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구체
#이차전지 #베터리개념
전구체는 리튬이온 배터리 양극재를 제조하기 위한 중간 소재로, 니켈, 코발트, 망간 등의 금속 화합물이 혼합된 형태임. 전구체는 양극재의 성능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로, 배터리의 에너지 밀도, 수명, 안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
용도
- 리튬이온 배터리 양극재:
- 전구체는 NCM, NCA 등 고니켈 배터리 양극재 제조에 사용됨.
- 배터리 제조 공정에서 전구체는 리튬과 반응하여 최종 양극재를 형성함.
- 전기차 배터리:
- 고에너지 밀도를 요구하는 EV 배터리에서 전구체의 품질이 중요함.
-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 대규모 에너지 저장 장치에서도 전구체 기반 배터리가 사용됨.
투자자 관점에서 알아야 할 점
산업 성장성
- 전기차 및 ESS 시장:
- EV와 ESS 시장의 성장으로 전구체 수요가 급증하고 있음. 특히 고니켈 배터리의 채택이 늘어나면서 전구체의 중요성이 부각됨.
- 기술 혁신:
- 전구체 제조 기술이 배터리 성능과 원가 경쟁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 예를 들어, 고니켈 전구체는 에너지 밀도를 높이는 데 기여하지만, 제조 난이도가 높음.
공급망 리스크
- 원자재 의존도:
- 니켈, 코발트 등 주요 금속의 공급망이 특정 국가(인도네시아, 필리핀, 콩고 등)에 집중되어 있어, 지정학적 리스크가 존재함.
- 가격 변동성:
- 금속 원자재 가격과 환율 변동이 전구체 제조 비용에 영향을 미침.
환경적 이슈
- ESG 규제:
- 전구체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과 폐기물 관리가 ESG 관점에서 중요한 이슈로 부각됨.
- 재활용 기술:
- 폐배터리에서 전구체를 회수하는 기술이 발전하면서, 원자재 의존도를 낮추는 방향으로 산업이 변화하고 있음.
- 중국 의존도: 국내 전구체의 90% 이상이 중국에서 수입되며, 공급망 다변화가 필요.
- 기술 혁신: 고니켈 전구체 개발과 단결정 양극재 기술이 배터리 성능 향상에 기여.
- 내재화 중요성: 전구체 내재화는 배터리 제조사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IRA 규제에 대응하는 핵심 전략.
관련 기업
- POSCO퓨처엠(003670.KQ): 전구체 및 양극재 제조.
- EcoProBM(247540.KQ): 고니켈 전구체 생산.
- Umicore(UMICORE): 배터리 소재 및 재활용 기술.
- BASF(BASFY): 배터리 소재 개발 및 전구체 생산.
황산니켈과 전구체의 차이
구분 | 황산니켈 | 전구체 |
---|---|---|
정의 | 니켈과 황산의 화합물로, 양극재 제조의 기초 원료. | 황산니켈 등 금속 화합물을 혼합하여 만든 양극재 제조의 중간 소재. |
역할 | 니켈 성분을 공급하여 양극재 제조 공정의 초기 단계에서 사용. | 양극재의 화학적·물리적 특성을 결정하며, 최종 양극재로 전환되기 전 단계. |
위치 | 양극재 제조 공정의 초기 원료. | 양극재 제조 공정의 중간 제품. |
활용 | NCM, NCA 양극재의 니켈 성분 공급. | NCM, NCA 양극재로 전환되며, 배터리 성능을 좌우. |
형태 | 화학적 화합물(액체 또는 고체 형태). | 혼합된 금속 화합물(분말 형태). |
마지막 수정 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