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차전지

#이차전지 #전기차 #휴머노이드 #로봇 #배터리 #리튬 #코발트
  • 최근이슈

    • 2025년 2025-02-18 미국 시황 정리]], BYD는 2027년부터 전고체 배터리 시험 양산, 2030년부터 대규모 탑재 계획 발표.
      • eVTOL은 수직이착륙 항공기를 의미하며, 관광/화물/보안/의료 등 분야에 잠재력 있음. eVTOL 이착륙에 필요한 전력은 지상 주행의 10~15수준. 배터리에도 에너지 밀도, 사이클 수명, 안전성 측면에서 전기차보다 더 엄격한 기준이 요구됨.

        지금은 삼원계 하이니켈 원통형배터리가 주로 쓰이고 있지만, 향후 최소 밀도 400wh/kg 이상, 1000wh/kg까지 가능한 전고체 배터리 요구됨.

        휴머노이드 로봇에는 주로 삼원계/LFP 원통형 배터리가 탑재되고 있음. 일반적으로 48~58V 전압이 채택되며, 2kwh 수준의 용량 배터리가 탑재됨. 이에 따라 배터리 수명이 2시간 이내인 경우가 많은데, 앞으로 노동력 대체 및 AI 기술과 결합되면 전력 소비량이 훨씬 크게 늘어남. 이에 따라 휴머노이드 로봇에도 에너지 밀도 및 용량 증대 요구가 있으며, 가정용일 경우에는 안전성 이유로 전고체 배터리 채택도 가능성 있음.

        중국에서 eVTOL 1대 당 약 40만달러이며, 제조 비용 중 약 30%가 배터리 가격.

        휴머노이드 로봇 1대 당 배터리 용량 3kwh, 100만대 보급시 3gwh 수요. 미국/유럽/국내에서도 전방 산업 발전이 가속화된다면 국내 전고체/4680 배터리 밸류체인 주가 모멘텀으로 작용할 수 있음

      • 2025-03-26, Tesla(TSLA) 논란, 미국 EV 수요 기반 확대로 이어질 것

        • 최근 Elon Musk의 정치 참여로 인해 Tesla 브랜드 가치에 대한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이것이 판매량 부진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이다. 당사는 이러한 논란이 오히려, 미국 전기차 수요 기반 확대로 이어질 것으로 판단한다.

          Tesla의 지지 기반이 되어주던 환경과 에너지 전환에 관심이 많은 수요자들과 일부 Blue State 지지자들이 Tesla의 수요 기반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수요자들이 내연기관을 구매할 가능성은 낮다. 이들이 Tesla 외 OEM들의 전기차를 구매할 가능성이 높다는 판단이다.

          관건은, 전통적인 Red State 지지자들이 Tesla 차량 구매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Trump 대통령이 Tesla 차량을 구매한 이후 Tesla 차량 구매가 늘어날 것으로 추정되는데, Trump 대통령이 Tesla 차량을 시승하면서 “모두 다 컴퓨터야! (Everything is Computer!)” 라고 언급한 것이 전기차가 가진 기후변화 대응 및 에너지 전환 관련 이미지를 첨단 기술 디바이스로 전환시키는 중요한 모멘텀이 될 것으로 판단한다. 이에 따라, 기존 기후변화에 부정적인 인식을 가졌던 Red State 지지자들이 Tesla 차량을 구매하는데 동인이 될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Trump 대통령의 전기차에 대한 인식 변화는 향후 전기차 보조금 관련 정책 변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미국 전기차 침투율은 Red State와 Blue State가 극명한 차이를 보인다. 미국 전기차 침투율이 ‘24년 10% 였던데 반해, Red State 중 10%를 넘는 주가 거의 없다. 반면, California, Oregon 등 중요한 Blue State 지역에서 전기차 침투율은 20%를 상회하고 있다. 따라서, 2Q25 이후, Tesla 신형 ModelY가 미국에 인도되고 전체 판매량이 회복되는 시기에, Tesla 전기차 판매가 GM, 현대/기아, Ford 등의 전기차 판매를 잠식하기 보다는 동반성장 할 가능성이 높다. 이는 미국 전기차 시장 수요 기반을 크게 확대시키는 요인으로, 미국 전기차 시장 성장 모멘텀이 될 것으로 판단한다.

  • 한국기업

    • 전고체

      • LG에너지솔루션 : 2030년까지 황화물계 전고체 배터리 양산에 집중
      • SDI : 2027년 전고체 배터리 양산 계획. 2023부터 EV업체들 대상으로 테스트 중
      • SKON : 2023년 미국 Solid Power과 기술 이전 협약, 2025년까지 pilot plant 설립 계획
      • POSCO 그룹 :
        • 전고체 전지용 양극재 Pilot Plant 운영, 균일한 보호코팅 적용 통해 계면 부반응 방지, 수계 코팅액 활용으로 저가화 추진
        • 전고체 전지용 리튬메탈음극, 광폭제조기술 및 보호코팅 개발로 안전성 향상 가능, 데모플랜트 운영 중
        • P-JK솔리드솔루션, 전고체 전지용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양산 중. L i2S(리튬황) 저가 소싱으로 원가경쟁력 가능. 26년 200톤 목표
      • Ecopro 그룹 :
        • 황화물계 고체 전해질 양산 라인 투자 계획. 2026년 3월 300만톤 규모 완공 목표.
      • 엘앤에프 :
        • 전고체전지용 고성능/대면적 양극 전극 제조기술 개발
      •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 황화물계 전고체 전해질 24년 Pilot Plant 70톤 구축, 2027년 양산 목표/ 미국 Factorial 지분 투자
        • 전고체용 니켈도금박 개발 완료
    • 차세대 음극재

      • POSCO 그룹 : SiOx 실리콘 산화물 기반 음극재 개발 중.
      • 엘앤에프 : 미쓰비시케미칼그룹과 차세대 음극재 사업 MOU
      •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 Si-C계열 실리콘 복합 음극활물질 개발 중, 2027년 양산 목표. 프랑스 Enwires에 지분 투자.
    • 나트륨이온배터리

      • 엘앤에프 : Sodium 배터리 양극소재 개발
      • Ecopro 그룹 : 저가격 소듐 기반 양극 소재 개
    • 실리콘 음극재

      • Ecopro 그룹 : 저가격 고성능 실리콘 음극 소재 개발
마지막 수정 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