 광대한 지역에서 생산되는 원유로, 미국에서 생산되기 때문에 미국 석유시장에서 거래되는 모든 원유가격을 결정하는 기준으로 사용된다.
    • 국제유가는 2008년 초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였다가 미국 경기 침체 우려로 다소 하락하기도 했지만 공급요인의 불안이 증가함에 따라 최근 들어 다시 빠르게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OPEC에서의 감산 가능성, 지정학적 불안 확산 및 정제시설 사고 등에 따른 석유공급 차질 우려가 이어진데다 미국 달러화 약세로 투기 수요가 가세하며 최고치를 경신하는 모습을 나타냈다.
    • 경제의 유기적인 움직임으로 유가 상승은 세계 각국으로 하여금 대체에너지 개발에 나서도록 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옥수수는 대체에너지인 에탄올의 생산원료로 쓰이고 바이오 연료는 유가 상승으로 점점 시장 점유율을 높여가고 있는 추세다.
  2. 세부내용

    1. 보고서 발표 일정 (EIA)
    • Weekly Crude Oil Storage Report : 목요일 0:30
    • This week in Petroleum :목요일 3:00
    • Gasoline & Diesel Fuel Update : 화요일 7:00
    • US Retail Gasoline Prices : 화요일 7:00
    • Short-term Energy Outlook : 둘째 주 화요일
    • Annual Energy Outlook
    • International Energy Outlook : 6월
    1. 유가 상승 → 글로벌 인플레이션

      • 중국 등 개도국의 경제발전이 가속화되면서 원유를 비롯한 원자재의 수요가 급증. 이에 따라 유가 및 국제 원자재가격의 급상승이 초래 되어 비용 측면에서의 인플레이션이 유발
    2. 정유 주식별 생산량 중 석유가 차지하는 비중

      • 브라질 페트로브라스(pbr)가 80%에 달할 정도로 가장 높고, 콜롬비아 에코페트롤(ec) 또한 75%를 넘음. 반면 미국 셰일 쪽은 상대적으로 Gassy 한 모습. 오빈티브(ovv)는 25%, 코테라(CRTA)는 13.7%
  • 가격변수

    • WTI 유가 가격 상승/하락 변수
      • 2024년 하반기 원자재 시장 전망, page 7
    • 상승요인
      1. 원유 및 가솔린 재고 감소 → 수급 불균형 → 가격상승 기대
      2. 계절적인 요인(여름, 겨울) → 수요 증가 → 가격상승 기대
      3. 지정학적 리스크 → 전쟁 및 분쟁 발생 → 가격상승 기대
      4. 정제소 노후/ 정유시설의 노후 → 공급 우려 → 가격상승 기대
      5. 파이프 라인의 파손 및 수리 → 공급 우려 → 가격상승 기대
      6. 인플레이션에 따른 투기세 유입 → 투기 매수 → 가격상승 기대
    • 하락요인
      1. 세계 경기 둔화 / 경기 침체우려 → 수요 감소 → 가격하락 기대
      2. 미국 달러화(결제통화)의 가치 변동 → 달러 강세 → 가격하락 기대
      3. 전략 비축유(SPR) 증가 → 공급우려 감소 → 가격하락 기대
      4. OPEC(석유수출국기구)에서의 증산 결정 → 공급우려 해소 → 가격하락 기대
  • 대체수요

마지막 수정 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