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포집기술
#재생에너지 #탄소중립 #탄소포집기술 #수소가본정보 이산화탄소 포집ㆍ저장기술[CCUS(탄소포집 활용 및 저장기술, Carbon Capture and Utilization Storage)], 대기 중으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붙잡아 땅속이나 바다 등에 묻는 기술.
이 기술을 이용하면 화석연료전환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90% 이상을 포집(capture)한 후 압축해 비어있는 유전, 가스전 또는 대염수층에 주입해 저장(storage)할 수 있다. 포집해 압축된 이산화탄소는 파이프라인이나 선박으로 수송된다.
또한, 석유나 천연가스보다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많은 석탄을 환경 친화적인 연료, 곧 청정 석탄으로 만들 수도 있다.
CCUS는 태양광이나 풍력 등 재생에너지처럼 원천적으로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지 않는 지구온난화의 근본적 해결책은 아니다. 그러나 적어도 향후 50년은 화석연료가 주요 에너지원이 될 것이란 점에서 현실적인 대안으로 평가받고 있다.
세부설명
- CCUS(탄소포집 활용 및 저장기술, Carbon Capture and Utilization Storage)
- CCS(포집한 이산화탄소를 가스전 등에 저장하는 기술) + CCU(포집된 이산화탄소를 탄소화합물로 만들어 탄소소재 ,합성연료, 시멘트 대체소재 등으로 활용하는 기술)를 의미
- 탄소를 포집한다는것은 결국 이산화탄소를 분리해 액화 후 저장하는 것이 메인이지만, 저장만 하는것은 아까우니 재활용하는게 필요함
- 포집한 이산화탄소를 재활용하는 기술이 CCU임
- 전기자동차에서 포집한 이산화탄소로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CFRP)을 만들면 자동차 1대당 이산화탄소 5톤 감축이 가능해짐
-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은 알루미늄보다 3배, 철보다 4배 이상 가벼우며, 10배 단단해서 훌륭한 소재임
- CCUS는 시멘트, 철강, 화학물질 등 중공업에서 탄소중립을 실현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방법임
- CCUS(탄소포집 활용 및 저장기술, Carbon Capture and Utilization Storage)
미르의 설명
- 탄소를 포집한다는 것은 이산화탄소를 분리한다는 말임
- 현재 이산화탄소는 톤당 약 100달러대에서 거래되고 있고, 현재의 탄소포집 기술로는 이산화탄소를 만드는데 톤당 약 500달러 이상이 들어감
- 따라서 탄소포집 기술 보다, 포집원가를 톤당 100달러보다 싸게 탄소 포집을 할 수 있는가가 개발 포인트[23.5]
마지막 수정 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