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BM

#반도체 #DRAM
  • 테마구분: DRAM, 반도체

  • 기본정보

    • HBM이 뭐임?

      • High Bandwidth Memory ‘고대역폭 메모리로 DRAM의 일종임
      • 기존 DRAM을 위로 여러겹 쌓아 서로 연결 => “대역폭"이 높아서 메모리의 데이터 처리 속도를 기존대비 혁신적으로 끌어올림 ex) 1차선 => 5/6차선이니 당연히 속도가 빨라짐 통신 공부할때 나오는, 4G/5G로의 진화 개념과 유사함
    • HBM 왜 중요함?

      • 챗GPT 등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인공지능 or 머신러닝에서 HBM 수요가 급증
      • 아무리 GPU/CPU의 성능이 좋아도, 도로가 막히면 도로묵 => 고성능 도로를 깔아줘야 하는 것
      • 실제 NVDA(엔비디아)의 AI 서버 제품인 H100에는 GPU 내에 HBM이 기본 탑재됨
    • HBM 시장점유율과 경쟁?

      • SK하이닉스 50%, 삼성전자 40%, 마이크론 10% (2022년 기준)
      • HBM도 2013년 첫 개발 이후, 계속 기술이 발전해 1세대부터 4세대까지 등장
      • SK하이닉스는 현재 HBM3 (4세대) 제품의 유일한 양산 가능플레이어로 엔비디아에 탑재
      • 하지만, 삼성전자와 마이크론 역시 빠르게 대응 => 23년 올해 하반기 3곳 모두 HBM3 대량 양산 계획 추정
  • 관련기업

  • 참고자료 링크

마지막 수정 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