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FP 배터리
#배터리 #LFP배터리주요 이벤트
- 2023년
- 6월
- 2023-06-13
- “中 지배한 LFP 배터리, 2026년 위기 온다”…인산염 부족사태 경고
- 13일 마이닝닷컴에 따르면 캐나다 인산염 제조사 퍼스트 포스페이토 존 파살라쿠아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6일(현지시간) 인터뷰에서 “인산염이 부족해져 2026년 (배터리) 업계가 피해를 입을 수 있다"고 전했다.
- LFP는 NCM(니켈·코발·트망간) 배터리보다 성능은 떨어지지만 코발트를 쓰지 않아 상대적으로 저렴하다. 화재 위험도 적어 테슬라와 포드 등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이 LFP 배터리를 채택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포춘 비즈니스 인사이트(Fortune Business Insights)‘에 따르면 전 세계 LFP 배터리 시장은 2021년 100억 달러(약 13조원)에서 2028년 500억 달러(약 64조원)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LFP 비중을 약 30%로 추정했다. 현재 중국에서 생산되는 배터리의 90% 이상이 LFP다.
- LFP 배터리 사용량은 늘고 있으나 원재료인 인산염 공급의 증가 속도는 더디다. 파살라쿠아 CEO는 “북미 인산염이 고갈되고 있다"며 “더는 정제 인산(PPA)을 만들 수 없다"고 지적했다.
- 인산염은 95%가 중금속이 함유된 퇴적암에서 발견된다. 퇴적암에서 추출한 인산염은 약 10%만 PPA로 전환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생산은 까다로운데 수요는 광범위하다. PPA 생산량의 90%는 비료와 사료, 세제, 제약 등 다방면에서 활용되고 있다. 10%만이 배터리에 쓰인다.
- “中 지배한 LFP 배터리, 2026년 위기 온다”…인산염 부족사태 경고
- 2023-06-13
- 6월
- 2023년
기본정보
- LFP배터리(리튬 인산철 배터리)
- 1GWh의 리튬 인산철 배터리를 생산하려면, 2,500톤 정도의 리튬 인산철 양극재가 필요하고, 1톤의 리튬 인산철 양극재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4.3톤의 인광석이 필요함
세부정보
- LFP배터리 재활용은 리튬만 추출 가능해 경제성 낮음
- [23.6.6]건식 방식을 사용하는 주요업체들 중심으로 LFP배터리 재활용 기술 개발 중
- LFP배터리 리사이클링은?
- 리튬 인산철 배터리(LFP배터리) 채택이 빠르게 늘어나면서 LFP 배터리 재활용 시장도 주목을 받고 있다.
- 다만 LFP 배터리의 경우 습식 공정으로는 소재 혼재에 따른 불순물이 많아 매립 잔사가 많이 발생하는 등 기술적 한계가 있다.
- 따라서 리튬만 추출 가능하며 철, 인산, 흑연 등은 회수가 거의 불가능하다. 건식 공정은 리튬 회수조차 어렵다. 따라서, LFP 배터리 재활용은 현재로선 경제성이 낮아 사업성이 떨어진다.(23.6)
- SNE리서치에 따르면, 회수 금속의 가치는 삼원계 배터리(kWh 당 45달러) 대비 LFP 배터리 (kWh 당 23달러)가 현저히 낮다.
- 국가별로 보면 LFP 배터리 습식 재활용의 수익성이 중국>한국>미국>영국>벨기에 순으로 중국 업체들이 주도하고 있지만, 수익성 측면에서 손익분기점(BEP)에는 한참 미치지 못하는 상황이다.
- 최근 국내 업체들 중심으로 건식제련 방법을 활용한 LFP 배터리 재활용 방법을 개발 중에 있다.
- 이론적으로 건식제련 방법을 통해 리튬을 회수할 수 없으나, 영풍은 더스트(Dust) 집진 설비를 통해 먼지 형태로 공기 중에 흩어진 리튬을 회수하는 데 성공했고 향후 비슷한 방식으로 LFP 배터리 내 구리, 철, 슬래그 등을 회수할 계획이다.
- GS 그룹이 투자한 스타트업인 에코알앤에스 또한 건식 기술을 활용해 리튬을 대량으로 뽑아내는 연구를 진행 중이다.
마지막 수정 일자