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리트레이드
#외환캐리 트레이드란? • 캐리 트레이드는 낮은 금리의 통화로 자금을 비려 높은 금리의 통화에 투자하여 금리 차이를 수익으로 얻는 투자 전략. • 예를 들어, 일본 엔화(낮은 금리)를 빌려 호주 달러로(높은 금리) 투자하면, 투자자는 두 통화 간의 금리 차이에서 이익을 얻을 수 있음 • 특히 저금리 통화 중 특히 엔화는 가장 선호되는 유동성 공급 통화로의 입지를 다짐. • 이러한 전략은 금리 차이가 클수록 더 많은 이익을 가져다줄 수 있지만, 환율 변동 및 금리 변화에 따른 리스크도 존재 • 전통적으로 일본 엔화는 환율 및 금리 변화가 적고 1990년대 이후 저금리 정책을 장기간 지속함에 따라 엔 캐리 트레이드가 확대됨
1990년 이후 엔 캐리 청산 • 엔 캐리 트레이드는(Yen Carry Trade) 일본의 미국을 포함한 대외 금리차 축소 및 엔화 강세 구간 청산하게 됨(엔화 강세로 인해 환차손이 발생할 경우, 캐리트레이드가 비경제적으로 변함) • 또한 글로벌 경제 및 금융 환경의 급격한 변화가 발생하며 안전자산이 선호될 때 엔 캐리 트레이드는 청산될 수 있음 • 고금리 통화의 금리가 하락하거나, 저금리 통화의 금리가 상승하면 캐리 트레이드의 매력은 감소
[2024년 8월 엔 캐리 트레이드 청산]
- 앤 캐리 트레이드 청산 등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유동성 흐름이 크게 훼손되지 않음
7월 13일 트럼프 피격 이후 트럼프 당선 확률 급등 이후 엔화 강세가 급격히 진행 → 트럼프 공약 중 하나인 달러 약세를 달성하기 위해 엔화 강세를 유도할 가능성이 커진 탓임 트럼프 암살미수 이후 그의 당선이 대세가 되었던 시기에 엔화 관련 발언이 있었다.“과도한 엔 약세는 미국의 이익에 반한다는 것"이다. 이는 과잉으로 몰려있던 엔숏포지션의 청산을 이끌었고 이것은 그 반 대의 쌍이었던 한국,대만,일본증시와 AI주식 매도로 나타났다. 이것이 앤캐리트레이드 청산으로 잘못 알려진 현상이다.
- 앤 캐리 트레이드 청산 등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유동성 흐름이 크게 훼손되지 않음
마지막 수정 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